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ughing and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3, 2015년, pp.245 - 252  

채경숙 (신성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aughing and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1 seniors over 65 years old with dementia, admitted to nursing homes. Twenty of them receive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을 적용한 후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을 적용한 후에 그 효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치매노인에게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과 자율신경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한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을 적용하여 코넬 우울 척도(CSDD)와 자율신경활성도를 측정하여 향후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전략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의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율신경계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 이상에서와 같이 최근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약물중재로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각각 활용되고 있으나 두 효과를 직접 비교한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이 우울 및 자율신경활성도에 대한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에게 우울감소 및 자율신경 활성도 안정을 위한 가장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노인에게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치매노인은 기억력장애, 언어장애, 판단력 장애, 지남력 장애, 주의력 장애, 수행능력 장애, 추상적 사고능력 장애 등의 인지장애가 나타난다. 또한 치매노인은 우울과 불안 및 문제행동으로 인해 삶의 질이 저하된다.
웃음의 생체 내 효과는 무엇인가? 웃음은 외부자극에 의해 시상하부를 거쳐 중뇌 변연계로 전해지며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활성화시켜 심장박동과 혈압을 상승시키고 혈액 순환을 증가시켜 조직으로 산소와 영양물질의 이동을 활발하게 한다. 또한 우울과 불안 등의 기분을 조절하여 스트레스를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8].
치매노인에게 웃음요법과 음악요법을 적용하는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1) 웃음요법과 음악요법 후에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 간의 우울의 차이를 파악한다. 2) 웃음요법과 음악요법 후에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 간의 교감신경활성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웃음요법과 음악요법 후에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 간의 부교감신경활성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4) 웃음요법과 음악요법 후에 웃음요법군, 음악요법군과 대조군 간의 자율신경활성도 크기를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o MJ.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in the korean elder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43-48. 

  2. Suh GH, Kim JK, Yeon BK, Park SK, Yoo KY, Yang BK,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5):809-824. 

  3. Banerjee S, Hellier J, Romeo R, Dewey M, Knapp M, Ballard C, et al. Study of the use of antidepressants for depression in dementia: the HTA-SADD trial-a multi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cost-effectiveness of sertraline and mirtazapin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2013;17(7):1-166. 

  4. Ji HR, Choi SH, Cho MS, Ju RA. The effects of the continuous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4;6(2):226-227. 

  5. Ji HR, Choi SH, Cho MS. The effects of a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social behavior in elderly people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3;5(2):205-207. 

  6. Yun SY, Kim HY, Cho MK, U TY. Effect of floral decoration and plant culture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ility and decrease of depression in the demented old adults. Journal of Korean Flower Research Society. 2002;10(1):33-39. 

  7. Grasel E, Wiltfang J, Kornhyber J. Non-drug therapies for dementia: An over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gard to proof of effectivenes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03;15(3):115-125. 

  8. Shin HS, Rhy KH, Song YA.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ostpartum fatigue and stress responsers of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2011;41(3):294-301. 

  9. Kim JA, Lee E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laughter therapy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2;17(1):85-104. 

  10. Chang MY.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6):501-508. 

  11. Cooke M, Moyle W, Shum D, Harrison S, Murfield J.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ploring the effect of music o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0;15(5):765-776. 

  12. Han P, Kwan M, Chen D, Yusoff SZ, Chionh HL, Goh J, et al. A controlled naturalistic study on a weekly music therapy and activity program on disruptive and depressive behaviors in dementia.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10;30(1):540-546. 

  13. Chu H, Yang CY, Lin Y, Ou KL, Lee TY, O Brien AP, et al. The impact of group music therapy on depression and cognition i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2014;16(2):209-217. 

  14. Choi AN, Ryu KK.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cognition, depressive mood, quality of Life and BPSD(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07;46(3):143-174. 

  15. Ko YJ, Hyun MY.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ai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359-367. 

  16. Kim YS, Jun SS. The influence of one-time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3):269-277. 

  17. Kim BY.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0;2(1):22-34. 

  18. Alexopoulos GS, Abrams RC, Young RC, Shamoian CA.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Biological Psychiatry. 1988;23:271-284. http://dx.doi.org/10.1016/0006-3223(88)90038-8 

  19. Kim BY.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for dementia senile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0;2(1):22-34. 

  20. Sim HM, Chung SH.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behavior and emotion of dementia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1;13(4):591-600. 

  21. Ko HJ, Youn CH.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cognition and sleep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1;11(3):267-274. http://dx.doi.org/10.1111/j.1447-0594.2010.00680.x 

  22. Kim YS, Jun SS. The influence of one-time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The Korean Academy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3):269-277. 

  23. Jeong YG. The effect of laugher therapy use of music on emotional functioning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ersity; 2012. p. 1-54. 

  24. Kim YS, Jun SS. Difference of autonomic function abnormality and dysautonomic symptom among subtype of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3):269-277. 

  25. Kim SH. The effect of music tempo on the response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03;5(1):1-18. 

  26. Yoo SS. The effect of music activity to adult central nerve system(CNS) response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3. p. 1-55. 

  27. Cho JY, Lee EJ, Sohn JH, Cho GS.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sound of fabric fric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2001;4(2):79-88. 

  28. Park YS, Kim KS. The effects of systematic group music therapy for the inpatients with depressive mood and psychiatric behavior. The Seoul of Nursing. 1996;10(1):53-69. 

  29. Kim SR. Difference of autonomic function abnormality and dysautonomic symptom among subtype of dementia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9. p. 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