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Q-ray view (All in one Bio, Seoul, Korea)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적절히 탐지해 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명의 소아치과의사가 3-9세 사이의 어린이 32명(평균연령 $5.6{\pm}1.3$세)의 유구치 인접면 100개를 시진, Q-ray view, DIAGNOdent (KaVo, Biberach, Germany),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으로 평가하였다. 각 검사법과 실제 치료 시 관찰된 인접면 우식증의 진행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시진, Q-ray view, DIAGNOdent, 디지털 치근단 방사선사진 촬영 순으로 0.15, 0.10, 0.25, 0.68이었으며, 상아질 우식증에 대한 kappa값은 0.34, 0.56, 0.44, 0.70이었다. Q-ray view는 상아질까지 진행된 유구치의 숨은 인접면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하고 간편한 보조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Q-ray view (All-in-one Bio, Seoul, Korea) in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in primary molars with sound marginal ridges. Thirty two children aged 3-9 years (average $5.6{\pm}1.3$ years old) were chosen, and two examiners evaluated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Q-ray view가 변연융선이 파괴되지 않은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적절히 탐지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여 소아치과 영역에서 Q-ray view 사용의 적합성 및 활용 여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개발된 치아우식증 탐지장비인 Q-ray view가 변연융선이 건전한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적절히 탐지해 낼 수 있는지를 평가할 목적으로 임상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Q-ray view가 인접면의 법랑질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한계를 나타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인접면에서의 형광 대조도의 부족 때문이다. 전통적인 형태의 QLF는 광원과 카메라의 외형 및 각도로 인해 인접면에 존재하는 초기 우식증을 탐지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반하여16), Qray view의 경우, 유구치의 협측과 설측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광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소아치과학회에서는 우식 활성도가 높은 환아의 경우 인접면 우식증에 대해 어떤 조치를 권고하는가? 미국소아치과학회(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는 우식 활성도가 높은 환아의 경우 육안으로 인접면 우식증이 확인되지 않더라도 6개월에서 12개월 간격으로 교익 방사선사진을 촬영할 것을 권고하였다7). 또한, 시진과 탐침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교익 방사선사진을 촬영했을 때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을 2배 이상 더 잘 탐지할 수 있다는 이전의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8).
Q-ray view가 인접면의 법랑질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한계를 나타내는 이유는 어떻게 생각해 볼 수 있는가? Q-ray view가 인접면의 법랑질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 한계를 나타낸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인접면에서의 형광 대조도의 부족 때문이다. 전통적인 형태의 QLF는 광원과 카메라의 외형 및 각도로 인해 인접면에 존재하는 초기 우식증을 탐지하는 것이 불가능한데 반하여16), Qray view의 경우, 유구치의 협측과 설측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광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병소가 접촉점 하방에 존재하는 경우 적절하게 빛을 조사하기 어려우며, 인접면을 협측이나 설측에서 볼 경우 법랑질 하방에 상아질이 존재하지 않아 초기 법랑질 병소와 주위 법랑질 사이의 대조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인접면에 존재하는 법랑질 우식증을 탐지하는 데는 한계점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16,22). 둘째, 형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의 종류 때문이다. 초기 법랑질 우식 병소에서는 Streptococci가 우세하게 관찰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30,31), Streptococci는 405 nm 파장의 빛을 조사하였을 때 초록색의 형광을 발현한다32). 따라서 다른 세균보다 Streptococci가 우세한 초기 법랑질 우식 부위에서는 붉은색 형광을 관찰하기 힘들 것으로 생각된다.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 진행속도가 빠른 이유는? 유구치의 인접면 우식증 진행 속도는 매우 빠르다. 유구치는 인접면의 접촉면적이 넓어 치태의 축적이 쉽고 영구치에 비해 광화가 덜 되어 있으며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가 얇기 때문이다1,2). 하지만 인접면 우식증은 병소가 노출되어 있는 평활면 우식증이나 교합면 우식증과는 달리 탐침이나 육안으로 탐지하기 어려워 조기진단이 어렵고 병소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o KH, Yoon JH, Kim SG, Lee SH :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using laser fluorescen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323-330, 2004. 

  2. Wilson PR, Beynon AD : Mineralization differences between human deciduous and permanent enamel measured by quantitative microradiography. Arch Oral Biol, 34:85-88, 1989. 

  3. Seol JH, Oh YH, Lee NY, Lee SH : Detection of early proximal caries with laser fluorescen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31:236-246, 2004. 

  4. Mejare I, Grondahl HG, Ottosson E, et al. : Accuracy at radiography and probing for the diagnosis of proximal caries. Eur J Oral Sci, 93:178-184, 1985. 

  5. Kim YH, Kang BC : The value of periapical radiograph in the diagnosis of interproximal Carie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30:49-54, 2000. 

  6. White SC, Atchison KA, Hewlett ER, Flack VF : Efficacy of FDA guidelines for ordering radiographs for caries detectio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7:531-540, 1994. 

