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PTU(6-n-propyl-2-thiouracil)로 유발된 Rat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미치는 烏梅의 효과 Effects of Mume Fructus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TU(6-n-propyl-2-thiouracil)원문보기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Mume Fructus(MF) on the 6-n-propyl-2-thiouracil(PTU)-induced rat hypothyroidism.Methods : Aqueous extracts of MF(yield = 19.38%) were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42 days from 2 weeks before starting of PTU treatm...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Mume Fructus(MF) on the 6-n-propyl-2-thiouracil(PTU)-induced rat hypothyroidism.Methods : Aqueous extracts of MF(yield = 19.38%) were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42 days from 2 weeks before starting of PTU treatment as an oral dose of 300 and 150 ㎎/㎏(body weight), and hypothyroidism was induced by daily subcutaneous treatment of PTU 10 ㎎/㎏ for 28 days.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thyroid gland weights, liver weight,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tri-iodothyronine(T3) and thyroxine(T4),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L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and triglyceride (TG),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liver antioxidant defense system-lipid peroxidation, H2O2,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were examined with histopathology of thyroid glands and liver.Results : Results were compared with LevoT40.5 ㎎/㎏ treated rats.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decreases in the body weight, liver weight, T3and T4, TG, liver CAT activities as results of PTU treatment. And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increases of thyroid gland weights, TSH, HDL contents, liver H2O2, AST as results of PTU treatment. In addition, these PTU-induce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yroid glands and liver related to hypothyroidism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treatment of both different dosages of MF extract, respectively.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F extracts have advantageous effects on the thyroid hormone productions with beneficial effects on the hypothyroidism related liver injuries mediated by the modul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Mume Fructus(MF) on the 6-n-propyl-2-thiouracil(PTU)-induced rat hypothyroidism.Methods : Aqueous extracts of MF(yield = 19.38%) were administered, once per day for 42 days from 2 weeks before starting of PTU treatment as an oral dose of 300 and 150 ㎎/㎏(body weight), and hypothyroidism was induced by daily subcutaneous treatment of PTU 10 ㎎/㎏ for 28 days. The changes in the body weight, thyroid gland weights, liver weight,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tri-iodothyronine(T3) and thyroxine(T4),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LDL), high density lipoprotein(HDL) and triglyceride (TG),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liver antioxidant defense system-lipid peroxidation, H2O2, superoxide dismutase(SOD) and catalase(CAT) were examined with histopathology of thyroid glands and liver.Results : Results were compared with LevoT40.5 ㎎/㎏ treated rats.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decreases in the body weight, liver weight, T3and T4, TG, liver CAT activities as results of PTU treatment. And MF extracts recovered from the increases of thyroid gland weights, TSH, HDL contents, liver H2O2, AST as results of PTU treatment. In addition, these PTU-induce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yroid glands and liver related to hypothyroidism were dramatically decreased by treatment of both different dosages of MF extract, respectively.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MF extracts have advantageous effects on the thyroid hormone productions with beneficial effects on the hypothyroidism related liver injuries mediated by the modulation on the antioxidant syst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현재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주로 Levothyroxine(LT4)이라는 약을 활용하여 부족한 갑상선호르몬을 외부에서 공급하여 보충해주는 방법을 사용하지만2), 약물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허혈성 심질환의 발생이나, 갑상선 호르몬 요구량이 변화할 수 있으며, LT4를 보충해도 임상증상의 개선이 없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으므로3, 4),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한약재나 한약제제를 활용한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5-7). 본 연구에서는 면역기능을 증강하고8),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9), 生津止渴 8, 10)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는 烏梅가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PTU(6-n-propyl-2-thiouracil)로 rat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유발하고 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등의 연구가 있었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기능을 증강하고8),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9), 生津止渴하는 효능8, 10)을 지니고 있는 烏梅를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활용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여, PTU로 유발된 rat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Korea)와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오매 물 추출물 투여 시작일 및 최종 부검일 18시간 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이 기간에도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picric acid로 개체를 식별하였다.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매 물 추출물 400, 200mg을 각각 10ml의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kg 당 5ml/kg의 용량으로 존데(zonde)가 부착된 5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매일 1회씩 PTU 투여 시작 2주전부터 42일동안 강제 경구투여 하였으며, 2.5mg의 LT4(Sigma, MO, USA)를 10ml의 생리 식염수에 용해 시켜, kg 당 2ml의 용량으로, PTU 투여 시작일로부터 28일간 매일 복강 주사하였다. 한편 정상 및 PTU 대조군에서는 동일한 용량의 멸균 증류수를 오매 물 추출물 투여군과 동일한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Fig.
