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회석 광산 지역의 지반침하 원인 규명을 위한 현장조사와 지반 안정성 분석 사례
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for Diagnosis of Subsidence Occurrence in Limestone Mine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5 no.4, 2015년, pp.332 - 340  

이승중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김병렬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최성웅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오석훈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산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는 인명과 지표시설물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으므로 지반침하 발생지역에 대한 일련의 현장조사와 지반안정성 분석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원군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의 일부 지점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와 지반안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지역 암반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해 지표 부근 연약대의 분포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들을 토대로 침하원인 규명을 위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본 광산지역에서 발생된 지반침하는 석회암층에서 발달된 용식공동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und subsidence occurring in mine area can cause an enormous damage of loss of lives and properties, and a systematic survey should be conducted a series of field investigation and ground stability analysis in subsidence area. This study describes the results from field investigation and ground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광산지역의 침하원인 규명을 위해 암반의 공학적 특성조사와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반안정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물리탐사 기법의 이점을 이용하여 채굴적 상부 및 광산 인근 지역에서 발생된 침하지를 중심으로 용식공동의 존재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였다.
  • 침하발생 당시 정밀 조사가 수행되지 않아 정확한 침하규모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 촬영된 현장사진과 탐문조사 결과, 침하지 9개소에서 발생된 침하규모는 반경 약 2~5 m, 깊이 약 1~3 m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침하가 발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으며, 침하지 하부의 암반평가를 위해 갱내 조사를 수행하였다.
  • 지반침하 안정성 분석을 위해서는 석회암 내부에 발달하는 공동의 분포 및 그에 수반되는 연약대의 분포 형태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조사지역의 지반 상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암반의 공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침하원인 규명을 위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갱내 현장조사 결과, 채굴적이 존재하는 석회암층은 RMR-II 등급에 해당하는 암반이다. 석회암층과 표토사이에 존재하는 암반은 전기비저항 탐사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적 천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석회암층보다 풍화를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여 RMR-III 등급의 암반으로 가정하였다.
  • (1983)가 제안한 식으로 보정하여 입력물성을 결정하였다. 석회암층의 상부 암반 즉, 풍화된 석회암층의 입력물성은 과거 수행된 시추자료가 현재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시추코어에 대한 시험이 불가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RMR-III 등급의 암반으로 가정하였으며, RMR-III 등급의 평균값과 Kim et al.(1993)가 제안한 RMR 경험식을 이용하여 입력물성을 산정하였다(Table 3과 4).
  • 일반적으로 석회암지대에서 용식공동 내에 점토질이나 지하수가 충전되어 있을 경우 저비저항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전산해석 상에서는 이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저비저항대를 공동 형태로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발생한 지반침하는 대부분 어느지역에서 발생되었는가? 국내에서 지금까지 발생한 지반침하의 대부분은 석탄을 채굴하던 폐광지역에서 발생되었으며 이에 대한 정밀조사와 대책수립 등 지속적인 광해복구사업이 진행되고 있다(Kim et al., 2004, Choi et al.
석회암지대에서 발생되는 지반침하의 심각성이 작게 인식된 이유는? , 2013). 이에 비하여 석회암지대에서 발생되는 지반침하는 그 사례가 적고, 탄광지역에서 발생한 침하보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그 심각성이 작게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용식공동에 의한 지반침하가 새로운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기법의 개발 및 대책수립 등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Sunwoo et al.
석회암 분포지역내의 용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은 어떤 재해를 유발하는가? 석회암 분포지역 내에는 다른 종류의 암석과는 달리 용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하 공동(limestone cave)이나 함몰지(doline) 등의 다양한 지형적인 특성과 차별 풍화에 의한 불규칙한 기반암선 등이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용식 지형은 도로, 주택 등 상부 구조물의 손상과 지하수원의 오염 및 고갈 등의 각종 재해를 유발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Wilson and Beck, 1988, Goodman, 1993, Beck, 1996, Waltman and Fookes,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ndis S.C., Lumsden A.C. and Barton N.R., 1983, Fundamentals of rock joint deformation, Int. J. Rock Mech. Min, Sci. Geomech. Abstr., Vol. 20, No. 6, 249-268. 

  2. Beck, B.F. and Pearson F.M., 1995, Karst geohazards: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karst terrane. Proc. 5th multidisciplinary conference on sinkhole and the engineering and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impact of karst, Gatlinburg, Tennessee, 25-50. 

  3. Choi, S.O., Jeon, Y.S., Park, E.S., Jung, Y.B. and Chun, D. S., 2005, 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gram,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5, No. 3, 195-212. 

  4. Goodman, R.E., 1993, Engineering geology: rock in engineering construction, Wiley, 143-193. 

  5. Han, K.C., Cheon, D.S. Ryu, D.W. and Park, S.G., 2007,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on Gyochon residential region of Muan cit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7, No. 1, 66-74. 

  6. Jung, Y.B., Song, W.K. and Kang, S.S., 2008, Development of subsidence hazard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depth of gangway,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8, No. 4, 272-279. 

  7. Kim, B.R., Lee, S.J. and Choi, S.O., 2013,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of joint sets and location of subsidence zone in subsidence area,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23, No. 5, 392-400. 

  8. Kim, C.R, Kim J.H, Park, S.G., Park, Y.S., Yi, M.J., Son, J.S. and Rim, H.R., 2006,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cavity detection at the ground subsidence area in karst, Vol. 9, No. 4, 271-278. 

  9. Kim, G.W., 1993, Revaluation of geomechanics classifications of rock masses, Proceeding of KSEG 1993 fall conference, 33-40. 

  10. Kim, J.W., Jeon, S.W. and Suh, Y.H.,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underground opeings on the stability of surface structures using scaled model tests,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4, No. 1, 43-53. 

  11. Lee, S.J., Jung, Y.B. and Choi, S.O., 2008, A study on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II,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ol. 18, No. 6, 436-446. 

  12. Park, S.S., Hong, J.W. and Cheon, B.S., 2013, A study on the reinforcement case of bridge foundation in the limestone cavity with CGS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4, No. 12, 43-52. 

  13. Sunwoo, C., Song, W.K., Ryu, D.W. and Rao, U.D., 2006, Causal analysis of subsidence and prediction of damage zone in an abandoned underground limestone m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Vol. 43, No. 1, 1-12. 

  14. Waltman, A.C. and Fookes, P.G., 2003, Engineering classification of karst ground condition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logy, Vol. 36, 101-118. 

  15. Wilson, W. and Beck, B.F., 1988, Evaluating sinkhole hazards in mantled karst terrain, Geotechnical special publication, No. 14, 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