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2, 2015년, pp.300 - 308  

박찬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정미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는 2007년 경관계획제도가 시작되었다.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산림경관 관리의 계획적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나 산림경관계획은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식견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산림경관요소의 도출과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요소(산림경관유형)는 4개의 중분류(지형자원, 수자원, 식생자원, 인문자원)와 12개의 소분류(지형자원:능선 파노라마, 기암봉우리와 암릉, 수자원:폭포, 계곡과 계류, 호수와 도경, 식생자원:수관층 풍경, 주능선의 철쭉, 능선사면의 단풍, 초본군락의 꽃밭, 임내풍경, 숲길풍경, 인문자원:시설물)로 구성되었다.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제안사항으로 유형별 계획 단계의 경관권역계획 작성 시 산림의 6개 기능의 검토 필요성과 요소별 계획단계에서는 주능선, 계절감, 산림수변, 암석자원 경관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cape planning system established in 2007. It is necessary that forest landscape management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long-term and wide scope plan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considering factor while the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plan for forest characteristic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관계획의 목표는 현상 또는 장래에 대한 문제점을 수용하고 그것을 정리한 계획과제에서 출발해야 한다. 경관적 과제, 제약조건을 재정리하여 설정한 계획목표가 과제를 확실하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여부와 목표가 제약조건과 모순되지 않는가를 검토한다. 또한 목표 설정이 지나치게 추상적이면 계획내용과 진행과정이 모호하게 되어 차후에 무엇을 위한 작업인지 다시 논의하는 상황이 초래되므로 유의해야 한다(Bae and Kim, 2010).
  • 본 연구에서는 아름다운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입상작과 산림조합중앙회의 산림문화작품 입상작 사진을 사용하여 출현빈도 특성 등을 고려한 산림경관요소를 도출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경관계획 수립지침 단계별로 산림경관계획 작성방안을 검토하였다.
  •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계획적 접근은 필수 불가결한 일로서 경관법에 의한 특정경관계획 으로 산림경관계획을 수립할 수도 있으나,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의 작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족하나마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산림경관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계획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경관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근거는?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가, 쾌적한 생활환경과 웰빙 추구 등에 의해 산림경관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Song and Kim, 2012). 산림청은 제5차 산림기본계획 (2013-2017)에서 백두대간, 주요 도로변, 명승지 주변 산림에 대한 산림경관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2a).
산림 경관요소의 9개의 유형은? (2013)이 분류한 22개의 산림풍경 유형에서 보다 근본적인 경관요소 도출을 위해 부분적인 계절감 요소, 기상요소, 독립목에 의한 유형을 폐지·통합하여 9개의 유형으로 단순화하였다. 9개 유형(경관요소)은 ① 능선 파노라마, ② 기암봉우리와 암릉, ③ 폭포, ④ 계곡과 계류, ⑤ 호수와 도경, ⑥ 주능선의 철쭉, ⑦ 능선 사면의 단풍, ⑧ 임내풍경, ⑨ 인문자원이다.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입상작을 모집단으로 한 분석이어서 산림, 식생에 의한 경관요소(유형)의 도출이 미약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림경관이란? 산림경관, 경관요소, 경관계획에 대한 개념을 기술한다. 산림경관이란 산림과 인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생태적, 시각적, 문화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형성된 경치를 말한다(Korea Forest Service, 2011). 경관요소란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를 가리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 H.M. and Kim, J.H. 2010. Landscape Analysis and Landscape Planning. Naeha. Seoul. pp. 365. 

  2. Baek, M.S., Shin, W.S., Yeoun, P.S., Lee, J.H., and Lee, E.J. 2011.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of forest landscapes in national park trail. Korean Forest Recreation Processing 2011: 109. 

  3. Ban, Y.U., Baek, J.I., Kim, M.A., and Yoon, J.O. 2008. Classifying rural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using expert delphi survey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3): 53-61. 

  4. Bang, J.S. and Yang, B.E. 2009.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2): 78-89. 

  5. Choi, H.S. 2008. A Study on the Criteria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1): 39-51. 

  6. Han, B.H., Bae, J.H., Kwak, J.I., and Jang, J.H. 2007. A study on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improvement of Gugok landsacpe of Hwayang vall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Institue of Landscape Architencture Processing 2007: 151-164. 

