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안드로이드 모바일 악성 앱 탐지를 위한 확률적 K-인접 이웃 분류기
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for detection of malware in android mobile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5 no.4, 2015년, pp.817 - 827  

강승준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윤지원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인은 스마트폰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수 많은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실제로 해커들은 스마트폰에 악성 프로그램을 은밀하게 설치하여 장치 이용 제한 및 개인정보 유출 등의 보안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악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프로그램과 다르게 필요 이상의 권한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바탕으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기반 앱들이 요구하는 권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PCA)과 확률적 K-인접 이웃(Probabilistic K-Nearest Neighbor:PKNN) 방식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악성 프로그램과 일반 프로그램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뿐 아니라 이를 k-묶음 교차 검증(K-fold Croos Validation)을 통해 PKNN의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인접 이웃(K-Nearest Neighbor:KNN) 방식과 비교하여, KNN이 분류하기 힘든 부분을 확률적으로 해결하는 PKNN방법을 제안한다. 최종적으로 제안한 방식을 최적화하는 ${\kappa}$${\beta}$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악성 앱 샘플은 Contagio에 요청하여 이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modern society, people are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This makes easier for hackers to gain the user's information by installing the malware in the user's smartphone without the user's authority. This kind of action are threats to the user's privacy. The malware characte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아직까지 알려진 안드로이드 악성 코드가 성장함에 따라 미래에는 권한 기반의 탐지 기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6].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앱들을 다운 받을 때, 필요 이상의 권한을 요구하는 악성 앱의 특징을 통해 악성 앱을 판별하고자 했다. 분류 방법으로는 확률적인 k개의 인접 이웃을 비교하여 분류하고, 악성 앱으로 판별된다면 사용자들이 앱을 다운받을 시 경고를 주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악성 앱이 일반 앱보다 더 많은 권한을 요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는 악성 앱이 필요 이상으로 더 요구하는 권한으로 악의적인 목적이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본 논문에서는 일반 앱과 악성 앱이 요구하는 권한의 차이를 통해서 두 클래스를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앱들을 다운 받을 때, 필요 이상의 권한을 요구하는 악성 앱의 특징을 통해 악성 앱을 판별하고자 했다. 분류 방법으로는 확률적인 k개의 인접 이웃을 비교하여 분류하고, 악성 앱으로 판별된다면 사용자들이 앱을 다운받을 시 경고를 주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위 기반 탐지 방식은 무엇인가? 행위 기반 탐지 방식(Behavior Based Detection)은 동적 분석 방법으로,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는 방법이다. 즉, 실행 파일을 직접 실행하여 시스템 콜과 시스템 로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악성 행위에 대한 패턴을 찾아 악성 코드를 분류한다.
악성 앱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는 방법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악성 앱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그 파일 자체를 분석하는 정적 분석 방법과 프로그램 실행 과정을 단계적으로 분석하는 동적 분석 방법으로 나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현재 구글플레이(Google Play)에 올라온 안드로이드 앱이 약 150만개가 올라 왔을 때[5], 이를 정적 분석이나 동적 분석을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많은 처리시간이 요구된다.
시그니처 기반 탐지 기술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시그니처 기반 탐지 기술은 악성코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악성코드라 인식하는 경우가 적고 많이 알려져 있는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전부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로데이 공격과 같은 시스템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탐지하기가 어렵다[18]. 또한 만약 비교해야 할 시그니처가 많으면 모바일 장비의 메모리 자원을 많이 사용해서 부하를 많이 줄 것이다[19]. 이러한 특징으로 시그니처 기반의 악성 코드 탐지는 미래의 변화된 악성코드를 탐지해 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Marketer, [Online] "Smartphone Users Worldwide Will Total 1.75 Billion in 2014" URL{http://www.emarketer.com/Article/Smartphone-Users-Worldwide-Will-Total-175-Billion-2014/1010536} Jan. 2014 

  2. DENCK, William, et al. "Understanding Android Security," IEEE security & privacy, pp. 50-57, Jul 2009. 

  3. NETMARKETSHARE. [Online] "Mobile/Tablet Top Operating System Share Trend" URL{http://www.netmarketshare.com/} Oct.2014 

  4. ORTHACKER, Clemens, et al. "Android security permissions-can we trust them?." In: Security and Privacy in Mobi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40-51. 2012. 

  5. AppBrain. [Online] "Android Statistics - Google Play stats", URL{http://www.appbrain.com/stats/number-of-android-apps}, Mar 2015. 

  6. WEI, Xuetao, et al. "Permission evolution in the android ecosystem.," In: Proceedings of the 28th Annual Computer Security Applications Conference. ACM, pp. 31-40. 2012. 

  7. FELT, Adrienne Porter, et al. "Android permissions demystified.," In: Proceedings of the 18th ACM conference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ecurity. ACM, pp. 627-638. 2011. 

  8. WOLD, Svante; ESBENSEN, Kim; GELADI, Pau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hemometrics and intelligent laboratory systems, 2.1:pp. 37-52. 1987, 

  9. BARBER, David. "Machine Learning A Probabilistic Approach.2006.5 August." URL{http://files.is.tue.mpg.de/hjhuang/ebook/mlgm_epfl_book.pdf} 

  10. HOLMES, C. C.; ADAMS, N. M. A "probabilistic nearest neighbour method for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64.2: pp. 295-306. 2002, 

  11. BEYER, Kevin, et al. When is "nearest neighbor," meaningful?. In: Database Theory-ICDT'99.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217-235. 1999. 

  12. Barber, David. "Machine Learning and Pattern Recogni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2001. 5 August." URL{ http://www.inf.ed.ac.uk/teaching/courses/mlpr/lectures/mlpr-dim-red.pdf} 

  13. Zhang, Min-Ling, and Zhi-Hua Zhou. "A k-nearest neighbor based algorithm for multi-label classification." Granular Computing, 200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l. 2. pp.718-721, IEEE, 2005. 

  14. Hyelim Lee, J. W. Yoon, "Efficient Malware Detector for Android Devices,"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4(4), pp. 617-624. 2014 

  15. Yoon, Ji Won; FRIEL, Nial. "Efficient model selection for probabilistic K nearest neighbour classification." Neurocomputing, 149: pp. 1098-1108. 2015, 

  16. FELT, Adrienne Porter, et al. "A survey of mobile malware in the wild." In: Proceedings of the 1st ACM workshop on Security and privacy in smartphones and mobile devices. ACM, 2011. pp. 3-14. 

  17. BOSE, Abhijit, et al. "Behavioral detection of malware on mobile handsets." In: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bile systems, applications, and services. ACM, 2008. pp. 225-238. 

  18. Jae-sung Yun, Jae-wook Jang, Huy Kang Kim. "Andro-profiler: Anti-malware system based on behavior profiling of mobile malwar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2014, 24.1: pp. 145-154. 

  19. VENUGOPAL, Deepak; HU, Guoning. "Efficient signature based malware detection on mobile devices.," Mobile Information Systems, 2008, 4.1: pp. 33-49. 

  20. PEIRAVIAN, Naser; ZHU, Xingquan. "Machine learning for android malware detection using permission and api calls." In: Tool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ICTAI), 2013 IEEE 2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13. pp. 300-305. 

  21. AUNG, Zarni; ZAW, Win. "Permission-based Android malware det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and Technology Research, 2013, 2.3: pp. 228-2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