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적산 (五積散)의 고지방식이 마우스 지방축적억제 및 3T3-L1지방세포에서의 비만 조절 기전에 관한 연구
Inhibitory effect of by Ojeok-san lipid accumulation in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mice and 3T3-L1 adipocyte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0 no.4, 2015년, pp.121 - 128  

최혜민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약제형개발팀) ,  문성옥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약제형개발팀) ,  이희현 (한국한방산업진흥원 한약제형개발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Ojeok-san (OJS), an oriental herbal formula, has been used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o treat the common cold and illnesses including fatigue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obesity effect and molecular mechan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양‧한방의 원리를 바탕으로 오적산의 항비만 효과로 비만의 주 지표인 지방세포 분화에 대한 이해와 생체 내 지방세포 조절기전에 대한 규명으로 오적산이 효과적인 항비만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근거가 되므로, 동물실험과 지방세포 조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OJS의 항비만 효능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 동물실험과 지방세포 (3T3-L1)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JS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주요성분에 대한 HPLC 분석을 실시하고, OJS의 비만 조절 작용이 어떠한 작용기전을 통하여 발휘되는 지를 밝혀 보고자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마우스의 체중감소 효과와 3T3-L1 지방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 세포분화 및 지방 대사 관련 인자들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and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 Cha MK, Lee JY, Kim DG, Lee KT. Effect of Bangpoongtongsungsan on adipose tissue and hyperlipidemia of 3T3-L1 induced rats. J Korean Orient Pediatr. 2006 ; 20 : 177-96. 

  3. Hwang SJ, Song TW, Oh MS. The inhibitory effects of Bangpungtong seoung-san on the obese gene and obese inhibitory about obese-mouse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 Orient Med. 2006 ; 27 : 11-22. 

  4. Lee SI. CheonJinChubangHaesul. Seoul : Seongbosa. 1987 : 118. 

  5. Yoon KY. Dongui Imsang Bangjehak. Seoul : Myoung Bo Press. 1985 : 50. 

  6. Bae BC. Phojun Imsang Bangjehak. Seoul : Seongbosa. 1995 : 206. 

  7. Park HJ, Oh MS, Kim EJ, Lee SG, Park SK, Kim YK. The Analysis of Main Diseases and Herbal Preparations in Herbal Health Insurance. Kor J Herbol. 2006 ; 21(4) : 1-10. 

  8. Lee NH, Ha HK, Lee HY, Jung DY, Choi JY, Lee JK, Shin HK. Analysis of Studies on Ojeok-san for Establishment of Evidence Dasde Medicine. Kor J Orient Med Prescr. 2008 ; 16(2) : 1-9. 

  9. Kim JH, Soh KS, Jeong CG, Kim KH. Effects of Ojuck-san on Hyperlipidemia in Rats. Kor J Orient Pre Med Soc. 2004 ; 8(2) : 185-202. 

  10. Park YS, Lee DH, Choi JM, Kang YJ, Kim CH. Trend of obesity in school age children in Seoul over the past 23 years. Kor J Pediatr. 2004 ; 47 : 247-57. 

  11. Hur HJ, Hwang JT. Effect of Silybin on body weight and glucose tolerance in high-fat-diet induced obese mice. KSBB J. 2011 ; 26 : 78-82. 

  12. Shin IS, Choi HM, Ku SK, Kim MR. The effect of natural mixture supplementation on histopathological and histomorphometrical aspec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Kor J Herbol. 2012 ; 27(4) : 53-8. 

  13. Bray MS. Genomics, genes,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 the role of exercise. J Appl Physiol. 1985 ; 88(2) : 788-92. 

  14. Lee JS, Lee SH. The Reductiv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on the Body Fat and Abdominal Obesity. J Korean Soc Study Obes. 2001 ; 1 : 33-42. 

  15. Park BJ. Herbal Diet of Obese with Osteoarthristis. J Korean Soc Study Obes. 2004 ; 4 : 201-11. 

  16. Fruhbeck G. Overview of adipose tissue and its role in obesity and metabolic disorders. Methods Mol Biol. 2008 ; 456 : 1-22. 

  17. Ntambi JM, Kim YC.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gene expression. J Nutr. 2000 ; 130 : 3122-6. 

  18. Wu Z, Rosen ED, Brun R, Hauser S, Adelmant G, Troy AE, McKeon C, Darlington GJ, Spiegelman BM. Cross-regulation of C/EBPα and PPAR γ controls the transcriptional pathway of adipogenesis and insulin sensitivity. Mol Cell. 1999 ; 3(2) : 151-8. 

  19. Morrison RF, Farmer SR. Hormonal signaling and transcriptional control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2000 ; 130(12) : 3116-21. 

  20. Nammi S, Sreemantula S, Roufogalis BD.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Zingiber officinale rhizome o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high-fat diet-fed rats. Basic Clin Pharmacol Toxicol. 2009 ; 104(5) : 366-73. 

  21. Kola B, Grossman AB, Korbonits M. The role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in obesity. Front Horm Res. 2008 ; 36 : 198-211. 

  22. Landree LE, Hanlon AL, Strong DW, Rumbaugh G, Miller IM, Thupari JN, Connolly EC, Huganir RL, Richardson C, Witters LA, Kuhajda FP, Ronnett GV. C75, a fatty acid synthase inhibitor, modulat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to alter neuronal energy metabolism. J Biol Chem. 2004 ; 279(5) : 3817-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