  7. Hori, S., Saitou, K., Shimomura, A., and Kagawa, T. 1997. Forest-scape: Design and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Japan Forest Industry Improvement and Supply Council (全國林業改良普及協會). Tokyo. pp. 191. 

  8. Huh, J., Kim, D.S., Joo, S.H., Kim, C.S., and Ahn, M.J. 2007. The visual preference for damaged mountainous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71-80. 

  9. Jeong, H.H. and Jung, N.S. 2010. Research on a modification of rural amenity landscape survey tab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6(4): 171-178. 

  10. Jeong, W.J. 2009. A Study on forest landscape improvement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5(2): 1-8. 

  11. Joo, S.H. 2008. A proposal of rural landscape policy for preservation, form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77-86. 

  12. Joo, S.H. and Im, S.B., 2008. A study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criter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69-76. 

  13. Joo, S.H. and Kim, Y.H. 2011. Analysis of guidelines and content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1-10. 

  14. Kang, Y.G. 2005. Landscape Discovery. Hyo-Hyung. Geyonggido. pp. 310. 

  15. Kang, Y.J., Cha, Y.C., and Cha, M.S. 2008. Geographical structure of view point in the landscape experience on mountain in Yangsa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75-84. 

  16. Kim, G.H. 1996. A study on the urban landscape control methods based on the Gestalt theory.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1(3): 143-157. 

  17. Kim, H.H. and Shin, J.H. 2013. A study on the forest landscape master plan for riverside forest landscape bel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6): 17-29. 

  18. Kim, J.S., Jang, D.H., and Yang, H.K. 2013. A characteristic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national parks,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1): 85-96. 

  19. Kim, S.B. and Lee, S.B. 2006. Key landscape elements in constituent of rural village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2(3): 13-18. 

  20. Korea Forest Service. 2011. Business Guide on Forest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223. 

  21. Korea Forest Service. 2012a. 5th National Forest Plan(2013-2017).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235. 

  22. Korea Forest Service. 2012b. Forest Landscape Master Plan for Forest Landscape Belt. Korea Forest Service. Deajeon. pp. 464. 

  23. Korea Forest Service. 2012c. A Practical Guideline for Korean Forest Landscape in Planning and Desig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926. 

  24. Korea Landscape Council. 2009. Urban Landscape Planning. Bal-eon. Seoul. pp. 215. 

  25. Kwon, D.H. 2012. Development of storytelling using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Journal of Korean Photo-Geographers 22(3): 151-164. 

  26. Lee, C.S. 2011. Landscape plan, comprehensive approach with individuality and harmony. Urban Information Service 350(2011): 2-2. 

  27. Lee, G.G., Jang, H.J., Lee, M.J., and Jo, H.K. 2013. A study on setting up method for visual management of forest landscape and field appli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1): 65-78. 

  28. Lee, G.S. and An, S.M. 1999. The Survey and analysis of natural scenic resources of Mujukuch'o n-dong valley in Mt. Teogyu national park using GIS. Korean Forest Society Processing 1999: 156-157. 

  29. Lee, K.J. and Lee, C.H. 2010. A study on representative landscape and grade evaluation for rural amenity resources. Green Tourism Research 17(4): 63-83. 

  30. Lee, S.K. 2010.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pla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2): 651-657. 

  31. Lee, W.Y. and Choi, H.S. 2003.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ridge in open space and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6(5): 70-78. 

  32. Lee, Y.H. and Kim, K.W. 2013. Preference for landscape and tree density of forest trail by questionnaire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ment 16(6): 449-455. 

  33. Lee, Y.H., Park, C.W., and Kim, J.J. 2013.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forest scener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5-70. 

  34. Park, C.W., Lee, Y.H., and Kim, J.J. 2014.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cenery in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4): 687-695. 

  35. Song, T.K. and Kim, S.B. 2012. An effective scenery improvement plan considering resource characteristic of forest landscap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37(2): 23-38. 

  36. U.S. Forest Service. 1995. Landscape Aesthetics(A Handbook for Scenery Management). pp. 264. 

  37. Yang, Y.C. 2004. Planning and Presentation Technic. Samyang Media. Seoul. pp. 223. 

  38. Yun, H.J. 2011. An analysis of the evaluation difference on shap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at national park.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5(5): 215-2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