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기업 중심의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이전 활성화 방안: K 연구원 사례를 중심으로
A Measure on Technology Transfer Activation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cusing on Companies in Demand: Focusing on the Cases in the K Research Institute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8 no.2, 2015년, pp.318 - 337  

황현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정선양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과)

초록

정부의 R&D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이나 사업화 성공률은 투자에 비해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례 분석을 통해 성공적인 기술이전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K 연구원에서 실시한 3가지 유형의 기술이전 프로그램(수요기업 중심모델, 보유기술 중심모델, 컨소시엄 중심모델)의 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원의 보유기술을 기업에 홍보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기술이전 마케팅보다 잠재적인 수요기업 발굴을 통한 기술이전 방법이 기술이전에 더 효과적임을 설명하였다. 또한, 수요기업의 니즈를 고려한 R&D 사전기획이 기술이전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전략적 R&D 기획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government continues to increase its investment into R&D, the technology transfer or commercialization success rate of the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was lower than the investmen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ethod of successful technology transfer through case study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 연구원의 사례조사를 통해서 유형별로 진행된 기술이전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연연에서 수행한 기술이전 방법론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014년 K 연구원에서 수행한 세 가지 유형의 기술이전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에 성공한 기술들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고, 수요 기업에 이전하는 데 필요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이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으로 K 연구원의 기술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각각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기술이전과 관련된 3가지 모델(수요기업 중심 모델, 보유기술 중심 모델, 컨소시엄 중심 모델) 에 대한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기술이전 방법론에 대한 제시를 시도하였다. 또한 기술이전과 관련된 실무적 경험과 실제 이전사례를 통해 문헌 연구를 통해서는 취득할 수 없는 현장 지식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기술이전의 전(前) 단계에서 사전에 수요기업을 발굴하고 해당 수요기업의 기술 니즈를 분석한 후 기술이전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마케팅보다 효과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성공적인 기술이전을 위해 기술의 완성도와 마케팅을 강조하는데, 기술의 완성도와 마케팅도 중요하지만, 효율적인 기술이전을 위해서는 사전의 수요 기업 발굴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사례 연구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출연연이 중소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고 사업화가 성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추가적인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몇 가지 한계점을 언급하고자 한다.
  • 그렇기 때문에 개별 기술이전 사례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과 내부 요인들에 대한 파악이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K 연구원의 사례조사를 통해서 유형별로 진행된 기술이전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출연연에서 수행한 기술이전 방법론의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014년 K 연구원에서 수행한 세 가지 유형의 기술이전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기술이전에 성공한 기술들의 공통 특성을 분석하고, 수요 기업에 이전하는 데 필요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술이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서술된 Camp(1992), Bozeman(2000)과 양동우 외(2008)의 협의의 개념을 토대로 기술이전을 “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들이 일련의 절차를 통해 소유자에서 사용자로 이동하는 과정”이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출연연 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K 연구원)1)이 수행한 기술이전 프로그램을 토대로 실제 연구현장에서 수행된 기술이전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기존 선행 연구들이 제시한 성공요인을 재해석하여 기술이전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을 찾아보고자 한다.
  • 수요기업은 요구하는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적 완성도가 증명되면 기술이전 의사를 표시한 기업들로 구성하였다. 수요기업 중심 모델에 참여하는 과제책임자 역시 투입된 연구비의 일정 비율 이상을 기술이전 체결한다는 목표하에 본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들 기술은 1년 이내의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기존 기술을 보완할 수 있도록 70백만원∼170백만원의 추가 연구비가 지원되었다.
  • 다만 사전에 수요처가 발굴된 상태였기 때문에 별도의 기술마케팅이나 홍보 행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수요기업에는 별도의 구속력은 없지만 기업 경영진의 기술이전 의지를 확인받고자, 기업이 사전에 요청한 수준의 기술완성도가 확인되면 해당 기술을 이전받겠다는 확약서를 받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하면 기술이전 확률을 높이고, 이를 위해서는 어떻게 R&D를 기획해야 하는지 등 성공적인 기술이전 수행을 위한 기획 기능 관점에서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획단계에서 기술수요를 고려한 R&D 기획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K 연구원에서 실시한 세 가지 형태의 기술이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공급자 중심의 기술이전 프로그램과 수요자 중심의 기술이전 프로그램을 비교・분석 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특징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대학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R&D 연구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초・원천, 공공분야 연구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연구성과를 활용한 사업 화에는 소극적인 입장이었다.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출연연의 기술이전・사업화가 화두로 제시 되고 많은 정책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성과나 결과물 등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이 사실이다.
출연연의 문제점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은 대학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R&D 연구기관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기초・원천, 공공분야 연구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연구성과를 활용한 사업 화에는 소극적인 입장이었다. 박근혜 정부 출범이후 출연연의 기술이전・사업화가 화두로 제시 되고 많은 정책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성과나 결과물 등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공공연구기관에서 개발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여 사업화를 촉진하고, 민간부문에서 개발된 기술의 원활한 거래・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힘쓰고자 산업자원부에서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공적인 기술이전 수행을 위한 기획을 하기 위해서 한 것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에 K 연구원에서 수행한 기술이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전 연구수요, 마케팅 방법, 추가 R&D 비용 등의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R&D 투자, 논문, 특허 등과 같은 정량적 지표를 분석하고 그것에 기반한 성과에 초점을 맞춘 것에 비해, 본 연구는 일선 연구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출연연의 기술이전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병근.조현정.옥주영 (2011),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사업화 프로세스와 성과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4(3): 552-577. 

  2. 김상태.홍운선 (2013), "한국과 미국의 기술이전 제도 비교 연구 : KAIST와 캘리포니아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6(2): 444-475. 

