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평가와 향후 개편방향
Evaluating the Reform in 2015 and the New Reform Plan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cheme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4, 2015년, pp.827 - 845  

이용하 (국민연금연구원) ,  김원섭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본 연구는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이들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개편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번 연금개혁은 재정적 지속성, 기능적 투명성, 타 공적연금과 형평성 측면에서의 그 성과가 미흡하였다. 이 때문에 향후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한 논의는 다시 촉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개혁의 우선 순위는 공적연금 제도 간 통합에 두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제한적인 효과만을 지향하는 모수적 개혁방안을 지양하고 다양한 정책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공무원연금의 구조적 개편안을 제시하였다. 이 개편안의 골자는 공무원연금을 '국민연금 + 직역가산연금(부가연금) + 퇴직수당'의 다층노후체계로 개편하고, 신규 임용 공무원을 국민연금에 가입시키는 것이다. 국민연금이 공무원을 포함한 '전국민'의 '기본적 연금'으로 발전할 때 연금제도간 불평등도 완화되고 사회적 연대연금체제도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and suggests a new reform plan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cheme (GEPS) reforms in 2015.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reforms were insufficient in terms of financial sustainability, functional transparency, and equity. Debates on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무원연금의 발전과정은 어떠하였는가? 공무원에 대한 노후보장의 목적뿐만 아니라 실업, 재해, 퇴직금(후불임금)에 대한 보장 성격도 포괄하는 종합적인 소득보장제도로 설계되었다 (Choi, 2010). 공무원연금은 1963년 공무원연금에서 분리된 군인연금, 1975년에 도입된 사학연금과 함께 특수직역에 대한 관대한 소득보장을 제공하는 제도로 빠르게 발전해 왔다. 일반 국민들을 위한 ‘국민연금’은 공무원연금보다 28년이나 늦은 1988년에 와서 비로소 도입되었고 이마저 적립식으로 도입되면서 2008년에 와서야 20년 이상 가입의 본격적으로 수급자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공무원연금은 어떤 제도인가? 공무원연금은 1960년에 도입된 우리나라 최초의 공적 연금제도이다. 공무원에 대한 노후보장의 목적뿐만 아니라 실업, 재해, 퇴직금(후불임금)에 대한 보장 성격도 포괄하는 종합적인 소득보장제도로 설계되었다 (Choi, 2010).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한계는 무엇이었는가? 본 연구는 2015년 공무원연금 개혁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이들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개편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번 연금개혁은 재정적 지속성, 기능적 투명성, 타 공적연금과 형평성 측면에서의 그 성과가 미흡하였다. 이 때문에 향후 공무원연금개혁에 대한 논의는 다시 촉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MAS(Bundesministerium fur Arbeit und Soziales) (2011). Alterssicherungsbericht, BMfAS. 

  2. Choi, J. (2010). Commentaries on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GEPS. 

  3. Committee of the National Consensus(CoNC) (2015a). Final Report of Reform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II (Discussion Material of Plenary Session), 2015.03. 

  4. Committee of the National Consensus(CoNC) (2015b). Final Report of Reform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IV (Discussion Material for Civil Servants' Pension Subcommittee), 2015.03. 

  5. Committee of the National Consensus(CoNC) (2015c). Final Report of Reform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V (Discussion Material for Old Age Income Security System Subcommittee), 2015.03. 

  6. Deutschen Rentenversicherung (2013). Rentenversicherung in Zahlen 2013, DRV. 

  7. Inter-Ministerial Joint (2014). Acton Tasks of three-years Plan on Economic Innovation. 

  8. 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2014). Studies on Improvements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KDI/MOGAHA. 

  9. Kim, J. and Choi, J. (2004).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Beobwoosa. 

  10. Kim, S. (2008). A comparison betwee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and the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chemes from a lifetime income point of view, Journal of Economics, 56, 171-193 

  11. Kim, T. I. and Park, G. (2014). A Comparison between national pension scheme and 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cheme: Focusing on the effect of public pension system reform,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20, 173-203 

  12. Kim, W. S. and Lee, Y. (2014). Evaluating the introduction of basic pension system under Park-Guen-Hye government, Journal of Social Research, 15, 69-101 

  13. Kim, Y. (2014). Reform Plan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for Enhancing financial Stability, Korean Pension Association. 

  14.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2014). Annual White Paper on Welfare and Labor in 2014,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15.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MPM) (2015). Current Situations and Reform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Committee of the National Consensus, 2015a, Final Report of Reform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II (Discussion Material of Plenary Session), 2015.03. 

  16. MPM.GEPS(Govern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2015). Changes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MPM.GEPS. 

  17.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NPRI) (2014). Facts Book, National Pension Service. 

  18. Shong, I. (2012). Servants' Pension Systems in other Countries, GEPS. 

  19. Work's Institute of Industrial Labor Policy (2009). For good Pension! Reform Plan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20.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SSA) (2013). Fact Sheet Social Security, SSA. 

  21. Work's Institute of Industrial Labor Policy (2009). For good Pension! Reform Plan of Civil Servants' Pension Scheme, Korean Government Employees' Un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