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피부 상태 추정을 위한 촬영 거리에 적응적인 모공 검출 연구
Shooting Distance Adaptive Pore Extraction for Skin Condition Estim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2 no.8, 2015년, pp.106 - 114  

이강규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유준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배진곤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배지상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  김종옥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초록

최근 스마트 폰 카메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적인 촬영장비 없이 일반 스마트 폰 카메라만으로 피부 상태를 추정할 수 있을 정도의 고해상도 영상 획득이 가능해졌다. 스마트 폰을 활용한 영상 촬영은 일정한 거리에서 이루어지기가 힘들기 때문에 촬영거리에 적응적인 피부 특성 측정 방법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피부 특성 중 거리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모공검출에 집중하였다. 실험을 통해 촬영 거리와 피부 특성 검출에 적절한 마스크 크기 사이의 관계를 모델링했고, 모공크기 보상기법을 설계하였다. 서로 다른 거리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실험한 결과, 기준 거리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모공 검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wadays, cameras embedded in smartphones can take high resolution photographs that can be used to analyze skin conditions without using specialized equipments. In shooting photographs with a smartphon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uniform shooting distanc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adapt a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가 노화되면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모공에 붙어 있는 피지샘에서 분출되는 피지가 많아지거나, 모공에 피지가 정체될 경우 모공의 크기가 넓어질 수 있다. 또한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모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의 변성이 감소하게 되며, 모공이 넓어지기도 한다.[6] 이러한 성질 때문에 모공의 크기와 개수를 분석함으로서 피부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다.
모공이란?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피부 특성 중 모공 검출에 집중했다. 모공은 털이 자라나는 구멍으로, 털이 피부 속에서 피부 밖으로 자라나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모공에 붙어 있는 피지샘에서 분출되는 피지가 많아지거나, 모공에 피지가 정체될 경우 모공의 크기가 넓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 상태 추정은 추후 어떤 기대효과를 가지는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 상태 추정은 사용자 편의성 관점에서 촬영 거리에 따른 적응적 알고리즘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추후 스마트 폰을 활용한 피부 특성 검출 기법의 발전으로 기존 전문 장비들의 기능을 간편하게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Y. Lee, J. S. Bae, J. H. Jun, J. O. Kim, "Pore extraction for skin condition estimation using commodity cameras," IWAIT&IFMIA 2015, Tainan, Taiwan, Jan. 2015. 

  2. H. Zhou, J. M. Rehg, M. Chen, "Exemplar-based segmentation of pigmented skin lesions from dermoscopy images," International Symposium on Biomedical Imaging (ISBI), pp. 225-228, Apr. 2010. 

  3. T. Mendonca, A. R. S. Marcal, Vieira, "Comparision of segmentation methods for automatic diagnosis of dermoscopy images,"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EMBS), pp. 6572-6575, Aug. 2007. 

  4. Q. Wen, D. Ming, J. Chen, "A novel fusion approach for segmentating dermoscopy image based on region consistenc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Problem-solving (ICCP), pp.267-270, Oct. 2013. 

  5. 이강규, 배지상, 김종옥, "촬영거리에 적응적인 피부 특성 측정 연구,"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IPIU), Feb. 2015. 

  6. M. U. Joe, "A study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 for a non-contact type skin evaluation device," Seoul National Univ, 2014 

  7. 유준상, 배지상, 김종옥, "피부특성 추정을 위한 모공 추출 기법 연구," 영상처리 및 이해에 관한 워크샵(IPIU), Feb. 2015. 

  8. J, S, Bae, J. J. Ho, J, Y, Lee, J. O. Kim, "Skin Feature Estimation Using Smart Phone Camera" Proc. of 2014 IEEK Fall Conference, pp. 457-458, Nov, 2014. 

  9. N. Otsu, "A threshold selection method from gray-level histogram," IEEE Trans. SMC, vol. SMc-9, no. 1, Jan. 1979. 

  10. J. N. Kapur, P. K. Sajoo and A. K. C. Wong, "A new method for gray-level picture thresholding using the entropy of the histogram," Computer vision,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pp. 273-285, 1985. 

  11. I. Bacivarov, P. M. Corcoran and M. Ionita, "Smart cameras: 2D affine models for determining subject facial expressions," IEEE Trans. Consumer Electronics, vol. 56, no. 2, pp. 289-297, May. 2010. 

  12. C. Ronse, H. Heijmans, "The algebraic basis of mathematical morphology: II. openings and closings," CVGIP: Image Understanding, vol. 54, no. 1, pp. 74-97, Jan. 1991. 

  13. P. Gallagher, "Smartphones get even smarter cameras [Future Visions]," IEEE Consumer Electronics Magazine, vol. 1, no. 1, pp. 25-30, Jan.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