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 대관령지역 지형성 구름에 대한 지상기반 구름씨뿌리기 영향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mpact of Ground-based Glaciogenic Seeding on Winter Orographic Clouds at Daegwallyeong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4, 2015년, pp.301 - 314  

양하영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채상희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정진임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서성규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박영산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김백조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대관령지역의 지형성 구름에 대해 인공증설을 위한 구름씨뿌리기(이하 시딩)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2013년 3월 13일 실험사례를 분석하였다. 지상연소기를 이용하여 기온 $-4^{\circ}C$ 이하, 풍향 $45-130^{\circ}$, 풍속 $5ms^{-1}$ 이하일 때 AgI 입자를 시딩 하였으며 대관령지역에서 적절한 시딩량을 알아보기 위해 $38gh^{-1}$ (SR1)과 $113gh^{-1}$ (SR2)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AgI point-source 모듈을 추가한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수치모의실험을 통해 시딩 물질의 확산장을 알아보았다. 수치모의 결과 과냉각수적이 충분히 존재한 상태에서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시딩 물질은 주풍에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안개입자측정기, 강수입자측정기와 광학우적계에서 관측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사례에서는 빙정핵 시딩에 의해 1 mm 이하 크기의 강수입자 수농도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대관령지역에는 SR1 시딩이 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ground-based glaciogenic seeding on orographic clouds in the Daegwallyeong area on 13 March, 2013. The experiments was conducted by releasing silver iodide (AgI) under following conditions: surface temperature below $-4^{\circ}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 연구에서는 관측장비의 부재로 실험지역을 소규모 구름챔버(cloud chamber)로 가정하여 실험지역 내의 적설변화만을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3년 3월 13일에 수행된 인공증설 지상실험 사례를 대상으로 시딩에 의한 강수입자 크기 및 수농도 등 구름미세물리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고 수치모의를 통해 시딩 물질의 확산 및 영향 범위에 대해 시공간적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증우(설) 관련 최초의 기상조절실험은 무엇인가? 인공증우(설)은 구름층은 형성되어 있으나 대기 중에 구름씨 역할을 하는 빙정핵(ice nuclei, IN) 또는 구름응결핵(cloud condensation nuclei, CCN)이 적어 구름방울이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공의 구름씨뿌리기(seeding, 이하 시딩)를 통해 구름발달과 강수응결을 활성화시켜 더 많은 강수를 내리게 하거나 다른 지역에 강수를 미리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최초의 기상조절실험은 Schaefer (1946)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항공기를 이용하여 과냉각된 층적운 구름에 드라이아이스(dry ice)를 뿌려 과냉각된 물방울을 빙정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인공증우(설)는 구름온도에 따른 강수 형성과정에 따라 차가운 구름(0oC 이하)에는 요오드화은(silver iodide, AgI)이나 드라이아이스 같은 빙정핵을 살포하여 구름 속 과냉각 물 입자를 얼음으로 바꿔 빙정을 생산하거나 강화시켜 강수를 유발한다.
인공증우(설)란 무엇인가? 인공증우(설)은 구름층은 형성되어 있으나 대기 중에 구름씨 역할을 하는 빙정핵(ice nuclei, IN) 또는 구름응결핵(cloud condensation nuclei, CCN)이 적어 구름방울이 빗방울로 성장하지 못할 때 인공의 구름씨뿌리기(seeding, 이하 시딩)를 통해 구름발달과 강수응결을 활성화시켜 더 많은 강수를 내리게 하거나 다른 지역에 강수를 미리 내리게 하는 기술이다. 최초의 기상조절실험은 Schaefer (1946)에 의해 수행되었는데 항공기를 이용하여 과냉각된 층적운 구름에 드라이아이스(dry ice)를 뿌려 과냉각된 물방울을 빙정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대체수자원 확보의 방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1). 자연으로부터의 수자원이 제한되어 있는 상황에서 대체수자원 확보의 방안으로 댐 건설, 강변여과수, 해수담수화, 해양심층수, 인공증우(설) 등이 있다. 이 중 인공증우(설)는 개발에 따른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며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수자원을 확보하고 가뭄 피해를 줄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umgardner, D., Kok, G., Dawson, W., O'Connor, D., and Newton, R., 2002, A new groundbased precipitation spectrometer: The meteorological particle sensor (MPS). In. Proc. 11th Conference on Cloud Physics, Ogden, UT, USA, CD-ROM poster 8.6. 

