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적용-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7, 2004년, pp.1288 - 1297  

서현미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하양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05 elderly person over the age of 60, living in rural and urban, Korea.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상의 개념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고, 건강증진에 초점을 둔 Pender(1996, 1999)의 모형을 근간。-로 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Pender의 3차 모형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개념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elderly.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305 elderly person over the age of 60, living in rural and urban, Korea.
  • 즉, 3차 모형에서 새로이 추가된 개념인 행동계획 수립, 행위 관련 감정을 포함하고, 3차 모형에서 재배치된 이전의 관련 경험을 포함했으며, 3차 모형에서 제시한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감정인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 성,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 영향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이 경험하는 많은 만성상황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채택하면 경감되고 예방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Pender가 그동안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수정한 3차 모형에 기반을 두고,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간호 중 재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ender(1996)의 새로운 건강증진 모형을 기반으로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을 파악하고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켐페인과 공공 교육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0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충북 음성군의 재가 노인 3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Pender의 3차 모형에 기반을 두고 대부분의 개념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의 영향요인을 규명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Pender(1996)모형에서 제시한 행동계획 수립과 재배치된 개념인 이전의 관련 행위가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이들 개념들에 대한 반복적인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한다.
  • 본 연구는 Pender의 3차 모형에 기반을 두고 대부분의 개념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의 영향요인을 규명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즉, 1, 2차 모형에서는 이전 의 관련 경험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고 관련된 여러 변수 중의 하나로 간과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서 대부분의 연구에서 포함하지 않았는데, 3차 모형에서는 이 전의 관련 경험이 재배치되면서 하나의 주요 개념으로 자리를 잡았고, 본 연구에서도 건강증진 생활 양식을 55.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을 파악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이 전의 관련 행위가 건강증진 생활 양식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는 중요한 설명 요인이었다. 이 전의 관련 행위는 건강증진 생활 양식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현재 그 행위의 세부사항에 일일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습관을 형성하여 현재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고, 습관의 힘은 행위가 일어날 때마다 증가하며,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실행에 의해 가장 잘 촉진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 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 Pender(1996)의 건강증진 모형을 기초로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을 파악하고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자기 효능 측정 도구는 Sherer와 Maddux(1982)가 특정 상황에 국한되지 않은 일반적 상황에서의 자기 효능을 측정하고자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17개 문항으로 개발 당시 Cronbach a=.
  • Pender의 3차 모형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개념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즉, 3차 모형에서 새로이 추가된 개념인 행동계획 수립, 행위 관련 감정을 포함하고, 3차 모형에서 재배치된 이전의 관련 경험을 포함했으며, 3차 모형에서 제시한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감정인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 성, 자기 효능감, 대인관계 영향을 포함하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를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이 경험하는 많은 만성상황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채택하면 경감되고 예방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Pender가 그동안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수정한 3차 모형에 기반을 두고,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간호 중 재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onn, V. S. (1998). Older adults and exercise. Nurs Res, 47(3), 180-189 

  2. Godin, G., Colantonio, A., Davis, B. M., Shephard, R. J. (1986). Prediction of leisure time exercise behavior among a group of lower-limb disabled adults. J Clinical Psychol, 42(2), 272-279 

  3. Kim, M. J., Song, H. J. (1997). Predictor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for korean immigrants in the U.S.A. J Korean Acad Nurs, 27(2), 341-352 

  4. Kim J. S., Bramlett, M. H., Wright, L. K., Poon, L. W. (1998). Racial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Nurs Res, 47(4), 243-250 

  5. Lee, M, R. (1997).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7(1), 156-168 

  6. Lierman, L. M., Young, H. M., Kasprzyk, D., & Benoliel, J. Q. (1990). Predicting breast self-examination using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Nurs Res, 39(2), 97-101 

  7. Lusk, S. L., Ronis, D. L., & Hogan, M. M. (1997). Test of the health promotion model as a causal model of construction workers' use of hearing protection. Res in Nurs & Health, 20, 183-194 

  8. Martinelli, A. M. (1999). An explanatory model of variable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smoking and nonsmoking college students. Public Health Nurs, 16(4), 263-269 

  9. Moon, J. S. (1990). A study of instrument devei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0. Neuberger, G. B. Kasal, S. Smith, K. V., Hassanein, R. & DeViney., S. (1994) Determinants of exercise and aerobic fitness in outpatients with arthritis. Nurs Res, 43(1), 11-17 

  11. Oh, P. J. (1994).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stomach cancer.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Padula, C. A. (1997).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activities by elderly couples. J Fam Nurs, 3(1), 88-106 

  13. Park, J. W. (1985).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Park, E. S., Kim, S. J., Kim, S. I., Chun, Y, J., Lee, P. S., Kim, H. J., Han, K. S. (1998).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J Korean Acad Nurs, 28(3), 638-649 

  15. Park, Y. J., Lee, S. J., park, E. S., Chang, S. O. (1999). A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Nurs, 29(2), 281-292 

  16.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ition, Appleton and Lange Stamford, Conneticut 

  17. Pender, N. J. (1999). Health Promotion & Nursing. International Conference. Korea University School of Nursing 

  18.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 Reports, 51, 663-667 

  19. Song, M. S. (1996. 10. 11). Health promotion for older adults(pp.77-83) : Health promotion and changes in health care delivery syste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press 

  20. Song, Y. S., Lee, M. R., Ahn E. K. (1997).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J Korean Acad Nurs, 27(3), 541-549 

  21. Speake, D. L., Cowart, M. E., & Pellet, K. (1989).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 Nurs & Health, 12, 93-100 

  22. Stuifbergen, A. K., & Roberts, G. J. (1997). Health promotion of women with multiple sclerosis. Arch Phys Med Rehabil, 78, December, S-3-S-9 

  23. Sung, M. H., Lim, Y. M. (2003). The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the elderly women. J Korean Acad Nurs, 33(6), 762- 771 

  24. Umberson, D. (1992). Gender, marital status, and the social control of health behavior. Soc Sci & Med, 34, 907-917 

  25. Walker, S. N., Volkan, K., Sechrist, K. R., & Pender, N. J. (1988). Health-promoting life styles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NS, 11(1), 76-90 

  26.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95).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27. Wallace, S. P., Villa, V., Moon Ailee, & Lubben, J. E. (1996). Health practices of korean elderly people: National health promotion priorities and minority community needs. Fam & Community Health, 19(2), 29-42 

  28. Wankle, L. M. (1985). Personal and situational factors affecting involvement : The importance of enjoyment. Res Q Exerc and Sport. 56(3), 275-282 

  29. Yun, S. N., & Kim, J. H. (1999).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anufacturing woman workers. 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J Korean 1ndustrial Nurs, 8(2),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