5mg의 LT4(Sigma, MO, USA)를 10ml의 생리 식염수에 용해 시켜, kg 당 2ml의 용량으로, PTU 투여 시작일로부터 28일간 매일 복강 주사하였다. 한편 정상 및 PTU 대조군에서는 동일한 용량의 멸균 증류수를 오매 물 추출물 투여군과 동일한 기간 동안 경구 투여하였다(Fig. 1).
식염수만 동일한 방법과 기간 동안 투여하였다(Fig. 1).
모든 실험동물의 체중을 오매 물 추출물 투여 시작 1일 전, 투여 시작일, 투여 7, 14(PTU 및 LT4 투여 시작일), 21 28, 35, 41 및 42(최종 희생일)일 후에 각각 측정하였으며, 사료섭취에 따른 체중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烏梅 추출물투여 시작일 및 최종 희생일에 모든 실험동물은 18시간 정도 절식시켰으며, 실험 시작시의 개체 차이에 의한 체중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2 주간의 오매 물 추출물 전 투여기간, 4주간의 PTU 투여기간 및 6 주간의 실험 전 기간 동안의 체중 변화량인 증체량 (body weight gains)을 하기의 공식 [1] 을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최종 희생일에 모든 실험동물의 간, 좌측 갑상선을 적출· 분리한 다음 중량을 측정하여, 절대 중량(absolute weight)으로 하였으며, 체중의 변화에 수반된 이차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체중에 대한 갑상선 절대중량의 비율인 상대 중량을 하기의 공식 [2]를 이용하여 각각 산출하였다.
자동혈액분석장치(Toshiba 200 FR, Japan)를 이용하여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 LDL 및 triglyceride 함량을 각각 mg/dl 단위로 측정하였다.
자동혈액분석장치(Toshiba 200 FR, Japan)를 이용하여 혈청 중 AST 및 ALT 함량을 각각 IU/l 단위로 측정하였다.
최종 희생일에 좌측 갑상선, 간 조직을 적출한 다음 세포로 절단하고, 10% 중성포르말린에 18시간 이상 고정시킨 다음, 탈수를 거쳐 파라핀 포매 후 4µm의 절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Hematoxylin & eosin(H&E)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 절단한 갑상선 전체 두께(mm/central regions), 평균 갑상선 여포 직경(µm/follicle) 및 피막 두께(µm/thyroid)를 각각 Automated image analyzer(DMI-300, DMI,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를 Subudhi 등21)의 방법에 따라 Automated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nuclei numbers/mm2 단위로 산출하였다.
PTU로 유발된 rat의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대하여 烏梅의 경구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烏梅 물추출물(수율:19.38%) 300 및 150㎎/㎏을 PTU 처리시작 2주전부터 6주간 투여하고, 그 실험결과를 LT4 0.5㎎/㎏ 복강 투여군과 비교하였다.
烏梅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PTU 유발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체중의 감소, 갑상선 중량 증가, 간 중량의 감소, 갑상선 호르몬의 함량의 변화, 혈청 중 지질 함량의 변화 및 간 손상을 억제하였고, PTU 유발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항산화 방어 system의 저하를 억제하였다. 또한 갑상선과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개선시켰다.
