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중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
Creating the Idea of Textile Print Pattern Design Using the Visual Expression of Popular Music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4, 2015년, pp.524 - 540  

김지연 (중앙대학교 가정학과 의류과학) ,  오경화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  정혜정 (중앙대학교 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textile pattern design ideas created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Methods of auditory and synesthesia were employed to analyze various attributes of popular music genres and appoint language image, shape image, and color image to obtain their interrelationships.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형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리듬을 점, 선, 면, 입체로 만들어 가며 표현하면 반복에 따른 리듬을 느끼게 할 수 있으며 음악에서의 리듬과 마찬가지로 시각적 리듬은 평면공간에 반복과 변화를 거듭하며 여러 요소들과 함께 상호유기적인 질서와 이미지를 구현한다(Kim, 20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으로 느끼는 음악의 형태이미지에 대한 감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극물로 선정된 곡을 청취한 후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형태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음악의 공감각적인 시각화 표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한편 패션디자인은 다양한 사회문화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으며, 특히 현대패션은 매스미디어의 발달로 젊은이들의 대중음악 변화와 흐름에 따라 새로운 청년문화와 함께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호를 대표하며 소통 코드 그 자체의 역할을 하고 있는 미디어의 하나인 다양한 장르의 대중음악을 통해 감성이미지를 추출하여 체계적인 음악의 시각화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두 개 이상의 감각이 연합되어 나타나는 공감각(共感覺)을 통한 시도는 패션의 디자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프린트 패턴디자인을 만들고 패션산업의 감성마케팅을 주도 하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 중 청각과 시각에서 비롯된 공감각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언어이미지를 통해 색채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초조형이미지를 이용하여 형태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중음악 장르의 감성이미지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대중음악의 장르별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 형태이미지를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병행하여 감성이미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음악에 대한 시각조형화 작업을 통한 텍스타일 프린트이미지 발상의 타당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중음악 장르의 다양한 특성을 이용해 인간이 느끼는 감성이미지 중 색채이미지의 표현을 알아 보기위해 선행 연구(Kim & Oh, 2014)에서 얻어진 대중음악 장르별 언어이미지 형용사를 I.R.I 색채이미지스케일에 대입시키고 그에 상응하는 배색이미지 표현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의 발상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대중음악 장르를 변인으로 언어이미지, 시각이미지 그리고 색채이미지의 공감각을 통한 통합적 감성이미지를 분석하여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에 사용할 색채이미지를 선정하기 위해 Kim and Oh(2014)의 선행연구에서 선정한 40개의 감성 형용사로부터 추출된 언어이미지와 그 하위차원 구성요소를 I.R.I 형용사 이미지스케일과 배색 이미지스케일에 대입하여 톤을 통한 해석으로 감성적인 색채이미지를 추출하였다.
  • 평면조형에 적용된 음악의 시각화 표현은 다양하며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대중음악 장르에서 느낀 청각적 감성이미지가 반복, 점이적 리듬 구성요소들에 의한 톤의 변화와 점, 선, 면을 이용한 기초조형이미지를 통해 청각 리듬에서 시각 리듬으로 전이되어 표현될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기초조형이미지를 이용하여 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의 시각화를 통해 대중음악 장르별 감성 이미지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여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구성하였다.
  • Yu and Nam(2006)은 서양음악을 통해 청각을 시각화하는데 있어 서로 다른 두 감각간의 교감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리듬을 이용해 규칙적인 선의 반복에 의한 리듬감을 표현하고 기하학적으로 이루어진 조형형태의 단위에 터킹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Lee(2008b)는 해금산조 진양조 선율의 시각화 표현을 통해 여성스럽고 차분한 톤의 코트를 제작하였다. 여기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한적이던 감성 요소추출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공감각을 통한 상호관계성과 그 특성을 포지셔닝하기 위해 대중음악으로부터 형용사를 도출하고 분류해 보다 감성적인 언어이미지를 추출하였다. 또한 공감각을 이용한 시각적 형태 표현을 분류하고 시각적으로 형상화시켰다.
  • 또한 공감각을 이용한 시각적 형태 표현을 분류하고 시각적으로 형상화시켰다. 이러한 음악과 시각이미지를 접목시킨 연구를 통합적으로 함으로서 대중음악 장르의 감성이미지 요인을 분석하고 텍스타일 패턴발상에 관한 감성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감성 중 청각과 시각에서 비롯된 공감각을 이용하여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언어이미지를 통해 색채이미지를 추출하고, 기초조형이미지를 이용하여 형태이미지를 분석하여 대중음악 장르의 감성이미지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대중음악의 장르별 언어이미지와 색채이미지, 형태이미지를 정성적 연구와 정량적 연구를 병행하여 감성이미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음악에 대한 시각조형화 작업을 통한 텍스타일 프린트이미지 발상의 타당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대중음악과 패션의 관계는 본 연구의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을 위해 다양한 음악장르 중 대중음악을 선정한 이유가 되며 대중음악의 장르별 감성이미지를 감성공학적 디자인 방법론 측면에서 연결지어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 발상을 위한 제시를 해보는 것으로 우리는 대중음악의 감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패션의 디자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대중음악의 장르마다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른 감성적인 프린트 패턴디자인을 만들고 청각을 통한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봄으로 대중문화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대중음악과 패션과 프린트 패턴의 또 다른 공감각적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의 가치는?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은 소재의 표면에 나타난 모양인 문양이나 색채를 통해 패션상품의 가치를 결정짓고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이미지의 변화만으로도 패션상품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패션섬유분야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패션상품을 기획하기 위해서 매년 두차례 생산과 판매를 위해 차년도의 S/S와 F/W 시즌에 대한 패션테마, 색채, 소재, 프린트 등 디자인 전반의 디테일에 관한 트렌드를 분석한다.
인간의 감각기관에서 체험되는 동시성의 개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인간이 반응하는 오감 중 한 영역의 감각기관에 자극이 주어졌을 때, 그 자극이 다른 영역의 자극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우리는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이라 한다. 즉, 공감각은 하나의 자극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의 감각이 연합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것은 또한 신경계의 모든 부분이 결합되어 있고 서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반응함을 말해주는 것이다(Kim, 2007). 이러한 동시성의 개념은 인간의 모든 감각기관에서 체험되는 모든 반응의 통합된 총체이다(Kim, 2012).
차년도의 S/S와 F/W 시즌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하는 이유는? 텍스타일 프린트 패턴디자인은 소재의 표면에 나타난 모양인 문양이나 색채를 통해 패션상품의 가치를 결정짓고 이미지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이미지의 변화만으로도 패션상품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패션섬유분야의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패션상품을 기획하기 위해서 매년 두차례 생산과 판매를 위해 차년도의 S/S와 F/W 시즌에 대한 패션테마, 색채, 소재, 프린트 등 디자인 전반의 디테일에 관한 트렌드를 분석한다. 특히 패션소재 중 하나인 프린트의 다양한 트렌드를 보여주는 텍스타일박람회는 컬렉션의 발표시기보다 1년 앞서 개최되므로 소재개발 등을 위한 프린트패턴 디자인을 위해서는 보다 더 빠르게 소비자의 감성을 읽을 수 있어야 한다(Jung,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H. M. (2005). A study of cognition differences of sensibility by gender about modeling - A focus on sensitivity analysis by perception of shape and col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Byun, S. M. (2003). A study on rhythm by means of lines and expression of mo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Birren, F. (1985). Color psychology and color therapy (H. J. Kim, Trans.). Seoul: Dongkuk Publishers. (Original work published 1950) 

