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성 회복을 통한 지방 소도시 구도심재생 연구 - 역사, 문화, 생태 도시 완주군 고산을 사례로 -
Urban Regeneration of Old Town in the Rural City by the Recovery of Publicness - Focused on the Example of the History, Culture, Eco City, Gosan, Wanjoo - 원문보기

KIEAE journal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15 no.3, 2015년, pp.83 - 92  

윤성훈 (Dept. of Architecture, College of Science & Engineering, Cheongju Univ.) ,  윤희진 (Dept. of Architecture, College of Engineering, Kyonggi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urban regeneration by constructing contemporary publicness. Beginning with researching on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about publicness and urban regeneration, it introduces the example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성의 사전적 의미는? 1) 사전적 의미의 공공성 :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 publicness, 공공화된 것(상태),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1)
아고라란? 이 공간의 사용자는 공중(the public)이며 공중들 사이에서 교류가 일어나는 장의 역할을 하는 곳이 이 공간(public space)이었다. 아렌트(Hannah Arendt)는 ‘아고라(agora)’는 사람들이 자신을 타인과 구별시켜 드러낼 수 있는 공적인 공간이다’라고 하였다. 하버마스와 아렌트는 자율적인 인간의 행위, 그리고 그 행위의 장(공간 혹은 장소)을 통해 공공성이 표출될 수 있다는 의견에 동의하면서 건축적 공공성의 논의의 시발점을 제공하였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거점 중소도시들이 역사적 맥락과의 현재적 연속성에 있어서 매우 불균형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지난세기 후반으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급격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거점 중소도시들은 역사적 맥락과의 현재적 연속성에 있어서 매우 불균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서는 지역 인구의 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는데, 그나마 일정 규모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군 소재 단위 이상의 중규모 도시의 경우에서는 예전처럼 왕성하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의 자생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많은 경우의 면 소재지 등, 지역거점 소도시들은 급격하게 그 체계가 무너져가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인구를 비롯한 여러 지표상의 추이를 참조할 때 이러한 부정적 상황은 표면에 드러난 현상보다 매우 다급함이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역도시들은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다 본질적인 대체 방안을 찾지 못한 채, 일시적 처방과 개별단위의 단편적인 사업들로 그들 나름의 상태를 유지해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김미영, 문정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6호 통권89호., 2011.12 // (Kim, Mi-Young, Moon, Jeong-Min, "An Analysis of Character for Community Vitality in Urban Public Space - Focus on the Urban Squa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Korea, 2011.12) 

  2. 김상조, 왕광익, 권영상, 안용진, 공공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시설의 합리적 공급방향 -민간참여형 복합이용시설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7.12 // Kim, Sang-Jo, Wang, Kwang-Ik, Kwon, Young-Sang, Ahn, Yong-Jin, Rational Supply Direction of Planning Facility by Public Ownership - Concentrate on Mixed-use Complex of Private Sector Participant, KRIHS.RE, Korea, 2007.12 

  3. 박소영, 전영훈, 공공디자인을 통해 발현되는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권 8호, 2008.08 // Park, So-Young, Jeon, Young-Hun,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ublicity through Public Design, AIK, Korea, 2008.08 

  4. 박진수, 김기수, "도시재생의 역사적 배경과 원인에 따른 인식 및 정책변화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4권1호(통권49호) 2012.03 // (Park, Jin-Soo, Kim, Ki-Soo,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olicy Changes through the Compar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auses of Urban Regeneration." AIK.RA, Korea, 2012.03) 

  5. 염철호, 조준배, 심경미,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기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 (Youm, Chirl Ho, Cho Jun Bae, Sim, Kyung Mi, "A Fundamental Study on the Contemporary Publicness of Architecture & Urban Space." Auri, Korea, 2008) 

  6. 이경찬 외, 2013' 국토환경디자인 시범사업 "신택리지 고산만들기 마스터플랜", 완주군, 2014 // (Lee, Kyoung-Chan, Masterplan to Make New Taekrigi, Gosan, Wanjoo-gun, Korea, 2014) 

  7. 이상민, 차주영, 임유경, 김영현, "도시 공공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위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8 // (Lee, Sang Min, Tchah, Chu Young, Lim, Yoo Kyoung, Kim, Young Hyun, "A Study on Improvement of Systems for Comprehensive Urban Public Space Planning." Auri, Korea, 2008) 

  8. 정석, 건축의 공공성과 도시건축가의 역할, 건축, 대한건축학회, 1997.01 // (Jeong, Seok, "Urban Architecture and the Role of Urban Architects", Architecture, AIK., Korea, 1997.01) 

  9. 차주영, 임강륜, "중소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활용방안",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 (Tchah, Chu Young, Lim, Kang Ryuoon, "Public Architecture and Public Spaces Utilization toward Urban Regeneration of Small Medium-Sized Cities." Auri, Korea, 2011) 

  10.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과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시 구민회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Choi, Ki won, "A Study on the Design Factor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Concentrated for the Public - Focused on the case of Inhabitants Hall of District in Seoul",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NU, Korea, 2005) 

  11. 한성근, 조용수, "공공성 측면의 도시 스카이라인 의미 고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권3호(통권47호) 2011.09 // (Han, Sung-Keun, Cho, Yong-Soo, "The Meaning of Urban Skyline in Publicness." AIK.RA, Korea, 2011.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