  7.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Guideline on prescribing dental radiographs for infants, children, adolescents, and persons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Pediatr Dent, 34:189-191, 2012. 

  8. Newman B, Seow WK, Holcombe T, et al. : Clinical detection of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with and without bitewing radiography. Aust Dent J, 54:23-30, 2009. 

  9. White SC, Pharoah MJ : Oral radiology: Principles and interpretation, 7th ed., Mosby, 271-298, 2014. 

  10. Konig K, Flemming G, Hibst R : Laser-induced autofluorescence spectroscopy of dental caries. Cell Mol Biol (Noisy-le-grand), 44:1293-1300, 1998. 

  11. van der Veen MH, Thomas RZ, Huysmans MC, de Soet JJ : Red autofluorescence of dental plaque bacteria. Caries Res, 40:542-545, 2006. 

  12. Hope CK, de Josselin de Jong E, Higham SM, et al. : Photobleaching of red fluorescence in oral biofilms. J Periodontal Res, 46:228-234, 2011. 

  13. Lussi A, Hellwig E : Performance of a new laser fluorescence device for the detection of occlusal caries in vitro. J Dent, 34:467-471, 2006. 

  14. Farah R, Drummond B, Swain M, Williams S : Relationship between laser fluorescence and enamel hypomineralisation. J Dent, 36:915-921, 2008. 

  15. Neuhaus K, Longbottom C, Ellwood R, Lussi A : Novel lesion detection aids. Monoqr Oral Sci, 21:52-62, 2009. 

  16. van der Veen MH, de Josselin de Jong E : Applic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for assessing early caries lesions. Monoqr Oral Sci, 17:144-162, 2004. 

  17. Alammari MR, Smith PW, de Josselin de Jong E, Higham SM :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A tool for early occlusal dental caries detection and supporting decision making in vivo. J Dent, 41:127-132, 2013. 

  18. Stookey GK : Quantitative light fluorescence: A technology for early monitoring of the caries process. Dent Clin North Am, 49:753-770, 2005. 

  19. Al-Khateeb S, Forsberg CM, de Josselin de Jong E, Angmar-Mansson B : A longitudinal laser fluorescence study of white spot lesions in orthodontic pati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3:595-602, 1998. 

  20. Tranæus S, Al-Khateeb S, Angmar-Mansson B, et al. : Application o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to monitor incipient lesions in caries-active children: A comparative study of remineralisation by fluoride varnish and professional cleaning. Eur J Oral Sci, 109:71-75, 2001. 

  21. Eggertsson H, Analoui M, Stookey G, et al. : Detection of early interproximal caries in vitro using laser fluorescence, dye-Enhanced laser fluorescence and direct visual examination. Caries Res, 33:227-233, 1999. 

  22. Tranæus S, Angmar-Mansson B :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measurement-a future method for the dentist?. Quintessenz, 53:131-141, 2002. 

  23. Kim BI : QLF concept and clinical Implement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49:443-450, 2011. 

  24. Lee ES, Kang SM, Kim BI, et al. : Association between the cariogenicity of a dental microcosm biofilm and its red fluorescence detected by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J Dent, 41:1264-1270, 2013. 

  25. Koenig K, Schneckenburger H : Laser-induced autofluorescence for medical diagnosis. J Fluoresc, 4:17-40, 1994. 

  26. Coulthwaite L, Pretty IA, Verran J, et al. : The microbiological origin of fluorescence observed in plaque on dentures during QLF analysis. Caries Res, 40:112-116, 2006. 

  27. Banerjee A, Yasseri M, Munson M : A method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bacteria in human carious dentine using fluorescent in situ hybridisation. J Dent, 30:359-363, 2002. 

  28. Munson M, Banerjee A, Watson T, Wade W : Molecular analysis of the microflora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J Clin Microbiol, 42:3023-3029, 2004. 

  29. Wicht MJ, Haak R, Noack MJ, et al. : Suppression of caries-related microorganisms in dentine lesions after short-term chlorhexidine or antibiotic treatment. Caries Res, 38:436-441, 2004. 

  30. Nyvad B, Kilian M : Microbiology of the early colonization of human enamel and root surfaces in vivo. Scand J Dent Res, 95:369-380, 1987. 

  31. Al-Ahmad A, Follo M, Hanning C, et al. : Bacterial colonization of enamel in situ investigated using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J Med Microbiol, 58:1359-1366, 2009. 

  32. Lennon AM, Buchalla W, Attin T, et al. : The ability of selected oral microorganisms to emit red fluorescence. Caries Res, 40:2-5, 2006. 

  33. Murdoch-Kinch CA, McLean ME : Minimally invasive dentistry. J Am Dent Assoc, 134:87-95, 2003. 

  34. Lussi A, Hibst R, Paulus R : DIAGNOdent: an optical method for caries detection. J Dent Res, 83:80-83, 2004. 

  35. Pretty IA, Edgar WM, Higham SM : The effect of ambient light on QLF analyses. J Oral Rehabil, 29:369-37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