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감소된 영상영역의 에코평면영상기법과 사전포화기법 사용에 의한 인공물 개선
Artifacts Improvement by using the Echo Planar Imaging and Pre-Saturation Pulse Band techniques of Reduced Field-Of-View in Bre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Examination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9 no.5, 2015년, pp.307 - 314  

이재흔 (부산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김현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임인철 (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 시 확산강조영상에서 발생하는 심장과 폐에 의한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과 감소된 영상영역 에코평면영상기법으로 발생하는 둘러겹침 인공물을 추가적인 사전포화기법을 사용하여 이를 저감화시키고자 하였다. 2014년 08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여성 환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 장비로는 유방 검사에 최적화된 3.0T와 유방 전용 코일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평가와 분석은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Paired T-test와 Wilcoxon rank test를 하였다. 결과적으로 추가적인 사전포화펄스의 사용으로 정량적인 평가에서는 병변에서 15.69%, 병변 근접 부위에서 13.72%, 지방에서 20.63%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도 대 잡음비의 경우는 병변과 병변 근접 부위에서 10.58%, 병변과 지방 부위에서 12.03%의 증가로 나타났다. 정성적인 평가에서는 확산경사계수 0에서 22.05%, 1000에서 21.42%, 현성확산계수에서 16.10%의 증가로 나타났으며, 통계적 평가에서는 신호 대 잡음비와 대조도 잡음비, 확산경사계수와 현성확산계수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사전포화펄스의 추가적인 사용으로 유방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 확산강조영상 획득 시 위상 부호화 방향으로 발생하는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과 둘러겹침 인공물이 감소가 되어 최적의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reducing the involuntary motion artifacts because of lungs and heart movements as well as the aliasing artifacts generated during the use of the reduced-FOV EPI technique while performing breast MRI. Performed on a total of 38 obesity female subjects who visited the cli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0T 심장 자기공명영상(heart MRI)검사에서 사전포화기법의 유용성에 대한 우수한 연구가 있었다[10]. 이에 본 연구에 서는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에서 인공물이 더욱 많이 발생하는 비만환자를 대상으로 확산강조영상에서 발생하는 심장과 폐에 의한 불수의적 움직임 인공물(involuntary movement artifact)과 감소된 영상영역 에코평면영상기법으로 발생하는 둘러겹침 인공물을 추가적인 사전포화기법을 사용함으로서 인공물을 저감화시켜 영상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유방암 사망률이 OECD국가들 중 최하위인 까닭으로 생각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유방암 발병 위험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유방암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국가들 중 최하위이다. 이는 적극적인 건강검진에 의한 조기 진단 비율상승과 표준화된 치료법으로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적용한 결과로 유방암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2] . 유방암의 진단에는 유방 엑스선 검사(mammography), 유방 초음파 검사(sono), 절제 생검(excisional biopsy)을 이용한 조직 검사, 자기공명영상검사(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등이 이용되고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어떤 기법인가? 유방 자기공명영상검사의 경우 검사시간이 길고 영상 수가 많으며 양성과 악성종괴의 감별, 유방암환자의 수술 전 병기 결정, 수술 전 항암 요법에 대한 종양의 반응 평가, 유방 성형 여성의 평가에 사용이 되고 있으나 조영제의 부작용이 있는 경우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최근 유방 자기공 명검사에서 급속하게 널리 적용되고 있는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e, DWI)은 세포 내·외 공간에서 물 분자의 이동을 영상화하는 기법으로 병변이 있을 때 신호 강도 변화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어 여러 부위 검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3-4]. 이런 물 분자의 확산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을 확산 경사계수(diffusion coefficient, DC)라 하며 이는 세포 기질 변화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5].
유방암의 연간 환자 발생률의 추이는 어떠한가? 1명으로 급격히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간 환자 발생률 역시 1996년 3,801명에서 2011년 16,967명으로 15년 사이에 4배나 늘었다. 또한 한국은 고소득 국가(미국, 서유럽, 일본, 호주, 뉴질랜드)에 포함되어 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국가들 중 하나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ttp://globocan.iarc.fr/Default.aspx, Gswlobocan. 2012.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white paper, p. 3, 2014. 

  3. G.W. Talbers, "Diffusion-weighted MRI for evaluation of acute stroke", Neurology, Vol. 51, No. 3, 1998. 

  4. J.H Cho, H.J. Kim, I.S. Hong, H.K. Le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iffusion Weighted Imaging in Breast MRI",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5, No. 3, 2011. 

  5. M.E. About-EI-Ghar, A. El-Assmy, H.F. Refaie, T. Ei-Diasty, "Bladder cancer: diagnosis with diffusion-weightd MR imaging in patients with gross hematuria", Radiology, Vol. 251, No. 2, pp. 415-21, 2009. 

  6. J.R. Teruel, A. Ostlie, D. Holland, et al., "Inhomogeneous static magnetic field-induced distortion correction applied to diffusion weighted MRI of the breast at 3T",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2014. 

  7. L.S. Arlinghaus, E.B. Welch, A.B. Chakravarthy, et al., "Motion correction in diffusion-weighted MRI of the breast at 3T",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33, No.5, pp. 1063-70, 2011. 

  8. E. Ozhinsky, D.B. Vigneron, S.J. Nelson, "Improved spatial coverage for brain 3D PRESS MRSI by automatic placement of outer-volume suppression saturation bands",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33, No. 4, pp. 792-802, 2011. 

  9. J.J. Wang, R. Deichmann, et al., "3D DTI-MRI using a reduced-FOV approach and saturation pulse", Magnetic Resonance Medicine, Vol. 51, No. 4, pp. 853-7, 2004. 

  10. D. Kim, O. Gonen, N. Oesingmann,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saturation pulses in the heart at 3T", Magnetic Resonance Medicine, Vol. 59, No. 1, pp. 209-15, 2008. 

  11. M. Korun., M.P. Maver, B. Vodenik, "Interpretation of the peak areas in gamma-ray spectra that have a large relative uncertainty", Applied Radiation Isotopes, Vol. 70, No. 6, pp. 999-1004, 2012. 

  12. V. Fiaschetti, C.V. Pistolese, V. Funel, et al., "Breast MRI artifacts: evaluation and solutions in 630 consecutive patients", Clinical Radiology, Vol. 68, No. 11, pp. 601-8, 2013. 

  13. J.P. Felmlee, R.L. Ehman, "Spatial presaturation: a method for suppressing flow artifacts and improving depiction of vascular anatomy in MR imaging", Radiology, Vol. 164, No. 2, pp. 559-64,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