  3. 김은영.정우성 (2013), "대학의 기술이전 및 성과 확산의 영향 요인 분석: 재정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6(2): 983-1008. 

  4. 김치환.박현우 (2013), "대학의 기술이전 성과와 기술가치평가의 역할", 기술혁신학회지, 16(3): 754-783. 

  5.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4), 제5차 기술이전 및 사업화 촉진 계획(안). 

  6. 미래창조과학부 (2013), 2012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7. 미래창조과학부 (2014), 201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8. 박검진.김병근.조현정 (2011), "우리나라 대학의 특허창출과 기술이전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산업재산권, 35: 149-198. 

  9. 박상문.박일수 (2013), "기술이전 경험과 수행과제 수가 개인의 기술사업화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21(3): 95-119. 

  10. 박웅.박호영 (2014), "기술사업화의 비즈니스 생태계 모형에 관한 연구 : 공공 연구개발성과 사업화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4): 786-819. 

  11. 박정남.금영섭.남택일.최강모 (2012), "공공기술의 산업계 파급을 위한 기술마케팅 시스템 연구-특허정보를 중심으로", 지식재산연구, 7(3): 131-162. 

  12. 박종복 (2008), "한국 기술사업화의 실태와 발전과제-공공기술을 중심으로", 서울: 산업연구원, ISSUE PAPER 2008-233. 

  13. 박종복, 류태규 (2007), "공공연구부문에서의 기술이전컨소시엄의 효과와 특성 연구 - 공공기술 이전 컨소시엄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0(4): 284-309. 

  14. 박종복.조윤애.류태규 (2009),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기술시장 활성화 방안", 서울: 산업연구원, 연구보고서 제546호. 

  15. 산업통상자원부 (2014),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 

  16. 서상혁 (2012), "혁신형 기업들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기술사업화", 기술혁신학회지, 15(4): 862-880. 

  17. 서판길 (2008), "출연(연) 개발기술 실용화 촉진전략 수립방안", 교육과학기술부 정책연구 20080501185-00. 

  18. 소병우.양동우 (2009), "대학의 지식재산 경영활동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2(2): 889-912. 

  19. 양동우.김수정 (2008), "기술공급자(R&D기관)의 기술이전 애로요인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1(1): 205-227. 

  20. 유완식 (2009),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한 접근방안 고찰 : 미국 코넬대학을 중심으로", 산업재산권, 30: 185-222. 

  21. 윤종민 (2013), "대학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 운영제도의 성과와 과제", 기술혁신학회지, 16(4): 1055-1089. 

  22. 이윤준 (2008),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활성화 전략", 기술혁신연구, 16(1): 141-163. 

  23. 임인종.이상명.이정환 (2014), "하이테크산업에서 기술이전을 통한 사업화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전자부품연구원과 프로브카드회사의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7(3): 490-518. 

  24. 임채윤.이윤준 (2007), "기술이전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기술사업화 활성화방안 : 정부출연연구소를 중심으로",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7-05. 

  25. 정도범.정동덕 (2013), "공공연구기관의 성과관리.활용역량 및 활동이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21(2): 199-223. 

  26. 정선양 (2011), 전략적 기술경영, 서울: 박영사. 

  27. 조현정 (2012), "자원기반 관점에서 본 대학의 기술사업화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지식재산연구, 7(3): 217-245. 

  28. 중소기업청 (2015), 2014년 중소기업 기술통계보고서. 

  29. Bozeman, B. (2000), "Technology Transfer and Public Policy :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Research Policy, 29(4-5): 627-655. 

  30. Camp, S. (1992), "Technology Transfer and Value Creation: Extending the Theory Beyond Information Exchange",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17(2-3): 68-76. 

  31. Colyvas, J., Crow, M., Gelijns, A., Mazzoleni, R., Nelson, R. R., Rosenberg, N. and Sampat, B. N. (2002), "How Do University Inventions Get Into Practice?", Management Science, 48(1): 61-72. 

  32. Teece, D. J. (1986), "Profiting From Technological Innovation: Implications For Integration, Collaboration, Licensing and Public Policy", Research Policy, 15(6): 285-305. 

  33. Debackere, K. and Veugelers, R. (2005), "The Role of Academic Technology Transfer Organizations in Improving Industry Science Links", Research Policy, 34(3): 321-342. 

  34. Friedman, J. and Silberman, J. (2003), "University Technology Transfer: Do Incentives, Management and Location Matter?",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8(1): 17-30. 

  35. Hoye, K. and Pries, F. (2009), " 'Repeat Commercializers', The 'Habitual Entrepreneurs' of University-Industry Technology Transfer", Technovation, 29(10): 682-689. 

  36. Kidwell, D. K. (2013), "Principal Investigators as Knowledge Brokers: A Multiple Case Study of the Creative Actions of PIs in Entrepreneurial Science",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80: 212-220. 

  37. Kumar, V. and Jain, P. K. (2002),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in India: A Perspective on Policy Initiatives", Technology in Society, 24: 285-298. 

  38. Mitcael, A. and Franza, M. (2003), "Barriers and Bridges for Successful Environmental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Technology Transfer, 28: 167-177. 

  39. Mitchell, W. and Singh, K. (1996), "Survival of Businesse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3): 169-196. 

  40. Nevens, T. M., Summe, G. L. and Uttal, B. (1990), "Commercializing Technology: What the Best Companies Do?",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154-163. 

  41. Seaton, R. A. F. and Cordey-Hayes, M. (1993),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Interactive Models of Industrial Technology Transfer", Technovation, 13(1): 45-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