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레늄강화 사료를 먹인 모돈 혈청에서의 셀레노아미노산 및 셀레노단백질 분석
Analysis of selenoaminoacids and selenoproteins in blood serum of sows fed by selenium fortified feed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8 no.3, 2015년, pp.196 - 203  

박명순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  이성훈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축산시험장) ,  박용남 (한국교원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셀레늄 강화 사료를 먹인 모돈에 대하여 혈청에서의 셀레늄 화학종들 즉, 무기셀레늄, 셀레노아미노산 및 셀레노단백질들을 음이온 교환과 친화 크로마토 그라피를 ICP/MS에 연결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무기 셀레늄(Se4+와 Se6+)과 셀레노 아미노산들은 PRP X-100 음이온 교환 컬럼을 사용하였고 셀레노 단백질들의 경우에는 HEP 컬럼을 사용하여 SelP을 GPx+SeAlb로 부터 분리하였다. 정량분석은 후 컬럼 동위원소 희석법을 사용하여 이 들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모돈 실험군을 3 그룹으로 나누고 셀레늄이 강화된 사료(유기셀레늄 0.3 mg/kg, 0.6 mg/kg 및 무기셀레늄 0.6 mg/kg)를 4주 동안 먹였을 때 셀레늄 화학종들의 변화 및 사료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셀레노 아미노산의 경우, 실험군들은 무기셀레늄 강화사료를 제외하고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보여주었다. 유기셀레늄 강화사료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셀레노 단백질의 경우는 실험군 모두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를 보여주었는데 특히 SelP가 다른 단백질에 비하여 1.5 배 정도 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enium species (inorganic selenium, selenoaminoacids, and selenoproteins) were analyzed using anion exchange and affinity chromatography, which were connected to ICP/MS for the blood serum of sows fed by seleniumfortified feed. The Anion Exchange PRP X-100 column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inor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높은 분자량의 셀레늄 화학종들 특히 셀레노 단백질들은 생체에서 셀레늄의 일반적인 농도를 알려주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질병의 예방지표와 직접관련이 있는 항산화 물질의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ICP/MS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여 셀레노아미노산이나 셀레노 단백질 (GPx와 SelP)을 분리하고 동위원소 희석법으로 정확하게 정량분석할 수 있는 분석적 기 술을 개발하고 가축에 적용하여 사료와 생체내의 화학종들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혈청에서 여러 셀레늄 화학 종들(유 • 무기 셀레늄 및 셀레노 단백질)을 HPLCICP/MS를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셀레늄이 강화된 사료를 모돈에 4 주간 먹였을 때 셀레노 단백질들이나 셀레늄 화학종들이 더 생성되고 농도는 각 47%와 33%가 더 증가됨을 알아낼 수 있었다.
  • 무엇보다 셀레늄을 섭취할 때에 생체 내에는 어떠한 화학종이 얼마나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셀레늄 강화사료를 먹었을 때에 사료와 가축의 혈청에서의 여러 셀레늄 화학종들 즉, 무기 셀레늄이나 셀레노아미노산(Selenocystein, Selenomethinine등) 또는 셀레노 단백질(GPx, SelenoAlbumin; SeAlb, selenoprotein; SelP)과의 관계를 알아내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Palioura, R. L. Sherrer, T. A. Steitz, D. Söll and M. Simonovic, Science, 325, 321-325 (2009). 

  2. F. Ursini and S. Heim, M. Kiess, Science, 285, 1393-1396 (1999). 

  3. L. H. Foster and S. Sumar, Crit Rev Food Sci Nutr., 37(3), 211-228 (1997). 

  4. H.-Y. Jang, H. Min, J. Lee and Y.-N. Pak, Analytical Sci. & Technol., 26(3), 182-189 (2013). 

  5. J. Y. Ahn, H. Kwon and Y. N. Pak, Analytical Sci. & Technol., 27(2), 357-363 (2014). 

  6. A. J. Duffield-Lillico, E. H. Slate and M. E. Reid, J. Natl Cancer Inst., 95(19), 1477-1481 (2003). 

  7. E. A. Klein, I. M. Thompson and S. M. Lippman, Prostate Cancer Prostatic Dis., 3(3), 145-151 (2000). 

  8. S. M. Lippman, E. A. Klein and P. J. Goodman, JAMA, 301(1), 39-51 (2009). 

  9. Z. Pedrero and Y. Madrid, Anal. Chim. Acta, 634, 135-152 (2009). 

  10. D. Juresa, J. Darrouze’s, N. Kienzl, M. Bueno, F. Pannier, M. Potin-Gautier, A. Kevin and D. Kuehnelt, J. Anal. At. Spectrom., 21, 684-690 (2006). 

  11. P. Jitaru, C. Giulio, G. Andrea, C. Paolo and B. Carlo, Anal Bioanal Chem., 391, 661-669 (2008). 

  12. M. Roman, P. Jitaru and C. Barbante, Metallomics, 6, 25-54 (2014). 

  13. F. A. Aborode, A. Raab, S. Foster, E. Lombi, W. Maher, E. M. Kruppa and J. Feldmann, Metallomics, 7(3), Mar 9, in press, (2015). 

  14. J. Bianga, Z. Touat-Hamici, K. Bierla, S. Mounicou, J. Szpunar, L. Chavatte and R. Lobinski, J Proteomics., 108, 316-24 (2014). 

  15. K. Bierla, J. Bianga, L. Ouerdane, J. Szpunar and A. Yiannikouris, R. Lobinski, J. Proteomics., 87, 26-39 (2013). 

  16. J. Bianga, E. Govasmark and J. Szpunar, Anal Chem., 85(4), 2037-2043 (2013). 

  17. D. H. Vanesa, L. F. S. Maria and S. M. Alfredo, Analytica Chimica Acta, 538, 99-105 (2005). 

  18. T. Celine, R. Ann, D. T. Ludwig, S. Yves-Jacques and P. Luc, Food Chemistry, 130, 767-784 (2012). 

  19. H. H. Kim, H. Yang and H. Y. Kim, Korean J. Nutr., 44(2), 112-118 (2011). 

  20. Y. Park, I.-S. Kim, S. H. Lee, S. H. lee, D. W. Jung, C. J. Park and Y. M. Kim, J. Life Sci., 2(1), 55-61 (2012). 

  21. I. H. Jo, S. H. Lee, G. W. Kim, S. Hwangbo, O. K. Han, T. H. Song, T. I. Park and I. B. Choi, J Korean Soc Grassl Forage Sci., 32(1), 39-48 (2012). 

  22. Y. D. Jang, H. B. Choi, S. Durosoy, P. Schlegel, B. R. Choi and Y. Y. Kim, Asian-Aust. J. Anim. Sci., 23(7), 931-936 (2010). 

  23. J. Travnicek, L. Pisek, I. Herzig, J. Doucha, H. Kvicala, V. Kroupova and H. Rodinova, Veterinarni Medicina, 52, 42-48 (2007). 

  24. O. S. Kwon, J.-W. Hong, B.-J. Min, W.-B. Lee, K.-S. Shon, I.-H. Kim and J.-M. Ki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 1206-1211 (2004). 

  25. J. S. Jung, J. H. Lee and Y. N. Pak, Bull. Korean Chem. Soc., 34(12), 3817-3824 (2013). 

  26. H. A. Meyer, T. Endermann, C. Stephan, M. Stoedter, T. Behrends, I. Wolff, K. Jung and L. Schomburg, PLOS ONE, issue 10, e4664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