  4. Jung, A. R. (2002). A study of fashion design based on musical sensitivities : Centered on synesthetic interpretation about Jazz.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5. Jung, I. H. (2011). Be dominate the fashion market. Seoul: SIGONGART. 

  6. Kandinsky, W. (2000). U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The origin of about what the spiritual in art]. (Y. P. Kwon, Trans.). Seoul: Yeolhwad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12) 

  7. Kim, B. O. (2007). A study on the synesthetic expression of brand design through emotion structuring :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sumers' experiential attitude toward brand logo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8. Kim, J. Y. (2012). A study on the idea of textile pattern design through the expression of visualizations in music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varied genres of popular mus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Kim, J. Y., & Oh, K. H. (2014). A study on the emotional language imagery according to popular music genres for development of textile print design ideas 1.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3), 354-365. doi:10.5805/SFTI.2014.16.3.354 

  10. Kim, M. H. (2005).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elodies -Centering on the Gayageum Sanjo-.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Kim, Y. I., Kim, E. K., Kim, J. Y., Kim, H. S., & Mun, Y. A. (2009). Colorful language of fashion. Seoul: Gyomunsa. 

  12. Kwon, O. S. (1992).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to use the rhythm scenes of mus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3. Lee, H. A. (2004). A study of fashion design based on visualization of music centered on expressing cosmos image by synesthetic interpretation about Punk Rock.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Lee, J. H. (2008a). Alexander Scriabin's piano music : Study on the originality by the periodic divi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15. Lee, I. S. (2008b).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Haegum Sanjo's melody focused on the scratch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6. Lee, J. W. (2005). Emotion-based image retrie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7. Nam, J. S. (2005).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rhythmic sen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Rheem, S. O. (1989).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usical inspiration by visual signs : Centering on the art pos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Suh, Y. I. (2004). A study on the synthesia visualized expression of music focusing on visualization of the in Mr. Hwang Byung Ki's Kayakeum mus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Walker, M. (1996). Power of Color. (E. K. Kim, Trans.). Seoul: Kyobo Book Centre. (Original work published 1990) 

  21. Yu, K. W., & Nam, J. S. (2006).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rhythmic sense-.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8(1), 11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