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련(Coptidis rhizoma), 오배자(Chinese galls), 피톤치드 혼합물(Phytoncide)이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ptidis rhizoma, Chinese Galls and Phytoncide in Malassezia furfur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7 = no.183, 2015년, pp.748 - 756  

김정희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보건의과학과) ,  조용권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보건의과학과) ,  김병관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보건의과학과) ,  곽승준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보건의과학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공학과) ,  이은경 (한국한방산업진흥원) ,  조혜경 (대경대학교 임상병리과) ,  김극준 (대경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된 천연물 중 항균활성이 가장 좋은 황련, 오배자, 피톤치드(Phytoncide)가 단일추출물과 추출혼합물 일 때 M. furfur의 항균활성 차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비듬균에 대한 천연한방추출물의 항균활성결과와 비교하였다. 추출혼합물에서 S. aureus는 3가지 혼합한 천연물질에서 항균활성이 내성하였으며 E. coli는 황련과의 혼합물에서 내성하였고 C. albicans는 오배자와 혼합물에서 내성이있는 것으로 나타나 각 균주에 따라 항균활성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M. furfur는 단일추출물에서 전혀 항균활성이 없었고, 혼합물에서는 황련과 피톤치드 50% 혼합물에서 3.20mm의 직경으로 미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는 같은 진균인 C. albicans와 비교하여 볼 때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그 이유는 M. furfur가 C. albicans에 비하여 세포벽이 지방친화성 성분을 지니고 있고 라멜라층, 원형질내막, 중간 다층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port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the single extract of natural substances and the mixture of single extracts of natural substances create a synergy effect to increase the antimicrobial activity. It also compares the previous researches to find out if the natural medicinal herbs’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황련과 오배자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보기 위하여 원핵생물 중에서 Gram(+)인 병원성 식중독 원인균 S. aurerus와 Gram(-)인 E. coli, 그리고 진핵생물 중에서 C. albicans를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보고자 하였고, 본 실험의 목적인 비듬의 원인균 M. furfur를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본 후 항균활성이 우수한 황련과 오배자를 선택하여 각각 항균 활성을 시험한 후, 부유세균을 억제하고자 시판되고 있는 (주)태극제약 에어메딕용액(대두추출물에 피톤치드가 혼합됨)과 본 실험에 사용된 천연추출물인 황련, 오배자의 단독추출물과 혼합물에서의 항균활성과 혼합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보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보다 우수한 항균제를 생산하여 다양한 제품에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한약재 추출물이 비듬원인균인 M. furfur에항균활성이 있는지를 선행연구결과와 비교하였고, 천연물질의 단일추출물과 단일추출혼합물이 시너지효과를 발휘하여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먼저 황련, 오배자, 등심초, 지유 4가지가 항균활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에 기초하였고, 일반적으로 생약자원의 항균성 물질은 세균에는 효과가 크지만 효모, 곰팡이 등에는 활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러 연구 결과 생약자원의 단독 추출물에서는 항균력이 적었더라도 추출혼합물에서는 항균활성이 강하게 나타나, 항균성 물질이 추출된 후 시너지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고 있다.
  • furfur를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본 후 항균활성이 우수한 황련과 오배자를 선택하여 각각 항균 활성을 시험한 후, 부유세균을 억제하고자 시판되고 있는 (주)태극제약 에어메딕용액(대두추출물에 피톤치드가 혼합됨)과 본 실험에 사용된 천연추출물인 황련, 오배자의 단독추출물과 혼합물에서의 항균활성과 혼합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보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실험결과를 토대로 보다 우수한 항균제를 생산하여 다양한 제품에 활용하고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D. J., Kwak, Y. S., Kim, M. J., Lee, J. C., Shin, C. S. and Jeong, K. T.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 J. Med. Crop Sci. 8(2), 109-116. 

  2. An, B. J. and Lee, J. T. 2002.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from extract of Crataegi fructus. Kor. J. Herbology 17, 29-38. 

  3. Choi, J. H. and Ryu, H. W. 2009. Antimicrobial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alassezia - Related Dandruff. J. Kor. Soc. Esthe. Cosm. 4(4), 19-26. 

  4. Ha, Y. M., Lee, B. B., Bae, H. J., Ji, K. M., Kim, S. R., Choi, J. S. and Choi, I. S.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processed sulfur solution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J. Life Sci. 19(1), 94-100. 

  5. Jang, S. Y., Ryu, S. Y. and Kim, S. D. 2003. Antifungal activity of plants extracts against Pityrosporum ovale and Candida albicans. Kor. J. Pharmacol. 34, 303-307. 

  6. Ji, Y. J., Lee, J. W. and Lee, I. S. 2007. Antimicrobial effect of medicinal plants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J. Life Sci. 17(3), 412-419. 

  7. Joung, Y. H. 2010.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fermented Coptidis Rhizoma extract. Thesis for the Degree of Dr. Science of JoongBu University. 4-5. 

  8. Joung, Y. T. 2006.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and antidandruff effect of white lotus extracts. Kor. J. Beauty Design. 2(1), 75-81. 

  9. Kang, H. Y. and Oh, J. H. 1994. Aromatic essential oils used aptitude of coniferous needles. Forestry Yearbook. 49, 177-179. 

  10. Kim, S. H., Ko, H. C. and Kim, M. B. 2009. The effect of detergents on the morpholog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M. furfur. Ann. Dermatol. 21, 130-135. 

  11. Kim, Y. J., Hwang, G. B. and Seu, Y. B. Antifungal activity of borneolum (Borneo-Camphor) from Dryobalanops aromatica against Malassezia furfur. Kor. J. Microbiol. Biotechnol. 33(3), 236-239. 

  12. Lee, H. K. 2003. A study on the effect of natural essential oils on dandruff germ. Yongin University, 1-2. 

  13. Lee, I. H., Kim, M. J., Choi, J. H. and Choi, S. H. 2010. Antifungal effect of bilobalide and ginkgolide extracted from leaves of Ginkgo biloba against Pityrosporum ovale. J. Microbiol. Biotechnol. 25, 173-178. 

  14. Lee, S. H. and Lee, J. S. 2007.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dandruffy compoun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3), 220-225. 

  15. Lee, S. K. 2003. Antimicrobial effect of bamboo (Phyllosr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on Trichophyton and Pityrosporum. J. Food Hygiene and Safety. 18(3), 113-117. 

  16. Min, B. K. 2005. Diagnosis and treatment of hair & scalp disorders. Hanmi Medical Publishing Co., 107. 

  17. Ryu, M. J., Lee, S. Y., Park, Y., Yang, Y. K.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fungal effect against Malassezia furfur in the extracts from 6 spp. medicinal plants. J. Kor. Soc. Cosmetol. 16(1), 120-128. 

  18. Suk, K. D. 2005. Studies on the antidandruff agent from Resina Pini. J. Kor. Soc. Hygienic Sci. 11(2), 227- 231. 

  19. Yang, J. H., Eun, J. S. and Lee, N. H. 1995. Studies on the bioavailability of coprecipitate of Coptidis Rhizoma. J. Phamaceutical Invesigation 25, 188. 

  20. Yoon, G. R. 2009.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ptidis rhizoma. Thesis for the Degree of M.S. of Sangi University. 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