오매 물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PTU로 유발된 rat 갑상선기능저하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매 물 추출물을 PTU 처리시작 2주전부터 6주간 투여하고, 체중, 갑상선, 간 및 혈중 갑상선 호르몬(TSH, T3 및 T4) 함량, 혈중지질(total cholesterol, HDL(high density lipoprotein), LDL(low density lipoprotein) 및 triglyceride) 함량, 간의 항산화 방어 system(lipid peroxidation, H2O2, SOD(superoxide dismutase) 및 CAT(catalase)), 혈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ALT) 함량의 변화를 갑상선,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와 함께 관찰하였으며, 본 실험에서의 결과는 LT4 0.5㎎/㎏ 복강 투여 군과 비교하였다.
실험동물은 하기와 같이 군당 8마리씩 5그룹–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투여군 및 300, 150㎎/㎏의 오매 물 추출물 투여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매 물 추출물 400, 200mg을 각각 10ml의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켜, kg 당 5ml/kg의 용량으로 존데(zonde)가 부착된 5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매일 1회씩 PTU 투여 시작 2주전부터 42일동안 강제 경구투여 하였으며, 2.
대상 데이터
수컷 Sprague-Dawley계 rat(6-wk old upon receipt, SLC, Japan) 40마리를 7일간의 순화과정을 거쳐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순화과정 및 실험 전 기간 동안에는 온도(20-2 5℃)와 습도(30-35%)가 조절된 사육실에서 polycarbonate 사육 상자에 4 마리씩 수용하여서 사육하였고, 명암 주기(light:dark cycle)는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으며, 사료(Samyang, Korea)와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오매 물 추출물 투여 시작일 및 최종 부검일 18시간 전 절식을 실시하였으며(이 기간에도 음수는 자유롭게 공급하였다), picric acid로 개체를 식별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실험 결과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다중비교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고, 분산 동질성을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Levene test를 실시하여 검증 하였다.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 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등분산일 경우, one way ANOVA test를 실시한 다음 least-significant differences(LSD) test로 사후 검증을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측정하였다. 비등분산일 경우에는 비모수 검증인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여 군 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Release 14.
이론/모형
Radioimmunoassay 법13)에 준하여 혈청 중 TSH, T3, T4 함량을 각각 Coat A count Total TSH, T3, T4 kit(DPC, CA, USA)를 사용하여, Gamma count Cobra II(Packard Co., IL, USA)로 pg/ml, ng/ml 또는 µg/ml 단위로 측정하였다.
Kavutcu 등14)의 방법에 따라, 적출한 간 조직을 얼음으로 냉각(ice-cold)한 0.01M Tris-HCl(pH 7.4)을 이용하여 homogenize한 다음, 8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다시 12,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mitochondrial fraction을 준비하였다. 이후 단백질 함량은 Lowry 등15)의 방법으로 bovine serum albumin을 standard로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과산화 정도(lipid peroxidation)는 Jamall과 Smith의 방법16)으로 2-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하여, 흡광도 525nm에서 측정하여, malondialdehyde(MDA) nM/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다.
4)을 이용하여 homogenize한 다음, 800rpm으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고, 다시 12,000rpm으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mitochondrial fraction을 준비하였다. 이후 단백질 함량은 Lowry 등15)의 방법으로 bovine serum albumin을 standard로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과산화 정도(lipid peroxidation)는 Jamall과 Smith의 방법16)으로 2-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하여, 흡광도 525nm에서 측정하여, malondialdehyde(MDA) nM/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Pick and Keisari의 방법17)에 따라서 H2O2 함량은 horseradish peroxidase(Sigma, MO, USA)와 phenol red(Wako, Japan)를 이용하여, nM/mg protein 단위로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으며, 이전의 Aebi 등18)의 방법에 따라, H2O2 분해능을 이용하여 catalase 함량을 흡광도 240nm에서 측정하였다.
