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종이접기 공예품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Korean Paper Folding Crafts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7 no.4, 2015년, pp.168 - 176  

전철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생명자원융합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of paper folding had continued before that the paper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pread in the 3rd century and it was used for witchcrafts and rituals. Fold means as was used with the word Cheop and Jeopji.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ical hat with fabric spread as customs, th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민족의 종이접기 역사는 일본보다 앞서있고, 그들보다 탁월한 손재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이접기에 대한 관심의 소홀로 국제공용어가 일본어인 오리가미(Origami)로 통용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선조들이 창의성을 발휘해 만든 종이접기공예품을 중심으로 그 원류와 함께 역사성을 찾아 종이접기공예의 역사적 기반을 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왜냐하면 깁은 강도적 성질이 없어 일정한 형태로 접혀지지 않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접선용으로는 부적합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우리 민족의 창의성이 발휘되어 당시 종이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인 유연도를 이용하고자하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접선을 고안해 낸 것이다. 이 접선의 인기는 1123년에 기행문 형태로 쓴 선화봉사 고려도경의 기록에도 남아 있다.
  • 는 취지에서 지화공예가 발달하게 되었다. 즉 당시의 조화는 값이 비싼 소재를 가지고 만들었기 때문에 이를 자제하자는 것이었다. 이 시기가 태조 7년(1398)이므로 조선시대 이전부터 조화를 만들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가설 설정

  • 당시의 고깔은 주로 저마포(苧麻布)로 만들었으며, 만드는 방법은 이등변삼각형으로 배접한 베 조각을 둘로 꺾어 접어 다시 이등변삼각형이 되게 하고, 터진 두 변에서 밑변만 남기고 다른 변은 붙게 하여 만들었다.10) 당시의 고깔은 종이를 이용해 접은 것은 아니었다. 삼국시대는 우리나라에 제지기술이 전래된 초기로서 종이의 주 용도가 서사용이었기 때문에 생활용품이나 공예에 이용하는 것은 생각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대표 첩 공예품인 종이 빗접고비의 용도는? 더욱 사치스러운 것은 비단으로 수(繡)를 놓거나 무명천으로 장식하기도 한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첩 공예품으로서는 종이 빗접고비(皐比)가 있는데, 이것은 남녀가 1년간 빗질할 때 빠진 머리카락을 유지(油紙)로 만든 퇴발낭(退髮囊)에 모아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되었다. 설날 황혼에 문밖에서 태우면 나쁜 병을 물리친다고 하는 풍습28)이 있어 많이 애용되었던 첩 공예품이었다.
군사용으로 이용된 공예품인 살가림의 특징은? 이외에도 미세한 가루나 약제를 넣어 두었던 종이로 만든 지낭(紙囊)이 있었고, 종이는 아니나 첩이라는 명칭을 가졌던 또 다른 공예품으로는 살가림[乏]33)이 있었다. 이 공예품은 군사용으로 이용되었는데 후(候)의 옆에서 화살을 피하는 물건이었기 때문에 부드러운 가죽[韋]으로 만들었다. 높이와 폭이 각각 7척(尺)이고, 형상은 병풍과 같고, 3첩(疊)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첩(疊)’이라는 용어는 두께가 있는 완성품을 접는다는 의미와 함께 공예품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종이접기공예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종이접기공예품이란 종이를 반복적으로 접어 동·식물이나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전통놀이에 필요한 도구를 만든 것을 의미한다. 그 자체를 펼치면 입체적인 형태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nnals of King Sejong, Orye/Gunrye Seorye/Byeongi/Gap.Ju. 

  2. Kim, J. H., A study on status of Korea craft industry - Focusing on craft industry structure, art and culture design, IT.Design Fusion Program, Graduate School of NID Fusion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p. 3 (2010). 

  3. Annals of King Sejong, Orye/Gunrye Seorye/Sagi/Pip.Bok. 

  4. kyoutaelee@chosun.com, 03.21 (2004). 

