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 탐색
Exploration of Discursive-Epistemic Mechanisms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Lesson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4, 2015년, pp.390 - 403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안유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세 명의 현직 고등학교 교사들로부터 총 11편의 지구과학 수업 녹화물을 수집하였으며, 모두 전사한 후,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담화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특정한 인식적 기능을 담당하는 기능적 집합으로서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을 확인하였고, 그 특징을 인식적 기능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또, 분석 결과를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지구 과학 수업의 담화적-인식적 기제들의 특징을 강조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 중학교 과학 수업과 대안적인 형태의 과학 수업에 대한 분석, 교사들과의 심층 면담과 같은 확대된 연구 방법을 통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scursive-epistemic mechanisms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lessons. A total of 11 video recordings of earth science lessons were collected from three inservice high school teachers. The video recordings were all transcribed and analyzed by employing the d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과학 기준에서 말하는 실천 행위들(practices)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당대의 과학 교육 개혁 동향을 집약하여 나타낸 영향력 있는 문서 중의 하나인 미국의 과학교육기준은 최근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과학 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을 발표하면서 과학을 여러 가지 실천 행위들(practices)의 집합으로 기술하였다(NGSS Lead States, 2013). 이 실천 행위들에는 질문하기,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설명을 구성하기, 증거에 입각하여 논증하기,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과학자들이 자연 세계를 연구하여 과학 지식을 생산·발전시키는 동안 수행하는 대표적인 인식 행위(epistemic practices)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과학교육기준의 위상은? 당대의 과학 교육 개혁 동향을 집약하여 나타낸 영향력 있는 문서 중의 하나인 미국의 과학교육기준은 최근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과학 기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을 발표하면서 과학을 여러 가지 실천 행위들(practices)의 집합으로 기술하였다(NGSS Lead States, 2013). 이 실천 행위들에는 질문하기, 모델을 개발하고 사용하기, 설명을 구성하기, 증거에 입각하여 논증하기,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고 소통하기 등이 포함된다.
연구를 위해 교사들이 제공한 자료는? 교사들이 제공한 자료는 고등학교에서 일상적인 강의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10학년 지구과학 영역의 수업 동영상으로, 각 교사의 상황과 학교의 학사 일정에 따라 수집된 수업의 주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교사들과 그들의 수업에 관한 정보는 Table 1에 요약적으로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land, L., 2011, Explaining variations in how classroom communities adapt the practic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0, 625-664. 

  2. Berland, L.K., Schwarz, C.V., Krist, C., Kenyon, L., Lo, A.S., and Reiser, B.J., in press, Epistemologies in practice: Making scientific practices meaningful for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 Campbell, T., Oh, P.S., and Neilson, D., 2012, Discursive modes and their pedagogical functions in model-based inquiry (MBI)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 2393-2419. 

  4. Cazden, C.B., 1988,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Heinemann, Portmouth, NH, 230 p. 

  5. Chinn, C.A. and Malhotra, B.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6. Christodoulou, A. and Osborne, J., 2014, The science classroom as a site of epistemic talk: A case study of a teacher's attempts to teach science based on argu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 1275-1300. 

  7. Gooding, D., 1990, Experiment and the meaning making. Springer, the Netherlands, 311 p. 

  8. Hammer, D., Elby, A., Scherr, R.E., and Redish, E.F., 2005, Resources, framing, and transfer. In Mestre, J. (ed.), Transfer of learning from a moder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Information Age Publishing, Greenwich, CT, 89-120. 

  9. Hodson, D., 1996, Laboratory work as scientific method: Three decades of confusion and distor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8, 115-135. 

  10. Kim, H., Lee, S.-K., and Kim, C.-J., 2010, An exploratory analysis of discourse types and meaning-making strategies used by a beginning teacher in secondary science clas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 647-655. (in Korean) 

  11. Kim, Y.C.,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1: Bricoleur (2nd ed.). Academy Press, Paju, 700 p. (in Korean) 

  12. Kirschner, P.A., 1992, Epistemology, practical work and academic skill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 273-299. 

  13. Kirschner, P.A., Sweller, J., and Clark, R.E., 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41, 75-86. 

  14. Knorr-Cetina, K., 1999, Epistemic cultures: How the sciences make knowle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329 p. 

  15. Kwak, Y., 2011,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422-434. (in Korean) 

  16. Leach, J. and Scott, P., 2003,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2, 91-113. 

  17.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Norwood, NJ, 261 p. 

  18. Millar, R., 1998, Rhetoric and reality: What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is really for. In Wellington, 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UK, 16-31. 

  19. Mortimer, E.F. and Scott, P.H.,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Open University Press, Maidenhead, UK, 141 p. 

  20.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324 p. 

  21. Oh, P.S., 2014,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rning and changes in teachers' epistemic belief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 683-699. (in Korean) 

  22. Oh, P.S. and Ahn, Y., 2013, An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as an epistemic practice: Based o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 269-284. (in Korean) 

  23. Oh, P.S. and Campbell, T., 2013, Understanding of science classrooms in different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discourse modes for building 'classroom science knowledge' (CS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 597-625. 

  24. Oh, P.S., Jon, W.S., and Yoo, J.-M., 2007,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in the earth domain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393-404. (in Korean) 

  25. Pimentel, D.S. and McNeill, K.L., 2013, Conducting talk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Investigating instructional moves and teachers' beliefs. Science Education, 97, 367-394. 

  26. Russ, R.S., 2014, Epistemology of science vs. epistemology for science. Science Education, 98, 388-396. 

  27. Sandoval, W.A., 2015, Epistemic goals. In Gunstone, R. (ed.), Encyclopedia of Science Education. Springer, the Netherlands, 393-398. 

  28. Wellington, J., 1998,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UK, 312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