이후 단백질 함량은 Lowry 등15)의 방법으로 bovine serum albumin을 standard로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지질 과산화 정도(lipid peroxidation)는 Jamall과 Smith의 방법16)으로 2-thiobarbituric acid를 이용하여, 흡광도 525nm에서 측정하여, malondialdehyde(MDA) nM/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다. 또한 Pick and Keisari의 방법17)에 따라서 H2O2 함량은 horseradish peroxidase(Sigma, MO, USA)와 phenol red(Wako, Japan)를 이용하여, nM/mg protein 단위로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으며, 이전의 Aebi 등18)의 방법에 따라, H2O2 분해능을 이용하여 catalase 함량을 흡광도 240nm에서 측정하였다. 즉, pH 7.
또한 Pick and Keisari의 방법17)에 따라서 H2O2 함량은 horseradish peroxidase(Sigma, MO, USA)와 phenol red(Wako, Japan)를 이용하여, nM/mg protein 단위로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으며, 이전의 Aebi 등18)의 방법에 따라, H2O2 분해능을 이용하여 catalase 함량을 흡광도 240nm에서 측정하였다. 즉, pH 7.0, 온도 25℃하에서 1µmol의 H2O2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catalase를 1unit(U)로 정의하여, U/mg protein의 단위로 catalae의 활성을 평가하였고, SOD 활성은 Nishikimi 등19)의 방법에서,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reduced)-phenazine methosulphate-nitrobluetetrazolium 억제 반응을 변형 시킨 Kakkar 등20)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SOD 1unit는 상온(25±2℃)에서 1분 동안 formazan 형성을 50% 억제하는 농도로 정의하여, U/mg protein 단위로 측정하였다.
제작하였다. 이후 Hematoxylin & eosin(H&E) 염색을 실시하고, 광학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 절단한 갑상선 전체 두께(mm/central regions), 평균 갑상선 여포 직경(µm/follicle) 및 피막 두께(µm/thyroid)를 각각 Automated image analyzer(DMI-300, DMI,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를 Subudhi 등21)의 방법에 따라 Automated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nuclei numbers/mm2 단위로 산출하였다.
성능/효과
정상 대조군에 비해 PTU 대조군에서는 유의성 있는(p< 0.01 또는 p<0.05) 체중의 감소가 PTU 투여 2주 후부터 인정되기 시작하여, 4 주간의 PTU 투여기간 및 6주간의 실험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 역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 LT4 및 30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각각 PTU 투여 3주 후부터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
01)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 LT4 및 30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각각 PTU 투여 3주 후부터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체중의 증가가 인정되기 시작하여, PTU 투여기간 및 실험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이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150㎎/㎏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과 유사한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를 나타내었다(Table 1, Fig.
2 주간의 실험물질 전투여 기간 동안 증체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군에서 각각 110.38±11.88, 114.00±18.24, 107.00± 6.16, 107.13±13.38 및 109.13±9.82g 으로 관찰되었다. 4 주간의 PTU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군에서 각각 57.
82g 으로 관찰되었다. 4 주간의 PTU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군에서 각각 57.88±12.87, -20.63±2.92, 24.63±7.29, 26.75±17.58 및 -18.88±7.18g으로 관찰되었다.
6 주간의 실험 전 기간 동안 증체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 군에서 각각 168.25±24.01, 93.38±16.86, 131.63±11.61, 133.88 ±24.32 및 90.25±11.20 g으로 관찰되었다.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절대 및 상대 갑상 샘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투여 군에서는 각각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절대 및 상대 갑상선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다(Fig. 2).
또한 본 실험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실험동물에서 10㎎/㎏ 이상의 PTU 투여는 뚜렷한 체중 감소를 일으킨다 13, 21). 본 실험 결과, LT4 및 300㎎/㎏의 오매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각각 PTU 투여 3주 후부터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체중의 증가가 인정되기 시작하여, PTU 투여기간 및 실험 전 기간 동안의 증체량이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烏梅 추출물이 PTU 투여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유발되는 체중의 감소를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혈청 중 triglyceride는 유의성 있는(p<0.01)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혈청 중 HDL의 감소 및 triglyceride 함량의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LDL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
01) 혈청 중 HDL의 감소 및 triglyceride 함량의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LDL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5)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의 감소가 인정된 반면,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total cholesterol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Table 3).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함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 투여군에서 각각 61.28±9.95, 74.20±7.26, 63.08±11.39, 67.50± 6.96 및 73.63±7.56mg/dl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triglyceride함량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 군에서 각각 93.65±15.41, 39.34±9.36, 83.38±18.99, 69.45± 18.26 및 58.20±6.69mg/dl로 관찰되었다.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경미한 지질 과산화(MDA 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유의성 있는(p<0.01) 간 H2O2 및 SOD 활성의 증가가 CAT 활성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
01) 억제되었다. 한편 15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도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혈중 AST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ALT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Fig. 4).
