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기반의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 분석
Convergence-based analysis on 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smoking rat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8, 2015년, pp.375 - 385  

임지혜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강성홍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흡연율의 지역간 변이 정도와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2009-2011년 질병관리본부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흡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지역간 변이 분석을 위해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역간 흡연율의 변이요인은 고위험음주율, 고혈압관리교육 이수율, 금연캠페인 경험율, 스트레스 인지율, 고혈압 유병률, 건강보험료, 당뇨병 유병률, 비만율, 근력운동 실천율로 나타났다. 융복합 기반으로 지역별 흡연율의 변이를 파악하는 것은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지역별 맞춤형 보건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향후 흡연율이 높은 지역의 원인과 대상에 맞는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흡연관리사업 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ographical variations and factors that affect smoking rates. The data are collected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 conducted between 2009 and 2011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other government organizati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별 흡연관리사업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대표성이 있는 지역사회 기반의 다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율의 지역간 변이 정도와 변이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기존 관련 연구와의 큰 차이점은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세부적인 지역별 변이 요인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기반의 대표적인 다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율의 지역간 변이 정도와 변이 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지역별 흡연 관리사업 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흡연율과 관련된 기존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교육수준이 낮고,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육체 노동 종사자에서 흡연율이 높음을 보고하였으며[8,9], ‘국민건강 영양 조사’자료의 분석결과 흡연율은 거주지, 결혼상태, 학력, 직업, 생활수준과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한국인의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연령, 성, 교육수준, 혼인상태, 경제수준, 지역이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지역 흡연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당뇨병 유병률의 지역간 변이를 분석한 선행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높은 지역으로 서울 동대문구, 중랑구, 서대문구, 인천 동구 등이 제시되어졌으며 이러한 지역은 고혈압 유병율, 비만율,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으로 분석되었다[12].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흡연율의 변이에 대한 각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정 만성질환과 흡연율과의 관계, 특정 계층이나 특정 지역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행되었으며[14,15], 우리나라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자료를 이용한 지역별 흡연율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는 다중회귀분석이나 로지스틱회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14,15], 이는 변이의 전체적인 요인을 규명하는 데는 도움이 되나 지역별로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의사결정나무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흡연율의 변이에 대한 각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흡연이 암에 기인하는 정도는 무엇인가? 흡연은 최근 주요 선진국의 주 사망원인인 심장질환과 신생물의 가장 유력한 요인으로 전체 암의 약 30%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폐암의 경우 약 90%가 흡연에 기인한다고 한다[1,2]. 한국의 경우 허혈성 심질환의 41%, 뇌졸중의 26%가 흡연에 의한 것이라 추정되어지며[3], 흡연이 주요 원인인 폐암 환자의 경우 최근 5년간 받은 진료비 총액이 약 1조 5천억 원에 달하고 있어 흡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막대함을 시사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WHO,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Geneva, 2008. 

  2. R. Doll, R. Peto, K. Wheatley, R. Gray, I. Sutherland, Mortality in relation to smoking: 40 years' observations on male British doctors.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09, No. 6959, pp. 901-911, 1994. 

  3. Sun-Ha Jee, Smoking status and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1999. 

  4. DOI:http://www.newswire.co.kr/modules/etc/print_news.php?no614647 

  5. Hyong-Oh Cho, Investigating structural changes competing smoking types and their advertising responses through the progress of anti-smoking campaign: A case analysis of the 2005-2006 anti-smoking campaig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Vol. 8, No. 4, pp. 232-266, 2006. 

  6. Tae-Min Song, Changes in smoking rates of male adults in Korea and smoking cessation policy: Focus on smoking cessation clinic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 173, pp. 55-63, 2011.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ECD Health Data 2014. 

  8. E. Fernandez, A. Schiaffino, M. Garcia, J. M. Borras, Widening social inequalities in smoking cessation in Spain. Journal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 55, pp. 729-730, 2001. 

  9. B. Galobardes, M. C. Costanza, M. S. Bernstein, C. Delhumeau, A. Morabia, Trends in risk factors for lifestyle-related diseases by socioeconomic position in Geneva, Switzerland, 1999-2003; health inequalities persist. Am J Public Health, Vol. 93, pp. 13002-1309, 2003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depth Analyses of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Health Interview and Health Behavior Survey part. 2007. 

  11. Sang-Yun Lee, Seung-Wook Lee,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Vol. 25, No. 2, pp. 41-50, 2000. 

  12. Yoo-Mi Kim, Dae-Gon Cho, Sung-Hong Kang, Geographic Variations in Prevalence of Self-Reported Diabet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4, No. 3, pp. 82-105, 2014. 

  13. Yoo-Mi Kim, Dae-Gon Cho, Sung-Ok Hong, Eun-Ju Kim, Sung-Hong Kang, Analysis on Geographical Variations of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using Multi-ye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9, No. 6, pp. 935-948, 2014. 

  14. Jan-Di Kim, Jae-Hee Seo, Young-Jeon Shin, Chang-Yup Kim,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behavior of low-income peopl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3, No. 1, pp. 577-602, 2013. 

  15. Jeong-Soo Choi, The effect of early detec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on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7, No. 1, pp. 103-130, 2007. 

  16. Young-Taek Kim, Bo-Youl Choi, Kay-O Lee, Ho Kim, Jin-Ho Chun, Su-Young Kim, Duk-Hyoung Lee, Yun-A Ghim, Do-Sang Lim, Yang-Wha Kang, Tae-Young Lee, Jeong-Sook Kim, Hyun Jo, Yoo-Jin Kim, Yun-Sil Ko, Soon-Ryu Seo, No-Rye Park, Jong-Koo Lee, Overview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Korean Medical Association, No. 55, Vol. 1, pp. 74-83, 2012. 

  17. Geun-Yong Kwon, Do-Sang Lim, Eun-Ja Park, Ji-Sun Jung, Ki-Won Kang, Yun-A Kim, Ho Kim, Sung-Ill Cho,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Standardized Rates for Health State Comparison Among Areas: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 43, No. 2, pp. 174-184, 2010. 

  18. J. L. Steel, W. H. McBroom, Conceptual and empirical dimensions of health behaviour. Journal of Health Social Behavior, No. 13, pp. 382-392, 1972. 

  19.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alysis on the major diseases and health behaviour in korea. 2003. 

  20. R. Gupta, A. Misra, Review: Type 2 diabetes in india: Regional disparities. The British Journal of Diabetes and Vascular Disease, Vol. 7, No. 1, pp. 12-16, 2007. 

  21. DOI:https://www.nosmokeguide.or.kr/mbs/nosmokeguide/jsp/board/view.jsp?spage2&boardId256&boardSeq189842&mcategoryId&idnosmokeguide_010501000000®Column&categoryId0&categoryDepth&column&search&gisuColum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