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 연구
A Study on 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20 no.4, 2015년, pp.598 - 605  

안소영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기컴퓨터공학) ,  전인찬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기컴퓨터공학) ,  김지희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기컴퓨터공학) ,  이용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최성종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기컴퓨터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효과적으로 경보를 전달하면 재난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경보 전달 채널을 다양화 하는 것이 경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경보시스템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경보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에 운영 중인 CBS (Cell Broadcasting System)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와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자동재난경보 시스템(이하 T-DMB 재난경보방송)은 콘텐츠의 제한, 수신 기기의 제한, 단방향 서비스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RSS (Rich Site Summary)를 활용한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사례를 분석하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설계한 결과를 테스트베드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을 활용하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ive alerts will drastically mitigate the disaster impacts. One wa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is to prepare multiple alert distribution channe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that will solve the weaknesses of the current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C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논문에서는기존의경보시스템중특히T-DMB 재난 경보 방송과 CBS 재난 문자방송시스템이 가진 경보 내용제약, 좁은수신자범위, 서비스의 단방향 성의 제약을 보완하기 위해 인터넷 기반의 수신자 맞춤형 재난경보 전달시스템(Internet Emergency Alert Distribution System Adap- tive to the Receiver Characteristics, 이하IEADS)을 제안한다. 이시스템은웹표준인RSS(Rich Site Summary)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세가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 본장에서는RSS를소개하고, 활용 분야에 대해 기술하였다. RSS는 원하는 정보가 업데이트될 때 자동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RSS를 구독하면 정보를 바로 전달받을 수 있 다.
  • 현재 우리나라에는 경보를RSS 포맷으로 배포하는 경보발령서버가 존재하지 않는다. 본논문에서는 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RSS 포맷으로 표준경보 메시지를 배포하는 경보발령서버를 설계하였다. 작성한 시나리오에 따라 경보발령 서버에서 부산지역에 경보를 발 령하였다.
  • 본논문에서는기존에운영중인T-DMB 재난 경보 방송과 CBS 재난 문자방송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단점 인제한적인경보내용, 수신자 범위 제약 그리고 단방향성 경보전달을 해결하기 위해 IEADS를 제안하였다. IEADS는 웹표준인 RSS 기술을활용하였다.

가설 설정

  • IEADS는 다양한 경보 서버로부터 경보를 수신하여 수신자 개개인 또는 다른 경보시스템에 배포해주는 기 능을 수행한다. 경보를 수신하여 RSS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분야별 경보 서버에서 표준화된 경보 메시지로 경보를 발령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Y Ahn, JH Kim, IC Jeon, CS Kwak, DB Kwon, SJ Choi, “Application of SMCRE Model to Emergency Alert and Warning“, KBS R&D, Vol.3, No.2, pp.74-81, 2013, 12 

  2. SR Lim, SY Park, CS Kwak, IC Jeon, SJ Choi, “Survey of Domestic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 2011 Summer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pp.153-154, 2011.7 

  3.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Interface Standard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TTAS, TTAK.KO-07.0046/R4, 2012.12 

  4. RSS Document Example, < http://www.w3schools.com/rss/ > 

  5. KMA's RSS http://www.kma.go.kr/weather/lifenindustry/sevice_rss.jsp > 

  6. NOAA's NWS RSS Library, http://www.nws.noaa.gov/rss/ > 

  7. RSS, CAP & Twitter Feeds, < http://www.nyalert.gov/Public/RSS/AllHazRSSInfo.aspx >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