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섬유를 이용한 열가소성 복합재료 시트 제조 및 특성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Carbon Fiber Composite Sheets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28 no.4, 2015년, pp.168 - 175  

이윤선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 Fiber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송승아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 Fiber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완진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 Fiber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성수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 Fiber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용식 (Department of Organic Materials & Fiber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높은 비강도 및 비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자동차 산업, 선박, 우주 항공 산업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어 왔으며,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에는 기지재로 주로 에폭시(Epoxy)와 같이 점도가 낮고 젖음 특성이 우수하며 강도가 양호한 열경화성(Thermosetting) 수지가 사용된다. 열경화성 수지는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지만 재사용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 복합재료 개발 및 탄소섬유 재사용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방법을 사용하여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로부터 탄소섬유와 수지를 분리하여 탄소섬유를 재활용하였다. 에폭시의 분해도(Degree of decomposition)는 열중량분석기(TGA)와 시차 주사현미경(SEM)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지로부터 분리해낸 탄소섬유는 절단(Cutting)과 그라인딩(Grinding) 방법을 거쳐 탄소섬유 복합재료 시트(Sheet)를 제조하였다. 재활용 탄소 섬유로 제조된 탄소섬유 시트는 각각 다른 냉각조건에서 결정화 엔탈피(Crystallization enthalpy)와 기계적 특성, 표면과 단면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application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s) have become broader than ever when it comes to such industries as automotive, ships, aerospace and military because of their lightweight-ness and high mechanical properties. Thermosetting plastics like epoxy are frequently us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법을 사용하여 폐 탄소섬유 복합재료로부터 스크랩 탄소섬유를 재활용하였으며, 이를 위한 최적의 제조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재활용 탄소섬유와 열가소성 섬유를 혼합하여 재활용 탄소섬유 복합시트(Sheet compound)를 제조하였으며, 제조공정에서 각각의 제조 조건이 복합시트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지재의 역할은? 탄소섬유는 복합재료의 강화재(Reinforcement)로 주로 사용되며 기지재(Matrix)와 함께 사용되어 외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1-4]. 이때 기지재는 강화재로 사용된 섬유들을 묶어주는(Binding) 역할을 하는데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기지재로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점도가 낮고 젖음 특성이 우수한 열경화성(Thermosetting) 수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탄소섬유 강화 열경화성 복합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setting plastic)는 재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복합재료제조 시 공정 불량 및 손실(Loss)로 인해 발생된 탄소섬유복합재료 및 사용되고 난 후 복합재료의 대부분이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4].
재성형이 가능한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이유는? 이때 기지재는 강화재로 사용된 섬유들을 묶어주는(Binding) 역할을 하는데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에 사용되는 기지재로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점도가 낮고 젖음 특성이 우수한 열경화성(Thermosetting) 수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탄소섬유 강화 열경화성 복합재료(Carbon fiber reinforced thermosetting plastic)는 재성형이 어렵기 때문에 복합재료제조 시 공정 불량 및 손실(Loss)로 인해 발생된 탄소섬유복합재료 및 사용되고 난 후 복합재료의 대부분이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4]. 이러한 폐기물 처리는 소각처리 시 다양한 유해가스의 발생을 피할 수 없으므로 극히 비환경적이다. 따라서 재성형이 가능한 탄소섬유 강화 열가소성 복합재료에 관한 연구 및 친환경적 처리방법과 탄소섬유 재활용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가 친환경 소재인 이유는?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s)는 단순 열처리를 통하여 탄소섬유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열처리 만으로 재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또한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폐 탄소섬유의 재활용 방안으로써 산처리, 유기용매 사용, 열분해, 초임계 유체 이용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Kim, Y.A., "Carbon Fiber Composite." Physics & High Technology, Vol. 12, No. 3, 2003, pp. 31-35. 

  2. Schwartz, M.M., Composite Materials Handbook, McGraw Hill Higher Education, 1983. 

  3. Rosato, D., Designing with Plastics and Composites: A Handbook, Springer, 1991. 

  4. Gauthier, M.M., Engineered Materials Handbook, Asm International Handbook Committee, 1995. 

  5. Lee, S.H., "The Recovery of Carbon Fiber from Carbon Fiber Reinforced Epoxy Composites Applied to Railway Vehicles," Korea Railway, Vol. 12, No. 6, 2009, pp. 1059-10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