01) 억제되었다. 한편 15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도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혈중 AST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ALT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Fig. 4).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갑상선 여포세포의 증생에 의한 비대 소견이 여포 직경 및 여포 내 colloid 물질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으며, 갑상선 전체 두께 및 피막 두께의 유의성 있는(p<0.01) 증가가 평균 갑상선여포 직경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한편 이러한 PTU 투여에 의한 갑상선 조직의 증생 및 비대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한편 이러한 PTU 투여에 의한 갑상선 조직의 증생 및 비대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갑상선 전체 두께 및 피막 두께의 감소와 평균 갑상선 여포 직경의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Table 5, Fig. 5).
평균 갑상선 여포 직경은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군에서 각각 237.81 ±34.94, 122.76±13.54, 230.87±53.31, 191.82± 12.39 및 176.91±17.59µm/follicle로 관찰되었다.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간세포의 종창에 의한 유의성 있는(p<0.01)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적감소가 인정되었으나, 이러한 PTU 투여에 의한 간세포의 종창 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
01)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적감소가 인정되었으나, 이러한 PTU 투여에 의한 간세포의 종창 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단위 면적당 간 세포 수의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Table 5, Fig. 6).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는 정상 대조군, PTU 대조군, LT4, 오매 물 추출물 300 및 150㎎/㎏ 투여 군에서 각각 492.
본 연구의 결과, 28일간의 연속적인 PTU 10㎎/㎏ 피하투여에 의해 현저한 체중 감소, 갑상선 중량의 증가, 간 중량의 감소, 혈청 중 TSH 함량의 증가와 함께 T3, T4 함량의 감소,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 함량의 증가와 triglyceride 함량의 감소, 간의 항산화 방어 system의 저하, 혈청 중 AST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현저한 갑상선 여포세포의 증생에 의한 비대 소견, 간세포 비대에 의한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인 경우에 조직 내 당단백질이 침착하여서 체중의 증가가 일어나지만22, 36), 이 체중의 증가를 보상하기 위하여 leptin의 분비가 증가되어서 식욕이 떨어지고, 에너지 대사율이 증가되어 체중이 감소할 수도 있다.