  5. Ryu, C. G., The Latest Agricultural Dictionary, Nongwon Publishing Company, Seoul, p. 591 (1985). 

  6. Samguksagi, Vol.33, Japji 2, Saekbok. 

  7. Jeong, H. J., Silla Royalty Came Ran to Silk Road, Ilbit Publishing Company, Seoul, p. 25 (2010). 

  8. David, M. R., The Genesis of Civilization, Kim, S. H. (transl.), Haenaem Publishing Company, Seoul, p. 149 (2000). 

  9. Jeong, H. J., The History walk of Jeong, H. J.: 14th-Cone hat is the key to solve the mystery of Silla royalty, April 16, 09:55, GBN TV, Keongbuk (2014). 

  10. Doosan World Dictionary EnCyber, Cone hat. 

  11. Samguksagi, Vol. 32, Japji 1, Sacrifice. 

  12. Kume yasuo, Washi Paper Culture, Mainichi Communication, Tokyo, p. 3, (1990). 

  13. Collection of Korea University Museum, Color on Paper. 

  14. Annals of King Taejong, Vol. 29, Taejong'15, April 13 (Gyeongjin) (1415). 

  15.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Goryeodogyeong (Korean translation), Samsung Printing co., ltd, Seoul, p. 142 (1977). 

  16. Imwongyeongjeji, Seomyongji 'Pimaja oil gajakinsaekgupyuji'. 

  17. Annals of King Taejong, Vol. 1, Taejong'1, July 28 (Jeongmi) (1392). 

  18. Banjising, China Paper Technical History, Cho, B. M. (transl.), Gwangil Publishing Company, Seoul, p. 78 (1979). 

  19. Gang, G. U., The Newest Research of Gyerimyousa, Jisik and Gyoyang Publishing Company, Seoul, p. 227 (2002). 

  20. Foundation National Culture Promotion, Koreadogeong (Korean translation), Samseong Publishing Company, Seoul, pp. 78-80, pp. 173-174 (1970). 

  21. cafe.daum.net/mpuhistorian (Mokpo National University History Graduate Cafe). 

  22. Foundation National Culture Promotion, Donggukisanggukjip, Samgwang Publishing Company, Seoul, p. 75 (1982). 

  23. Gwak, Y. H., Dohwagyeonmunji, Park, E. H. (transl.), Sigongsa.Sigong art co., ltd, Seoul, p. 589 (1989). 

  24. Park, E. S., Dohwaseo (The painting bureau) and Court Painters in Chosun Dynasty, Korean Monarchy Culture Course (Chosun Monarchy Art and Letters), Jangseogak Academy, Seoul, pp. 183-187 (2012). 

  25. http://www.emuseum.go.kr 

  26. Annals of King Taejong, Vol. 15, Taejong'7, Dec. 29 (Sinmi) (1398). 

  27. Annals of King Taegjong, Vol. 28, Taejong'14, Dec. 1 (Kyeoungo) (1414). 

  28. Annals of King Sejong, Vol. 9, Sejong'2, Aug. 17 (Gyechuk) (1420). 

  29. Annals of King Youngjo, Vol. 3, Youngjo'22, Apr. 21 (Byeongsul) (1746). 

  30. Annals of King Sejo, Vol. 24, Sejo'7, Apr. 1 (Sinmi) (1462). 

  31. Diary of Gwanghaegun, Vol. 150, Gwanghaegun'12, Mar. (Gapo) (1620). 

  32. Korea institute of mental culture, Royal yeonhyang culture of Chosun Dynasty, Minsokwon publishing company, Seoul, pp. 370-371 (2003). 

  33. Annals of King Sejong, Orye/Gunrye Seorye/Sagi/Pip.Bok. 

  34. Tamura kouichi, Nakranggun jiyeokchultoyiu injanggwa bongni-mahanmunhwayiu ballon, Gogohakjapji Vol. 62-2 (1976). 

  35. Annals of King Youngjo, Vol. 13, Youngjo'3, Oct. 6 (Muja) (1727). 

  36. Rho, S. S., Translation of Nanjung Ilgi, Mar. 21,1596 (Byeongsin), Donga-newspaper, Seoul, p. 329 (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