$\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를 위한 웰니스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 Wellness Index for Work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69 - 78  

최문종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  손창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웰니스융합연구센터) ,  김진수 (경상대학교 경영대학)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노인건강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llness index for workers (WIW)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WIW for assessing workers' wellness. Methods: The developmental process for the instrument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a wellness mode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해외 웰니스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 검증에 있어 선행 도구들은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존하고 있어서 각 웰니스 하위영역의 문항들이 서로 중복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사업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간명한 도구 개발에 적절한 방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이 추천되고 있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의 웰니스를 평가하기 위해 응답이 용이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근로자 웰니스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 [WIW])를 개발하고, 향후 근로자들이 본 도구를 활용하여 자신의 웰니스를 종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최적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적극적인 건강행위 추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웰니스 상태를 다차원적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로서 국내외 문헌고찰, 근로자 인터뷰, 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증과정을 통해 근로자 웰니스지표(WIW)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내용타당도·구성타당도·수렴타당도·판별타당도 등의 다양한 타당도 검증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웰니스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니스라는 용어는 어느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가? ‘스마트폰 기반 웰니스 맞춤형 건강관리, 근로자 웰니스프로그램, 웰니스병원, 웰니스관광, 대학교 웰니스센터’와 같이 웰니스라는 용어는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관광, 문화, 체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1650년경 영국 옥스퍼드 사전에서 질병(illness)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웰니스(wellness)가 처음 등장한 이후, 웰니스 개념에 대한 현대적 의미의 학문적인 정립은 300여년이 지난 후 미국의 인구통계학자 Dunn [1]에 의해서 최초로 이뤄졌다.
Dunn은 웰니스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Dunn [1]의 웰니스 개념 소개 이후 많은 연구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연구자들 간에 합의된 웰니스의 정의는 없는 상태이다. Dunn [1]은 웰니스란 ‘단지 질병이 없거나 질병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선 신체·정신·환경의 조화로운 통합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적극적인 상태(positive state)’라고 정의하였으며, 적극적 건강상태를 추구하기 위한 개인의 건강잠재력과 과정을 중요시 하였다[1,2]. 최근 WHO에서 웰니스에 대한 정의를 발표했는데, “웰니스란 최적의 건강상태(optimal state of health), 즉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경제적 영역에서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가족·지역사회·사업장과 기타 장소에서 역할기대를 수행하는 것”이라고 하였다[3].
웰니스라는 용어가 어디서 처음 등장하였고, 학문적인 정립은 어떻게 이뤄졌는가? ‘스마트폰 기반 웰니스 맞춤형 건강관리, 근로자 웰니스프로그램, 웰니스병원, 웰니스관광, 대학교 웰니스센터’와 같이 웰니스라는 용어는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관광, 문화, 체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1650년경 영국 옥스퍼드 사전에서 질병(illness)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웰니스(wellness)가 처음 등장한 이후, 웰니스 개념에 대한 현대적 의미의 학문적인 정립은 300여년이 지난 후 미국의 인구통계학자 Dunn [1]에 의해서 최초로 이뤄졌다. Dunn[1]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건강에 대한 정의가 질병중심의 병인론적 패러다임(pathogenic paradigm)에서 탈피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으나, 이상적인 건강상태에 대한 당위적 선언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질병예방이나 질병위험요인 관리를 넘어선 조화롭고 균형잡힌 삶을 지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웰니스 개념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unn HL. High level wellness. Thorofare, NJ: Charles B. Slack; 1977. 

  2. Larson JS. The conceptualization of health.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1999;56(2):123-136. http://dx.doi.org/10.1177/107755879905600201 

  3. Smith BJ, Tang KC, Nutbeam D. WHO health promotion glossary: New term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006;21(4):340-345. http://dx.doi.org/10.1093/heapro/dal033 

  4. Office of Strategic R & D Planning,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12 trends analysis and future strategies of wellness industry. Cheonan: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12. 

  5. Roscoe LJ. Wellness: A review of theory and measurement for counselor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2009;87(2):216-226. http://dx.doi.org/10.1002/j.1556-6678.2009.tb00570.x 

  6. World Economic Forum. The workplace wellness alliance - making the right investment: Employee health and the power of metrics [Internet]. Geneva, CH: Author; 2013 [cited 2015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3.weforum.org/docs/WEF_HE_WorkplaceWellnessAlliance_Report_2013.pdf. 

  7. Doyle EI, Ward SE, Oomen-Early J. The process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nd ed. Long Grove, IL: Waveland Press; 2010.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y worksite program [Internet]. Atlanta, GA: Author; 2014 [cited 2015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nationalhealthyworksite/index.html.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plan 2020. Seoul: Author; 2011. 

  10. Baicker K, Cutler D, Song Z. Workplace wellness programs can generate savings. Health Affairs. 2010;29(2):304-311. http://dx.doi.org/10.1377/hlthaff.2009.0626 

  11. Hettler B. Wellness promotion on a university campus.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980;3(1):77-95. 

  12. Travis JW, Ryan RS. Wellness workbook. 3rd ed. Berkeley, CA: Ten Speed Press; 2004. 

  13. Harrington 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4.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abor standards act [Internet]. Sejong: Author; 2015 [cited 2015 July 6].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0421&efYd20140701#0000. 

  15.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Basic Korean dictionary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July 6]. Available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16. Myers JE, Sweeney TJ. The indivisible self: An evidence-based model of wellness.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2004;60(3):234-245. 

  17. Sweeney TJ, Witmer JM. Beyond social interest: Striving toward optimum health and wellness. Individual Psychology: Journal of Adlerian Theory, Research & Practice. 1991;47(4):527-540. 

  18. Depken D. Wellness through the lens of gender: A paradigm shift. Wellness Perspectives. 1994;10(2):54-69. 

  19. Adams T, Bezner J, Steinhardt M.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perceived wellness: Integrating balance across and within dimension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997;11(3):208-218. http://dx.doi.org/10.4278/0890-1171-11.3.208 

  20. Renger RF, Midyett SJ, Soto Mas FG, Erin TD, McDermott HM, Papenfuss RL, et al. Optimal living profile: An inventory to assess health and wellnes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000;24(6):403-412. http://dx.doi.org/10.5993/AJHB.24.6.1 

  21. Hair J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Hall; 2010. 

  22. Ware JE, Jr., Gandek B.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11):945-952. http://dx.doi.org/10.1016/S0895-4356(98)00085-7 

  23. Schumacker RE, Lomax RG.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Routledge; 2010. 

  24. Lee K, Shin S.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6):697-703.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697 

  25.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ram Books; 2011. 

  26. Hattie JA, Myers JE, Sweeney TJ. A factor structure of wellness: Theory, assessment, analysis,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2004;82(3):354-364. http://dx.doi.org/10.1002/j.1556-6678.2004.tb00321.x 

  27. Dahlgren G, Whitehead M. European strategies for tackling social inequities in health: Levelling up part 2. Copenhagen, DK: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006. 

  2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ampaign for balance of work and life [Internet]. Sejong: Author; 2014 [cited 2015 January 10]. Available from: http://www.worklifebalance.co.kr/campaign/. 

  29. Nu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NY: McGraw-Hill; 1978. 

  30. Strout K. Wellness promotion and the institute of medicine's future of nursing report: Are nurses ready? Holistic Nursing Practice. 2012;26(3):129-136. http://dx.doi.org/10.1097/HNP.0b013e31824ef5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