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D 광역시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656 - 4667  

김종임 (중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도시 지역에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260명 이었고,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우 취약한 대상군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입주기간과 수면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치아 부자유함이 없는 경우, 건망증이 없는 경우, 우울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면상태(r=-.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24, p<.001), 우울(r=-.30, p<.001), 사회적 지지(r=.30, p<.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beta}=.30$, p<.001), 우울(${\beta}=-.25$,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2$, p<.001), 입소기간(${\beta}=-.22$, p<.001), 수면상태(${\beta}=-.12$, p=.025)가 삶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삶의 질에 대한 간호중재 및 관리는 신체적 활동이나 질병관리와 함께 정신적,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의 개별적 이해를 중점으로 전인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the quality of life, health states, physical functions,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 of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The subjects include the elderly that were living in care facilities in some urban areas and aged 65 or ol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의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 관련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예측요인을 설명하는 기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도시 지역에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노인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규명 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시설 입소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삶의 질과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던 변수들을 투입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요양시설 입소 노인을 대상으로 삶의 질 예측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삶의 질과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던 변수들을 투입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대상자인 노인 요양시설 노인의 분포는 남자 53명(2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와 접촉이 부족하고 신체적, 심리적으로 취약한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노인이 노후의 삶의 만족을 유지하기 위해 주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와 접촉이 부족하고 신체적, 심리적으로 취약한 요양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노인이 노후의 삶의 만족을 유지하기 위해 주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은 어떠한 도구를 사용했는가?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측정은 Lawton과 Brody[13] 가 개발한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를 Won 등[14]에 의해 우리나라 노인에게 적합하도록 번안된 한국형 일상생활수행능력(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도구를 사용하였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는 어떠한가? 분석대상은 260명 이었고,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우 취약한 대상군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입주기간과 수면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치아 부자유함이 없는 경우, 건망증이 없는 경우, 우울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면상태(r=-.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삶의 질이란 정신적 건강, 신체적 건강, 신체상에 대한 관심, 사회적 관심,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반응들을 평가하는 것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 경제적 영역에서 각 개인이 지각하는 주관적인 안녕[5]이라고 하였다. 노인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 하나 인구학적 특성,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여러 요인들로 나타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A. Han. "Study on the Urban Elderly's Quality of Life in Korean Society", Social Welfare Policy, Vol. 19, pp. 113-142, 2004. 

  2. L. Sury, K. Burns, H. Brodaty. "Moving in: Adjustment of people living with dementia going into a nursing home and their familie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25, No. 6, pp. 867-876, 2013. DOI: http://dx.doi.org/10.1017/S1041610213000057 

  3. J. S. Nam, J. H. Yang,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of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Seoul, 2012. 

  4. T. Kwok, R. S. Lo, E. Wong, T. Wai-Kwong, V. Mok, W. Kai-Sing.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A 1-year follow-up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7, No. 9, pp. 1177-118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apmr.2006.05.015 

  5. G. V. Padilla, M. M. Grant. "Quality of life as a cancer outcome variable", Americans Nursing, Vol. 8, pp. 1177-1182, 1985. DOI: http://dx.doi.org/10.1097/00012272-198510000-00007 

  6. F. J. Carod-Artal, & J. A. "Egido. Quallty of life after stroke; The importance of al good recovery," Cerebrovascular Disease, Vol. 27(Suppl, 1), pp. 2014-214, 2009. 

  7. J. A. Seomun.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depressi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people," Church Social Work, Vol. 12, pp. 67-95, 2010. 

  8. S. Yoo, "The context of perceived and desired social support among Korean older adult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Vol. 18, No. 1, pp. 47-55, 2013. DOI: http://dx.doi.org/10.1080/13548506.2012.672751 

  9.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98. 

  10. N. M. Bradbum,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Chicago: Aldine, 1967. 

  11. Y. J. No. "(An)Analytical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Seoul," [disser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8. 

  12. J. I. Kwon. "The influence of lifestyle of aged pepple on health & life satisfaction,"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for the Elderly Graduate School of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2011. 

  13. M. P. Lawton, E. M. "Brody.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Vol. 9, No. 3, pp. 179-186, 1969. DOI: http://dx.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14. C. W. Won, K. Y. Yang, Y. G. Rho, S. Y. Kim, E. Lee, J. L. Yoon, et al.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 6, No. 2, pp. 107-120, 2002. 

  15.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35, No. 2, pp. 298-307, 1996. 

  16. J. A. Sheikh, J. 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NY: Haworth Press, p. 165, 1986. 

  17. Y. C. Kwon, J. H. Park. "Korean version of min9i-mental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 1, pp. 125-131, 1989. 

  18. E. M. Tray, J. K. Whittaker.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s, Vol. 71, No. 8, pp. 461-470, 1990. 

  19. H. S. Pyu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unreported residential facility," Chung-Ang University doctorate thesis, 2005. 

  20. H. R. Winefield, A. H. Winefield, M. Tiggeman. "Social support Psychoological Assessment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58, pp. 198-210, 1992. DOI: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801_17 

  21. T. E. Moon, S. H. Byun, "A study of their death anxiety, self appearance and life quality by the religious activities of the aged,"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er parter ship, Vol. 7, No. 3, pp. 115-120, 2012. 

  22. L. Dahlberg, K. J. McKee, "Correlates of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in older people: Evidence from English community study," Aging & Mental Health. Vol. 18, No. 4, pp. 504-514, 2014. DOI: http://dx.doi.org/10.1080/13607863.2013.856863 

  23. K. R. Shin, Y. S. Byeon, J. W. Oak,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8, No. 3, pp. 437-444, 2008. DOI: http://dx.doi.org/10.4040/jkan.2008.38.3.437 

  24. Y. H. Oh, J. E. Seok, J. D. Gwon, J. S. Kim, "Old person's quality of life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25. M. A. Shin, G. S. Han,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Journal of Dental Hygiene, Vol. 14, No. 3, pp. 379-389, 2014. DOI: http://dx.doi.org/10.17135/jdhs.2014.14.3.379 

  26. E. S. Jung, M. K. Jeon, "Comparison of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leep according to the presence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1, No. 1, pp. 289-297, 2013. 

  27. S. Y. You, Y. R. Tak, "Feeling of Guit depression in family care givers after nursing home placement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6, No. 3, pp. 276-287, 2014. 

  28. E. Y. Cheon, "Correlation of social network types on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0, No. 1, pp. 88-98,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88 

  29. H. M. Kim, Y. H. Choi,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elderly vulnerable people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2, No. 4, pp. 355-364, 2011.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1.22.4.355 

  30. A. Bowling, D. Banister, S. Sutton, O. Evan, J. Windor, "A multi dimensional model of the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Aging & Mental Health, Vol. 6, No. 2, pp. 355-371, 2002. DOI: http://dx.doi.org/10.1080/1360786021000006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