  2. Blair, D.N., Davis, B.L., and Dennis, A.S., 1973, Cloud chamber tests of generators using acetone solutions of AgI-NaI, AgI-KI, AgI- $NH_4$ I.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12, 1012-1017. 

  3. Chang, A.T.C., Foster, J.L., Gloersen, P., Campbell, W.J., Josberger, E.G., Rango, A., and Danes, Z.F., 1987, Estimating snowpack parameters in the Colorado River basin. In. Proc. Large scale effects of seasonal snow cover.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ological Sciences, Wallingford, Oxfordshire UK, 166 p. 

  4. Chang, K.H., Jeong, J.Y., Cha, Y.M., Yang, H.Y., Choi, Y.J., and Kwon, W.T., 2011, Recent precipita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rought year. Journal of Kosham, 11, 54-64. (in Korean) 

  5. Chou, M.D. and Suarez, M.J., 1994, An efficient thermal infrared radiation parameterization for use in general circulation models. NASA Technical Memorandum, 104606, 3, 85 p. 

  6. Chu, X., Xue, L., Geerts, B., Rasmussen, R., and Breed, D., 2014, A case study of radar observations and WRF LES simulations of the impact of ground-based glaciogenic seeding on orographic clouds and precipitation: part I: observations and model validatio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3, 2264-2286. 

  7. Chung, K.B., Kim, J.Y., and Kwon, T.Y., 2004, Characteristics of lower-tropospheric wind related with winter precipitation in the Yeongdong reg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0, 369-380. (in Korean) 

  8. Deshler, T. and Reynolds, D.W., 1990, The persistence of seeding effects in a winter orographic cloud seeded with silver iodide burned in aceton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9, 477-488. 

  9. Dennis, A.S., 1980, Weather modification by cloud seeding.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60 p. 

  10. Elliott, R.D., Shaffer, R.W., Court, A., and Hannaford, J.F., 1978, Randomized cloud seeding in the San Juan Mountains, Colorado.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17, $1298^{\circ}(C)1318$ . 

  11. Finnegan, W.G. and Pitter, R.L., 1988, Rapid ice nucleation by acetone-silver iodide generator aerosols. The Journal of Weather Modification, 20, 51-53. 

  12. Geerts, B., Miao, Q., Yang, Y., Rasmussen, R., and Breed, D., 2010, An airborne profiling radar study of the impact of glaciogenic cloud seeding on snowfall from winter orographic cloud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67, 3286-3301. 

  13. Hobbs, P.V., Lyons, J.H., Locatelli, J.D., Biswas, K.R., Radke, J.F., Weiss, R.R., and Rango, A.L., 1981, Radar detection of cloud-seeding effects. Science, 213, 1250-1252. 

  14. Hong, S.-Y., Noh, Y., and Dudhia, J., 2006,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 explicit treatment of entrainment processes. Monthly Weather Review, 134, 2318-2341. 

  15. Huggins, A.W., 2007, Another wintertime cloud seeding case study with strong evidence of seeding effects. The Journal of Weather Modification, 39, 9-36. 

  16. Imai, K., Kishimoto, T., Nakagawa, T., Iwai, T., Shibano, Y., Hashiguchi, H., and Fukao, S., 2002, Development of the L-band tropospheric wind profiler radar, SEI Technology Review, 54, 28-33. 

  17. Jung, S.P., Lim, Y.K., Kim, K.H., Han, S.O., and Kwon, T.Y., 2014,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the special observ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2.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 41-53. (in Korean) 

  18. Kim, C.K., Yum, S.S., Oh, S.N., Nam, J.C., and Chang, K.H., 2005, A feasibility study of winter orographic cloud seeding experi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 997-1014. (in Korean) 

  19.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8,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Clark-Hall Model and Cloud Seeding Technology. KOWACO-IPD-98-08, 193 p. 