01)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烏梅 추출물이 PTU 투여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유발되는 체중의 감소를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HDL-cholesterole 감소 혹은 증가되는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41). 본 실험의 결과,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p<0.01)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및 HDL의 함량의 증가, triglyceride 감소를 나타내었다. PTU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혈청 중 HDL의 함량 감소와 triglyceride 함량의 증가가 LT4 및 300, 150㎎/㎏의 오매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인정된 점은 갑상선 호르몬의 함량 증가에 의해, 간에서 지질 대사 기능이 정상화되고, 이차적으로 지질의 이용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01)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및 HDL의 함량의 증가, triglyceride 감소를 나타내었다. PTU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혈청 중 HDL의 함량 감소와 triglyceride 함량의 증가가 LT4 및 300, 150㎎/㎏의 오매 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인정된 점은 갑상선 호르몬의 함량 증가에 의해, 간에서 지질 대사 기능이 정상화되고, 이차적으로 지질의 이용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는 불충분한 항산화 방어 체계를 지니게 되므로43), 항산화 효과가 있는 한약재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치료할 수 있는 후보물질이 될 수 있다. 본 실험 연구 결과,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p<0.05) CAT 활성의 증가가 H2O2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한편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
. 본 실험의 결과, PTU 투여에 의한 갑상선 조직의 증생 및 비대 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烏梅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
본 실험의 결과, PTU 투여에 의한 갑상선 조직의 증생 및 비대 소견이 LT4 및 두 용량의 烏梅 추출물 투여에 의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즉,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갑상선 전체 두께 및 피막 두께의 감소와 평균 갑상선 여포 직경의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다.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살펴보면, 본 실험의 결과, 烏梅 물 추출물의 투여 군에서는 LT4 투여 군과 유사하게, PTU 투여에 의한 간세포의 종창 소견이 현저히(p<0.01)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매 물 추출물이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유발되는 간 손상을 억제하는 증거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烏梅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PTU 유발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체중의 감소, 갑상선 종대, 갑상선 및 혈청 중 지질 함량의 변화 등 PTU 유발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항산화 방어 system의 변화 역시 억제하였으므로, 항산화 방어 system의 조절을 통해 갑상선 기능저하증에 매우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1. 28 일간의 연속적인 PTU 10㎎/㎏ 피하 투여에 의해 현저한 체중 감소, 갑상선 중량의 증가, 간 중량의 감소, 혈청 중 TSH 함량의 증가와 함께 T3, T4 함량의 감소, 혈청 중 total cholesterol, HDL 함량의 증가와 triglyceride 함량의 감소, 간의 항산화 방어 system의 저하, 혈청 중 AST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현저한 갑상선 여포세포의 증생에 의한 비대 소견, 간세포 비대에 의한 단위 면적당 간세포의 수적 감소가 인정되었다.
2. 烏梅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PTU 유발 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체중의 감소, 갑상선 중량 증가, 간 중량의 감소, 갑상선 호르몬의 함량의 변화, 혈청 중 지질 함량의 변화 및 간 손상을 억제하였고, PTU 유발갑상선 기능저하증시 초래되는 항산화 방어 system의 저하를 억제하였다. 또한 갑상선과 간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개선시켰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烏梅 추출물은 항산화 방어 system의 조절을 통해 갑상선 기능저하증 및 관련 간 손상 및 지질 변화에 매우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절대 및 상대 간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LT4에서는 절대 및 상대 간 중량의 증가가, 오매 150 ㎎/㎏ 투여군에서는 상대 중량이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다(Fig. 3).
01) 혈청 중 TSH 함량의 증가가 T3 및 T4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TSH 함량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와 T4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유의성 있는(p<0.05) T3함량의 증가는 오매 300㎎/㎏ 투여군에 국한되어 인정 되었다(Table 2).
05) CAT 활성의 증가가 H2O2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한편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SOD 활성의 감소가 인정된 반면,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과 유사한 SOD 활성이 각각 인정되었고,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5) MDA 함량의 증가 인정된 반면, 30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MDA 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5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MDA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Table 4).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혈청 중 AST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AST 함량의 증가는 LT4 및 300㎎/㎏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각각 유의성 있게(p<0.01) 억제되었다. 한편 15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도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혈중 AST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ALT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Fig.
간의 중량의 변화를 살펴보면, PTU 대조군에서는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절대 및 상대 간 중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나, LT4에서는 절대 및 상대 간 중량의 증가가, 오매 150㎎/㎏ 투여군에서는 상대 중량이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증가가 각각 인정되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의 기능 검사로, 혈청 중 호르몬 TSH, T3 및 T4의 함량의 변화를 주로 이용하며12, 38), 현재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진단 기준은 TSH의 증가, T4의 감소, T3 정상 또는 감소를 기준으로 한다3, 22, 38).
따라서, 선천적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thyroxine(T4)의 치료는 매우 중요하다39). 본 실험의 연구 결과, LT4 및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TSH 함량의 유의성 있는(p<0.01) 감소와 T4 함량의 증가가 인정되었으나, 유의성 있는(p<0.05) T3 함량의 증가는 오매 300㎎/㎏ 투여군에 국한되어 인정 되었다.
