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함몰 영향연구
Influence Ground Sinking with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4 = no.42, 2018년, pp.399 - 408  

김숙자 (Dept. of Civil Engineering, College of Eng., Chungnam National Univ) ,  정관수 (Dept. of Civil Engineering, College of Eng., Chungnam National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최근 들어 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반함몰은 인명 및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지반함몰 또는 도로함몰은 일반적으로 불리는 싱크홀과는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석회암 지반이 용해되어 침식이 일어나는 싱크홀과는 달리 지반함몰 및 도로함몰은 지하수가 흙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공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완 및 확장이 진행되어 상부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지반의 공동화는 집중호우시 침입수에 의한 공동 형성, 지하수위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토사유실 및 하수유출반복에 의한 공동 형성이 주된 원인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구조물 공사시 지하수 흐름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수 모델링결과 지하수는 하천방향으로 흐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에 따른 지반함몰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지하수위 저하 및 흐름방향에 따른 지반함몰보다는 지층을 구성하는 입자의 구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the ground subsidence has caused social problem, because it occurred life and economic damage. Method: Ground subsidence is different from a sink hole. Ground subsidence occurred cavities from loss of by groundwater flow, surface layer is collapsed due to relaxation and expansio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설공사 시 지하수위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지반함몰을 수리지질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이러한 수치해석 방법은 주어진 경계조건에 따라 지하수의 유동이 결정되므로 경계조건으로 인하여 지하위의 흐름이 왜곡되는 현상을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최대한 현실적인 지하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역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유역은지표수의 유역과 관련이 있으므로 Fig.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건설공사 시 지하수위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지반함몰을 수리지질학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함몰 및 도로함몰은 무엇인가? 지반함몰 또는 도로함몰은 일반적으로 불리는 싱크홀과는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석회암 지반이 용해되어 침식이 일어나는 싱크홀과는 달리 지반함몰 및 도로함몰은 지하수가 흙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공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완 및 확장이 진행되어 상부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지반의 공동화는 집중호우시 침입수에 의한 공동 형성, 지하수위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토사유실 및 하수유출반복에 의한 공동 형성이 주된 원인이다.
지반의 공동화의 주된 원인은? 석회암 지반이 용해되어 침식이 일어나는 싱크홀과는 달리 지반함몰 및 도로함몰은 지하수가 흙 사이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공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완 및 확장이 진행되어 상부지반이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지반의 공동화는 집중호우시 침입수에 의한 공동 형성, 지하수위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토사유실 및 하수유출반복에 의한 공동 형성이 주된 원인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모델링을 통하여 지하구조물 공사시 지하수 흐름을 검토하였다.
지반침하의 형태를 분류하자면? 자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싱크홀과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도로함몰과는 구별되어야 하며, 지반침하의 형태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침하(Settlement) : 지반의 하향변위를 말하는 광의적 표현, ② 함몰(Sinking) : 지반이 움푹 패인 형태로 침하된 것, ③ 싱크홀(Sinkhole) : 주로 석회암 지반에서 지반내의 공동이 붕괴된 것으로 지하수 또는 인위적인 영향으로 발생한 공동이 원인, ④ 공동(Cavity) : 지반내의 빈공간, 싱크홀의 발생 조건 중의 하나로 주로 지하수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며, 암반층인 경우에 용식작용, 토사층인 경우에 지하수 흐름에 따른 세립분의 이동(토사 유출)으로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창룡(2012), 대심도 지하도로 설계기준 제정 연구, Repor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 Chung, S. O. (1994), Optimal Management and Quality Protection of Groundwater Resources, Journal of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Vo. 1, No. 2, pp. 60-70. 

  3. Kim, Chang Hee(2016), A Study on the Caus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the Urban Sinkhole,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4. Leake, S.A., Lilly, M.R., (1997), Documentation of a program FHBI for assignment of transient specified-flow and specified-head boundaries in applications of the modular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MODFLOW).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97-571, pp.50. 

  5. Jung, S. K., Jeon, J. S., Lee, S. and Shim, T. S. (1999), A Confidence Analysis on the Control Value of Braced Excavation Walls Used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19, No. 3-3, pp. 479-487. 

  6. Kim, S. Y. (201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Urban "Sinkholes", Working Paper 2015-01,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1-68. 

  7. Seoul Metropolitan City(2014), 석촌지하차도 공동 발생원인과 도로함몰 특별관리대책. 

  8. Seoul Metropolitan City(2015), 도로함몰 예방을 위한 공동발생 메커니즘과 대응방안. 

  9. Yoon, H. K. (2010),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Deep Cement Mixing(DCM) Method using Visual Modflow,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10. http://ncc.phinf.naver.net/ncc01/2012/6/20/143/8.jpg?typew320 

  11. Kores Society Civil Engineering(2015), ${\bigcirc}{\bigcirc}$ 지하수 영향분석 보고서 

  12.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4), 국가수자원관리정보시스템, http://www.wam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