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뢰성 국제 표준규격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iability Standards Specifications 원문보기

신뢰성응용연구 = Journal of the applied reliability, v.15 no.2, 2015년, pp.101 - 107  

남경현 (경기대학교 응용정보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review the domestic reliability standards and its global counterparts IEC/TC 56 international reliability standards. Recently private transfers of reliability certification control tower has established in Korea. Some check points to consider regarding the control tower transfer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규격과 국내 신뢰성 인증현황 및 규제개혁 철폐의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뢰성 인증의 민간으로의 이양 및 그 운영에 대한 제안과 함께 신뢰성 국제표준규격인 TC56을 소개하였다. 신뢰성 국제표준규격들과 국내 규격들의 부합화는 소재·부품 산업의 기술적 애로사항 해결과 신뢰성 기술력 향상 및 기술 자생력의 배양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국제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 본 논문은 신뢰성에 대한 국제규격을 담당하고 있는 IEC/TC56을 소개하고 국내 신뢰성 규격과 인증현황 및 규제개혁 철폐의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신뢰성 민간이양에 따른 절차 및 점검 포인트를 알아보았다. 신뢰성 인증의 민간이양 시점에 TC56 및 이양체계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민간 신뢰성 인증센터가 효율적으로 소재·부품 산업의 기술적 애로사항을 해결해주고 집중적인 지원을 통하여 소재·부품 산업육성 추진시스템의 중요한 기초 시스템 역할을 수행하여 우리나라의 신뢰성 기술력 향상 및 기술 자생력을 배양하고, 나아가 국제 브랜드 이미지 향상 및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신뢰성 평가기준의 시험방법으로 ISO/IEC, MIL, ASTM, ASP 선진회사 자체규격을 참조하여 가장 앞선 방법을 채택하고 있고, 국내외 시료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통하여 정확한 Data를 확보한 후 세계최고 수준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제기준과 일치된 신뢰성 시험 및 평가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Backup Data 및 고장해석 결과를 신뢰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며, 고장물리(Physics of Failure)에 기초를둔 신뢰성 평가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 1990년대 이후 동서냉전의 종결은 사회주의 국가들을 대거 시장경제로 편입시켜 세계시장을 하나로 통합시켰으며, 이와 더불어 국제적인 다국적 기업들은 국경을 무시한 최적 투자 지역을 R&D, 생산, 유통 및 판매의 거점으로 활용하는“Global Outsourcing”을 활성화시켰다. 이에 따라 국가간에서로 상이한 표준 및 적합성평가제도 등 불필요한 무역상 기술장벽을 철폐하고 국제적인 단일 표준의 사용을 요구하는 시장의 목소리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단일표준에 대한 요구는 공식적인 국제기구를 통해서도 가시화되었는바, 1995년 1월 발효한 WTO/TBT 협정에서는 회원국이 국가표준을 새로이 제정하거나 개정할 경우 국제표준을 기초로 사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자원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로 변환시키는 모든 과정에 적용되어 생산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품질의 향상과 소비자를 보호하는 효과를 가져 오며, 제품 위주에서 유통물류소프트웨어·서비스 등 전 산업분야로 확대되어 다가오는 21세기 노령화 사회,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필수적인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둘째, 표준은 산업기술기반이 된다. 성숙한 기술의 표준화뿐만 아니라 정보기술·멀티미디어·HDTV·DVD 등 신기술에 대한 선행적 표준화는 산업기술발전의 기반이 되며, 기술에의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기술을 이전하는데에도 필수적이다.
  • 우리는 TC56의 문서, 보고서, 규격초안을 검토하여 필요한 의견을 제시하고, 또한 총회 및 분과회의에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참여 활동함으로써, 전문성을 축적하고, 신뢰성의 정립된 용어, 개념, 구체적 기술, 평가 방법을 우리나라에 시기적절하게 전파하며. 신뢰성 국제 표준규격의 국내화를 이룰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수렴된 의견들을 TC56에 제안하여 국제적으로 변화하는 신뢰성 사회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성이란 무엇인가? 최근 여러 가지 다양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신뢰성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소재․부품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에 대한 향상뿐만 아니라 신뢰성에 대한 예측 및 신뢰성 보증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신뢰성이란 산업자원부(2006)에서 발간한 용어해설서에 따르면 주어진 기간 동안 주어진 조건에서 요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품목의 능력으로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제품의 일정기간 사용을 입증하는 대표적 선진형 설계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소재의 신뢰성 향상은 우리 기업들의 국내시장과 수출시장에서의 효과적 진입 및 확대 강화에 필수적인 것이었다.
소재․부품의 기능과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제품제조기술은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하였으나, 소재․부품의 개발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근래 들어 의욕적인 소재․부품개발을 촉진하고 있어, 소재․부품의 기능과 품질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경제가 생존하기 위한 주요전략인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과거의 품질관리 시스템 이상의 신뢰도 향상이 선결과제가 되었다.
TC56에서 다루어지는 규격들은 어떻게 결정되고 기술되는가? TC56에서 다루고 있는 규격들은 그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내용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문서, 보고서, 규격초안들이다. 규격들은 일관성 있는 관점과 용어로서 기술되고 있으며, 각 회원국이 제시한 의견을 종합하고, 회의에서 토론, 검토하여 결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김광섭.김명수.유동수.장중순 (2003), 신뢰성 민간인증 체계전환에 대비한 정책연구보고서,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 

  2. 김광섭.장중순.남경현.송병석.임재학.송영식. 김진우(2005), 신뢰성 인증정책 연구보고서, 산업자원부. 

  3. 김광섭.장중순.함중걸.송병석.김형의.김명수. 전현곤.정해성 (2008), 신뢰성 인증제도 활성화 연구(민간인증 중심)보고서, 한국 부품소재 산업 진흥원. 

  4. 산업자원부 (2006), 신뢰성 용어해설서 제2판. 

  5. 이덕근.신필수.김도훈.남경현.이태경.김종훈. 권정휘.황태진.김준화.박진홍 (2008), 선진국 강소기업의 신뢰성 발전과정 연구보고서, 지식경제부/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