05) CAT 활성의 증가가 H2O2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다. 한편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1) SOD 활성의 감소가 인정된 반면, 두 용량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과 유사한 SOD 활성이 각각 인정되었고, LT4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0.05) MDA 함량의 증가 인정된 반면, 300 ㎎/㎏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MDA 함량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50㎎/㎏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PTU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MDA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烏梅는 비교적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갑상선 저하증이나 항진증에서는 간 기능 검사결과 liver enzyme이 모두 활성화된다45). 본 실험 연구 결과, PTU 대조군에서의 AST 함량의 증가는 LT4 및 300 ㎎/㎏의 오매 추출물 투여에 의해 각각 유의성 있게(p<0.01) 억제되었다. 한편 150㎎/㎏의 오매 추출물 투여 군에서도 PTU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없는 혈중 AST 함량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PTU 투여에 의해 의미 있는 혈청 중 ALT 함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48)
Doo HK. The sixth internal medicne of oriental medicine. Seoul : Oriental Medicine Research Institute. 1991 : 867-74.
Escobar-Morreale HF, Botella-Carretero JI, Morreale de Escobar G. Treatment of hypothyroidism with levothyroxine or a combination of levothyroxine plus L-triiodothyronine.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015 ; 29(1) : 57-75.
Sahoo DK, Roy A, Chainy GB. Protective effects of vitamin E and curcumin on L-thyroxine-induced rat testicular oxidative stress. Chem Biol Interact. 2008 ; 176 : 121-8.
Seo BI, Ju YS, Choi HY, Park JH, Roh SS, Koo JS, Kim JJ, Kim DY. Illustrated book of herbal plants in oriental medicine. Daegu : Daewondang. 2011 : 439-40.
Jeon YH, Kwon JE, Kim MR. Study on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in Ethanol Extract from Prunus mu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0 ; 20(5) : 751-8.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n herbology. Korean herbology. Seoul : Younglimsa. 2011 : 676-7.
Sarandöl E, Taş S, Dirican M, Serdar Z. Oxidative stress and serum paraoxonase activity in experimental hypothyroidism : effect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Cell Biochem Funct. 2005 ; 23 : 1-8.
O’Connor JC, Frame SR, Ladics GS. Evaluation of a 15-day screening assay using intact male rats for identifying steroid biosynthesis inhibitors and thyroid modulators. Toxicol Sci. 2002 ; 69 : 79-91.
Kavutcu M, Canbolat O, Oztürk S, Olcay E, Ulutepe S, Ekinci C, Gökhun IH, Durak I. Reduced enzymatic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in kidney tissues from gentamicin-treated guinea pigs : effects of vitamins E and C. Nephron. 1996 ; 72 : 269-74.
Lowry OH, Rosenbrough NJ, Farr AL, Randall RJ :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51 ; 193 : 265-75.
Jamall IS, Smith JC. Effects of cadmium on glutathione peroxidase, superoxidase dismut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rat heart : a possible mechanism of cadmium cardio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1985 ; 80 : 33-42.
Pick E, Keisari Y. Superoxide anion an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by chemically elicited peritoneal macrophages--induction by multiple nonphagocytic stimuli. Cell Immunol. 1981 ; 59 : 301-18.
Aebi H. Catalase. In : Bergmeyer HU (Ed.),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New York : Academic Press Inc., 1974 : 673-86.
Nishikimi M, Rao NA, Yagi K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MS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 1972 ; 46 : 849-54.
Kakkar P, Das B, Viswanathan PN. Modified spectrophotometric assay of SOD. Indian J Biochem Biophys. 1984 ; 2 : 130-2.
Subudhi U, Das K, Paital B, Bhanja S, Chainy GB. Supplementation of curcumin and vitamin E enhances oxidative stress, but restores hepatic histoarchitecture in hypothyroid rats. Life Sci. 2009 ; 84 : 372-9.
