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 광화문 앞길의 변화
A study on a reconstruction of Gwanghwamun and fluctuation of boulevard in front of Gwanghwamun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4 no.4, 2015년, pp.7 - 18  

강난형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  송인호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wanghwamun was dismantled and displaced to the east side of the palace, at that time, the Chosun Government General Building was constructed in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Korea war, it remained as a stonework as a result of the fire. In 1968, The Gwanghwamun came back in front of the pal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화문 중건 전후과정을 3개의 지도(1962-1964, 1964-1967, 1967-1968)로 작업하여 구 조선총독부, 광화문, 경복궁의 사적경계 등을 표기하였다. 광화문 중건 이전에 구 광화문 유구와 앞길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는 3공화국시기에 생산된 신문기사 등의 사료를 최우선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지도 작업을 서울시가 발표했던 청사진, 건축가가 게재했던 건축잡지 글, 논쟁기사들과 함께 분석하여 광화문 중건의 성격을 도시공간 안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 광화문 중건 이전에 구 광화문 유구와 앞길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는 3공화국시기에 생산된 신문기사 등의 사료를 최우선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지도 작업을 서울시가 발표했던 청사진, 건축가가 게재했던 건축잡지 글, 논쟁기사들과 함께 분석하여 광화문 중건의 성격을 도시공간 안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 식민지와 전쟁의 경험으로 기록을 통한 복구와 도시공간의 재편이 반복되어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광화문의 건축적 분석보다는 광화문 앞길의 변화라는 외부적 조건을 중심으로 성격을 정리하였다. 중앙청의 중심축은 광화문 앞길 변화의 기준이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1공화국기(1948-60)에 중앙청은 어떠한 장소로 기억될 수 있는가? 제1공화국기(1948-60)에 중앙청은 독립한 대한민국의 상징적인 장소로, 국가적 행사(대통령취임식, 3.1절, 광복절 행사 등)가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장소였다. 그러나 정부청사 겸 의사당으로 사용되었다가 환도이후(1954)부터는 태평로의 국립극장(구 경성부민관)을 임대하여 사용한다.
경복궁과 권력에 대한 연구가 조선시대부터 식민지 시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경복궁과 권력에 대한 연구는 조선시대부터 식민지시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경복궁 안의 조선총독부박물관에서부터 박람회까지 조선총독부 철거 이후 경복궁 복원작업과 관련된 보고서와 논문들이 이를 말해준다.5) 예술, 정치, 건축 분야에서 해방 전후 경복궁을다룬 것은 최근이다.
광화문과 광화문 앞길의 과거 사진은 언제 등장하였는가? 광화문과 광화문 앞길의 과거 사진이 등장한 것은 66년부터 광화문 복원계획이 발표되면서이다. 백악산을 배경에 두고 있는 경복궁과 그 정문, 광화문 그리고 광화문 앞길의 사진(조선고적도보)은 서울시계획에 대한 보도기사28)와 함께 실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ong, Soon-Min, Reorganization made to the governmental offices outside the palace in front of the Gwanghwamun Gate, in the early days of king Gojong's reign,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015. 

  2. Cho Eun-jung, Figures and monuments built to commemorate Lee Syng-man, The Journal of Korea Modern Art History, 2015. 

  3. Kim, ji-hong. Reconstruction of Tradition in National Monument Projects during the 1960s and 70s in Korea, Architecture.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4. Lee, Soon-woo, The Governmental Offices Arrangement and Location Change at The Gwanghwamun Yukjoapgil(The Street in front of The Six Boards) during The King Gojong Era, The Hyangto Seoul, vol 78, 2011. 

  5. Cho Eun-jung, Social History of Art (4) Statue production of National Heroes Statue Committee,The Journal of OPEN TOMORROW HISTORY FOUNDATION No. 40, 2010 

  6. Kim, Baek-Yung, Spatial Sociological Analyses on 4 ${\cdot}$ 19 and 5 ${\cdot}$ 16 : Spatial Focusing on Politics of Public Space in Seoul, Humanities Journal, Vol.38, 2010. 

  7. Park Hye-In , Kim Hyon-Sob, A Study on the Change of Consciousness in Korean Architectural Circles through the Demolition Matter of Chosun Government General Building.,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10, 2010. 

  8. HA Sang Bok, The Politics of Gwanghwamun - art and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ower,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3, no3, 2009. 

  9. Kim, Dae-Ho, Destruction and Convertsion of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vol,no29, 2007. 

  10. Sohn Jung-Mok, A Study on Construction of Chosun Government General Building and the Kyungsung Municipal Government Building, The Hyangto Seoul, vol48, 1989.10, 99-101p 

  11. Kim, Yun-Gi, '30 Reminiscences, Architectural Journal, vol19, no4, 1975.8. 

  12. Kang, Bong-Jin, A Study on Gwang-hwamun Reconstruction, Architects, v3 no10, pp57-63, 1968 

  13. Kang, Bong-Jin, A Study on Gwang-hwamun Reconstruction, Architects, v.4 no.11, pp.50-54, 1969 

  14. Kwon, Boduerae , Jung Hwan Cheon , questioning of 1960.(1960년을 묻다), imagine 1000, 2012 

  15. Seoul Museum of History, Gwanghwamun Sonata, spin back the clock.,(주)작품오늘, 2009 

  16. Seoul Museum of History, The Maps of Seoul, 2006 

  17. Cha, Il-suk, The eternal dream: testimony for Seoul, Dongsuhbook, 2005. 

  18. Hobsbawm and Terence Ranger, eds, The Invention of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9. Jae Ho Jeon, Reactionary modernist Park Jeonghee, bkworld, 2000. 

  20.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景福宮 光化門 圈域 重建報告書, 2011 

  2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景福宮 變遷史(上), 2007 

  22. 朝鮮古蹟圖譜 

  23. Kill, Yun-hyeong, "People and society: Why Gwanghwamun is applied to concrete", The Hankyoreh Journal 21, no 642, 2007.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