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실행시 커널 계층 이벤트 시퀀스 유사도 측정을 통한 악성 앱 판별 기법
Malicious App Discrimination Mechanism by Measuring Sequence Similarity of Kernel Layer Events on Executing Mobile App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4, 2017년, pp.25 - 36  

이형우 (한신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특히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악의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악성 어플리케이션 또한 3rd Party 오픈 마켓을 통해 배포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 내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금융정보 등을 외부로 유출하는 등의 피해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사용자를 대상으로 악성 앱과 정상 앱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앱 실행시 발생하는 시스템 콜 이벤트를 추출해서 악성 앱을 탐지하는 기존 관련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수의 모바일 단말에서 앱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커널 계층 이벤트들에 대한 발생 순서간 유사도 분석을 통해 악성 앱을 판별하는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상용 단말을 대상으로 실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martphone user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various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especially for Android-based mobile devices. However, malicious applications developed by attackers for malicious purposes are also distributed through 3rd party open markets, and damage such as l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6,8,10] 기법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Strace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서 발생한 시스템 콜 이벤트를 가지고 발생 빈도와 특징을 토대로 악성 앱 실행과 관련된 시스템 콜 이벤트 시퀀스를 찾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안드로이드 커널 내에 Strace를 설치해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었을 때 나타나는 시스템 콜 이벤트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다수의 상용 모바일 단말을 대상으로 정상 앱과 악성 앱 실행시 발생하는 시스템 콜 이벤트를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상용 모바일 단말 환경에서 사용자가 손쉽게 설치 및 이용할 수 있는 악성 앱을 효율적으로 탐지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owdroid 시스템이 하는 역할은 무엇입니까? Crowdroid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경우 발생한 모든 시스템 콜 이벤트들을 추적하고 이를 수집하여 출력 파일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Strace 툴을 사용하여 모바일 단말내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한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커널내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Strace를 이용하여 악성 소프트웨어를 탐지하고 그 결과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Crowdroid 시스템의 작동방식은 무엇입니까? 따라서 안드로이드 커널내 이벤트 정보를 수집하는 Strace를 이용하여 악성 소프트웨어를 탐지하고 그 결과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작동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드로이드 단말내 시스템 콜 이벤트 데이터 획득, 데이터 처리 및 악성 분석과 탐지의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된 Crowdsourcing 앱을 단말 내에 설치한 후 발생하는 시스템 콜 이벤트 정보를 행동 기반의 악성 소프트웨어 탐지 서버로 전송하면,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사용자들에 의해서 수집된 이벤트 정보를 토대로 악성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악성 앱 판별 서버에서는 Perl 언어 기반 데이터 분석 스크립트(Data analysis script)를 이용하여 Strace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대한 클러스터링 과정을 수행한다. K-means 알고리즘 기반 클러스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정상 행위와 비정상행위 이벤트와 앱에 대한 판별 과정을 수행한다.
악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일으키는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최근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obile Application)을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악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Malicious Mobile Application) 또한 상대적으로 급증하고 있어 사용자도 모르게 모바일 단말 내 개인정보 및 금융정보 등이 외부로 불법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1]. 이를 절차적으로 분석하면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오픈 마켓(Open market)이나 블랙 마켓(Black market)으로부터 다운로드 및 설치한 후 이를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하면 과도하고 불법적인 접근권한(permission) 변경을 통해 단말 내 주요 개인정보 또는 금융정보 등이 공격자가 지정한 외부 서버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 R. Jeon, J. Y. Kim, Y. S. Lee, D. H. Won, “Analysis of Threats and Countermeasures on Mobile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6, No. 2, pp. 153-163, 2011. 

  2. W. Enck, M. Ongtang, P. McDaniel, “Understanding android security,” IEEE Security & Privacy Magazine, Vol. 7, No. 1, pp. 50-57, 2009. 

  3. A. Shabtai, Y. Fledel, U. Kanonov, Y. Elovici, S. Dolev, "Google Android: A State-of-the-art Review of Security Mechanisms," Technical Report, Cornell University, 2009. 

  4. Sushma Verma, Sunil Kumar Muttoo, S.K. Pal, “MDroid: Android based Malware Detection Using MCM Classifier,”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pplied Sciences and Technology, Vol. 1, No. 8, pp. 206-215, 2016. 

  5. J. W. Park, S. T. Moon, G. W. Son, I. K. Kim, K. S. Han, E. G. Im, I. G. Kim, “An Automatic Malware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tring List and APIs,” Journal of Security Engineering, Vol. 8, No. 5, pp. 611-626, 2011. 

  6. I. Burguera, U. Zurutuza, S. Nadjm-Tehrani, "Crowdroid: Behavoir-Based Malware Detection System for Android," Proceeding of the 1st ACM workshop on security and privacy in smartphones and mobile devices(SPSM'11), ACM, Vol. 1, pp. 15-26, 2011. 

  7. A. Shabtai, U. Kanonov, Y. Elovici, C. Glezer, Y. Weiss, “Andromaly: a behavioral malware detection framework for android device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Vol. 38, No. 1, pp. 161-190, 2012. 

  8. Y. Zhong, H. Yamaki, H. Takakura, "A Malware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Similarity of Function Structure," 12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Applications and the Internet(SAINT), pp. 256-261, 2012. 

  9. More than 50 Android apps found infected with rootkit malware, http://www.guardian.co.uk/technology/blog/2011/mar/02/android-market-apps-malware. 

  10. CuckooDroid - http://cuckoo-droid.readthedocs.org/ 

  11. Y. J. Ham, H. W. Le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licious Application Detection System Using Event Aggregation on Android based Mobile Devic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Internet and Information, Vol. 14, No. 6, pp. 125-139, 2013. 

  12. Y. J. Ham, H. W. Lee, “Malicious Trojan Horse Application Discrimination Mechanism using Realtime Event Similarity on Android Mobile Devices,”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 15, No. 3, pp. 31-43, 2014. 

  13. H. W. Lee, "Android based Mobile Device Rooting Attack Detection and Malicious Application Event Monitoring," Review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3, No. 1, pp. 30-38, 2012. 

  14. http://www.malgenomeproject.org, 2013. 4 

  15. Y. J. Ham, D. Y. Moon, H. W. Lee, J. D. Lim, J. N. Kim, "Android Mobile Application System Call Event Pattern Analysis for Determination of Malicious Attack",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ions(IJSIA), Vol. 8, No. 1, pp. 231-246, 2014. 

  16. S. W. Cho, W. J. Jang, H. W. Lee, “Development of User Oriented Vulnerability Analysis Application on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3, No. 2, pp. 7-12, 2012. 

  17. B. S. Yu, S. H. Yu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ssenger Authentication Protocol to Prevent Smartphone Phish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4, pp. 9-14, 2011. 

  18. M. H. Lee, "A Study on N-Screen Convergence Application with Mobile WebApp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2, pp. 43-48,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