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별 화기 특성 및 형태적 관찰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Organ in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Cultivar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8 no.2, 2015년, pp.235 - 242  

김수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배강순 (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과) ,  고상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김호철 (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과) ,  김태춘 (원광대학교 원예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도입된 하이부쉬 블루베리의 품종 선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블루베리의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블루베리의 수술의 형태를 보면 화사는 판형이었고 모용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개약 시 약벽이 열개되지 않고 돌출된 두 개의 관으로 꽃가루가 배출되어 독특하였다. 화분은 3월 하순경에 감수 분열된 후에 분리되지 않은 채로 성숙한 사분자 화분(tetrad pollen)이었다. 약당 사분자 화분립 수는 400~1,300개였으며, 화분립 수가 많은 품종이 발아율도 높은 편이었다. 블루베리의 암술은 5개의 심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주는 갈라진 부분이 없이 하나였다. 자방당 배주 수는 39~67개 정도였으며, 각 품종별로 변이 계수가 11.6~31.0%로 큰 편이었다. ‘Bluejay’와 ‘Sharpblue’간의 자가 및 타가교배 결과 자가교배보다 타가교배에서 종자 형성률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organ in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were studied to select suitable cultivars of highbush blueberry for domestic cultivation. The stamen consists an anther and a tape-like hairy filament with well-developed trichomes. When the anther was opened, the wal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재배중인 블루베리 품종을 대상으로 블루베리의 형태적 및 품종별 화기 특성에 관해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국내 블루베리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블루베리 재배 시 화기 특성을 감안하여 단일 품종을 식재하는 것보다는 타가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여러 품종을 혼식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ustin, M.E. 1994. Potentials of blueberry production in Northeast Asia. Horticulture in Northeast Asia. J. Kor. Soc. Hort. Sci. 35 (SUPPL. I):22-32. 

  2. Bae, K.S. and T.C. Kim. 2002. Effect of the number of pollinated styles on the pollen tube growth and fertilization in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J. Kor. Soc. Hort. Sci. 43:613-616. 

  3. Bae, K.S., H.C. Kim, H.J. Lee, B.Y. Lee and T.C. Kim. 2006. Characteristics of flower bud differentiation in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24:222-227. 

  4. Berlyn, G.P. and J.P. Miksche. 1976. Botanical Microtechniqe and Cytochemistry.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A (USA). 

  5. Bhojwani, S.S. and S.P. Bhatnagar. 1974. The Embryology of Angiosperms. Vikas Publ. House, New Delhi, India. 

  6. Bold, H.C., C.J. Alexopoulos and T. Delevoryas. 1980. Morphology of Plants and Fungi. Harper & Row Publ., New York, NY (USA). 

  7. Brewer, J.W. and R.C. Dobson. 1969. Seed count and berry size in relation to pollinator level and harvest date for the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J. Econ. Entomol. 62:1353-1355. 

  8. Cockerham, L.E. and G.J. Galletta. 1976. A survey of pollen characteristics in certain Vaccinum species. J. Amer. Soc. Hort. Sci. 101:671-676. 

  9. Easu, K. 1977. Anatomy of Seed Plant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10. Eck, P. and C.M. Mainland. 1971. Highbush blueberry fruit set in relation to flower morphology. HortScience 6:494-495. 

  11. Eck, P. and N.F. Childers. 1966. Blueberry Culture. Rutgers Univ. Press. New Brunswick and New Jersey. pp. 102-108. 

  12. El-Agamy, S.Z.A., W.B. Sherman and P.M. Lyrene. 1981. Fruit set and seed number from self- and cross-pollinated highbush (4X) and rabbiteye (6X) blueberries. J. Amer. Soc. Hort. Sci. 106:443-445. 

  13. Kim, S.J., D.J. Yu, J.H. Kim, T.C. Kim, B.Y. Lee and H.J. Lee. 2004. Comparativ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well-watered and water-stressed 'Rancocas' highbush blueberry leaves. J. Kor. Soc. Hort. Sci. 45:143-148. 

  14. Kim, S.J., D.J. Yu, T.C. Kim and H.J. Lee. 2011. Growth and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cv. Bluecrop) under various shade levels. Sci. Hort. 129:486-492. 

  15. Kwack, B.H. 1965. The effect of calcium on pollen germination. Proc. Amer. Soc. Hort. Sci. 87:818-823. 

  16. Lang, G.A. and R.G. Danka. 1991. Honey-bee-mediated crossversus self-pollination of 'Sharpblue' blueberry increases fruit size and hastens ripening. J. Amer. Soc. Hort. Sci. 116:770-773. 

  17. Lee, B.Y. and J.G. Lee. 2001. Introduction of blueberry plants and establishment of cutting propagation method. Collection of Treatises in Daesan 9:87-102. 

  18. Lee, C.B. 1989. A Pictorial Book of the Korea Plant. Hyangmoonsa, Seoul, Korea. pp. 603-604. 

  19. Lyrene, P.M. 1994a. Variation within and among blueberry taxa in flower size and shape. J. Amer. Soc. Hort. Sci. 119:1039-1042. 

  20. Lyrene, P.M. 1994b. Environmental effects on blueberry flower size and shape are minor. J. Amer. Soc. Hort. Sci. 119:1043-1045. 

  21. Megalos, B.S. and J.R. Ballington. 1987. Pollen viability in five Southeastern United States diploid species of Vaccinium. J. Amer. Soc. Hort. Sci. 112:1009-1012. 

  22. Moore, J.N., B.D. Reynolds and G.R. Brown. 1972. Effects of seed number, size and development on fruit size of cultivated blueberries. HortScience 7:268-269. 

  23. O'Brien, T.P. and M.E. McCully. 1981. The Study of Plant Structure: Principles and selected methods. Termarcarphi Pty. Ltd., Melbourne, Australia. 

  24. Park, K.S., S.J. Kim, E.H. Chang, M.S. Ryu, H. Ju, S.C. Lee, T.J. Kang, D.J. Ha, D.S. Jung, K. C. Sung, H.L. Kim and Y.H. Gwon. 2013. Blueberry. RDA. Korea. pp. 23-26. 

  25. Parrie, E.J. and G.A. Lang. 1992. Self- and cross-pollination affect stigmatic pollen saturation in blueberry. HortScience 27:1105-1107. 

  26. Ritzinger, R. and P.M. Lyrene. 1998. Comparison of seed number and mass of southern highbush blueberries vs. those of their F1 hybrids with V. simulatum after open pollination. HortScience 33:887-888. 

  27. Ritzinger, R. and P.M. Lyrene. 1999. Flower morphology in blueberry species and hybrids. HortScience 34:130-131. 

  28. Song, K.G. 2012. The cultural status and the industrial prospects on blueberry. Korean J. Plant Res. 5 (SUPPL. I):9. 

  29. Stern, K.R. 1994. Introductory Plant Biology. Wm. C. Brown Publishers. England. pp. 105-126. 

  30. Suzuki, A. and N. Kawata. 2001. Relationship between anthesis and harvest date in highbush blueberry. J. Japan. Soc. Hort. Sci. 70:60-62. 

  31. Vorsa, N., G. Jelenkovic, A.D. Draper and W.V. Welker. 1987. Fertility of 4X × 5X and 5X × 4X progenies derived from Vaccinium ashei/corymbosum pentaploid hybrids. J. Amer. Soc. Hort. Sci. 112:993-9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