Kim DH, Choi JS, Kim CJ, Cho CS. The Effects of Daeyoungjeon(DYJ) on the Hypothyroidism in Rats. Kor J Herbol. 2007 ; 22(4) : 35-43.
Cho CS, Kim DB, Kim CJ. The Effects of Danggwisaeyeoktang on the Hypothyroidism of Rats. Kor J Herbol. 2007 ; 22(1) : 95-102.
Choi IG, Chae EY, Chang SK, Cho CS, Kim CJ. Effects of Jinmutang(JMT) on Hypothyroidism in Rats. J Korean Orient Int Med. 2006 ; 27(4) : 879-87.
Kim SJ, Kim DC. Effects of Jaeumkanghwa-tang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ropylthiouracil (PTU). J Orient Obstet Gynecol. 2014 ; 27(1) : 41-64.
KimSM. Effects of Ginseng Radix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TU (6-n-propyl-2-thiouracil). Kor J Herbol. 2010 ; 25(3) : 11-8.
Kim SM, Ku SK, Cho SY, Park SJ. Effects of Bupleuri Radix on the Rat Hypothyroidism induced by PTU(6-Prophyl, 2-thiouracil). Kor J Orient Physiol Pathol. 2012 ; 26(5) : 714-23.
Hong MJ, Lee BC, Ahn YM, Ahn SY. The Effects of Epimedii Herba on a Hypothyroidism Rat Model induced by PTU(6-Prophyl, 2-thiouracil). J Pharmacopuncture. 2011 ; 14(4) : 13-22.
Lee SJ, Baek SH, Ahn SY, Lee BC, Ahn YM. Effects of Cistanche Deserticola on Thyroid Function in Hypothyroidism Rat Model induced by PTU(6-Prophyl, 2-thiouracil).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011 ; 25(6) : 989-95.
Ko BS, Park SK, Choi SB, Jun DW, Jang JS, Park SM.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Prunus mu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 33(6) : 951-7.
Kim MS, Yoon CA, Cho YM, Jung HS, Shin CS, Park GS, Kim SY, Cho BY, Lee HG, Bloom SR. Changes in Plasma Leptin Levels Relating to ShortTerm Thyroid Manipulation in Rats. Endocrinol metabolism. 2002 ; 17(2) : 197-205.
O’Hare E, Kim EM, Page D, Reid R. Effects of thyroxine treatment on histology and behavior using the methimazole model of congenital hypothyroidism in the rat. Neuroscience. 2015 ; 285 : 128-38.
Frost PH, Havel RJ. Rationale for use of non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rather than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s a tool for lipoprotein cholesterol screening and assessment of risk and therapy. Am J Cardiol. 1998 ; 81 : 26B-31B.
Jeong WJ, Park BH, Park CY, Ryu MS, Oh SJ, Woo JT, Kim SW, Yang IM, Kim JW, Choi YK, Paeng JR.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hypercholesterolemic adults and influence of serum TSH on the serum total cholesterol level. Korean J Med. 2002 ; 62(2) : 187-93.
Das K, Chainy GB. Modulation of rat liver mitochondrial antioxidant defence system by thyroid hormone. Biochim Biophys Acta. 2001 ; 1537 : 1-13.
Ajala MO, Ogunro PS, Fasanmade OA. Relationship between liver function tests and thyroid hormones in thyroid disorders. Niger Postgrad Med J. 2013 ; 20(3) : 188-92.
Yang Y, Gordon CJ. Regulated hypothermia in the hypothyroid rat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propylthiouracil. Am J Physiol. 1997 ; 272 : R1390-5.
Oner J, Kükner A, Oner H, Ozan E, Yekeler H. Effect of vitamin E on follicular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apoptosis-associated factors in rats with 6-N-propyl-2-thiouracil-induced goitrogenesis. Folia Histochem Cytobiol. 2003 ; 41 : 213-17.
Mansourian AR. A review of literatures on the adverse effects of thyroid abnormalities and liver disorders : an overview on liver dysfunction and hypothyroidism. Pak J Biol Sci. 2013 ; 16(23) : 1641-5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