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철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n Underground Structure due to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and Ground Stres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6 no.9, 2015년, pp.13 - 21  

정지승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이선길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이규영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정해욱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김홍주 (Department of Tunnel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Hakyong Engineering)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심지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침하싱크홀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안정된 지하수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지하수위 및 유효응력의 변화가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버스환승센터 조성 구간 부지 하부로 통과하는 지하철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행된 연계해석 및 구조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도심지 터파기 시공 전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거동 및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고 예측하여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and subsidence and sinkhole are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city. For this reason, the necessity for management of stable underground water level is on the rise.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lower of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 굴착공사 시 굴착 면 하부에 지중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버스환승센터 시공 후에는 되메움 및 지하수위 회복으로 지하철구조물은 다시 원상태(버스환승센터 시공 전)와 유사하게 회복된다. 버스환승센터 시공에 따른 하중 및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 거동 특성은 Table 4와 같으며,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저하로 발생되는 지반의 유효응력 변화가 지하철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지중구조물(지하철 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시공 전 지하수위 계측 및 배수공법 적용 현황에 따른 관리지하수위 적용으로 지하수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지하수위 저하 조건에 따른 연계해석 및 구조검토를 통하여 현재 운행 중인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하 교통시설의 시공 특성은 무엇인가? 도심지의 심각한 교통체증과 인구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종 지하차도, 지하철 등 대규모 지하 교통시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규모 굴착공사로 인하여 주변지반 및 인접구조물에 대한 영향으로 많은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지하 교통시설은 지표로부터 심도가 20m 이내로 풍화암이나 풍화토와 같이 비교적 연약하고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거동이 큰 지반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천층에 시공되는 대규모 굴착공사는 지반의 거동 및 지하수위 변화에 민감하며, 이것은 인접시설 및 구조물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굴착 전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고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선 대책이 계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굴착 전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이러한 지하 교통시설은 지표로부터 심도가 20m 이내로 풍화암이나 풍화토와 같이 비교적 연약하고 지하수위 변화에 의한 거동이 큰 지반에 시공되는 경우가 많다. 천층에 시공되는 대규모 굴착공사는 지반의 거동 및 지하수위 변화에 민감하며, 이것은 인접시설 및 구조물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굴착 전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기존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고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 선 대책이 계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흙의 토립자 간극은 어떠한 물질로 채워져 있는가? 또한 흙은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토립자들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무질서하게 분포되어 있다. 간극은 연속적으로 물 또는 공기로 채워져 있으며, 흙의 압축성, 기초의 지지력, 제방의 안정성 및 토류 구조물에 대한 횡토압과 같은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심도에 따른 단면에 대한 응력분포를 알아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상규 (2009), 토질역학 -이론과 응용-, 청문각, pp. 49-51. 

  2. 롯데물산 (2014), 잠실역 버스환승센터 조성사업 종합보고서, pp. 1-1-4-66. 

  3. 서울특별시 (2008), 선로정비규정, 제2장궤도정비기준 [별표 5]. 

  4. 신정훈 (2006), 성벽 곳곳 균열.파손..."보물 1호" 동대문 위태 위태, 세계일보, http://www.segye.com/content/html/2006/10/17/20061017000555.html. 

  5. 이진용 (2007), 외국사례를 통한 대도시 지하수관리 제언, 제10차 국가지하수 정보협력 포럼,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국가지하수정보센터, pp. 27-41. 

  6. 콘크리트구조기준 (2012), (사)한국콘크리트학회, pp. 1-599. 

  7. 하오천진 (2013), 중국, 초고층 빌딩 계속 건설땐 도시 내려앉을수도, http://news.haotianjin.net/view.asp?idx12120. 

  8. Sowers, G. F. (1962), Shallow foundations, Chapter 6 in Foundation Engineering, ed. by G.A. Leonards, McGraw-hill, Inc., New York, pp. 525-64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