  20. Kwak, B.C. and Yoon, I.H., 2000, Synoptic analysis on snowstorm occurred along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5-7 January, 1997.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258-275. (in Korean) 

  21. Lee, M.J., Chang, K.H., Park, G.M., Jeong, J.Y., Yang, H.Y., Jeong, K.D., Cha, J.W., Yum, S.S., Nam, J.C., Kim, K.S., and Choi, B.C., 2009, Preliminary results of the ground-based orographic snow enhancement experiment for the easterly cold fog (cloud) at Daegwallyeong during the 2006 winter.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26, 222-228. 

  22. Malwer, E.J., Taubman, S.J., Brown, P.D., Iacono, M.J., and Clough, S.A.,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s: RRTM, a 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 16663-16682. 

  23. Manton, M.J. and Warren, L., 2011, A confirmatory snowfall enhancement project in the Snowy Mountains of Australia. Part II: primary and associated analys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0, 1448-1458. 

  24. Martin, L.M. and Blahak, U., 2001, Estimation of the equivalent radar reflectivity factor from measured snow size spectr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0, 843-849. 

  25. Mielke, P.W., Brier, G.W., Grant, L.O., Mulvey, G.J., and Rosenzweig, P.N., 1981, A statistical reanalysis of the replicated Climax I and II Wintertime orographic cloud seeding experiment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0, 643-659. 

  26. Morrison, H., Thompson, G., and Tatarskii, V., 2009, Impact of cloud microphysics on the development of trailing stratiform precipitation in a simulated squall line: Comparison of one-and two-moment schemes. Monthly Weather Review, 137, 991-1007. 

  2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3,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ground-based cloud seeding for snow enhancement on orographic cloud: Case study at Daegwallyeong area. NIMR-TN-2013-010, 55 p. (in Korean) 

  28. Pokharel, B., Greets, B., and Jing, X., 2014a, The impact of ground-based glaciogenic seeding on orographic clouds and precipitation: A multi-sensor case stud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3, 890-909. 

  29. Pokharel, B., Greets, B., Jing, X., Friedrich, K., Aikins, J., Breed, D., Rasmussen, R., and Huggins, A., 2014b, The impact of ground-based glaciogenic seeding on clouds and precipitation over mountains: A multi-sensor case study of shallow precipitating orographic cumuli. Atmospheric Research, 147-148, 162-182. 

  30. Schaefer, V.J., 1946, The production of ice crystals in a cloud of supercooled water droplets. Science, 104, 457-459. 

  31. Schwerdtfeger, W., 1974, Mountain barrier effect on the flow of stable air north of the Brooks Range. Proc. 24th Alaskan Science Conference, Fairbanks, Alas., USA, 204-208. 

  32. Seto, J., Tomine, K., Wakimizu, K., and Nishiyama, K., 2011, Artificial cloud seeding using liquid carbon dioxide: comparisons of experimental data and numeric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50, 1417-1431. 

  33. Skamarock, W.C., Klemp, J.B., Dudhia, J., Gill, D.O., Barker, D.M., Duda, M.G., Huang, X.Y., Wang, W., and Powers, J.G.,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TN-475+STR, NCAR Technical Note, 113 p. 

  34. Spiegel, J.K., Zieger, P., Bukowiecki, N., Hammer, E., Weingartner, E., and Eugster, W., 2012, Evaluating the capabilities and uncertainties of droplet measurements for the fog droplet spectrometer (FM-100).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5, 2237-2260. 

  35. Super, A.B. and Boe, B.A., 1988, Microphysical effects of wintertime cloud seeding with silver iodide over the Rocky Mountains. Part III: observations over the Grand Mesa, Colorado.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27, 1166-1182. 

  36. Vonnegut, B., 1950, Techniques for generating silver iodide smoke. Journal of Colloid Science, 5, 37-48. 

  37. WMO, 2010, Documents on Weather Modification. Updated in the meeting of the Expert Team on Weather Modification Research, Abu Dhabi, 22-24 March 2010. 

  38. Yang, H.Y., Chang, K.H., Cha, J.W., Choi, Y.J., and Ryu, C.S., 2012, Characteristic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liquid water path by microwave radiometer.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233-24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