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도 개통을 위하여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노선은 차세대 고속열차의 HEMU-430X가 세계 최초로 주행하게 된다. 한편, 인근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이 지속적인 발파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향후 연결통로 개설을 통하여 이 노선의 하부를 관통할 예정이다. 이 경우에 광산 발파로 인한 고속철도의 안정성과 열차주행으로 인한 광산 안정성 모두 검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광산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진동추정식을 작성하였으며, 광산발파로 인한 철도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계측결과 분석에 의한 계측관리기준으로 0.5 kine(cm/sec)을 설정하여, 광산 발파진동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며, 발파진동의 제어를 통하여 고속열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산의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진동이 광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여 광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onam high-speed railroad line is construc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This line is for next generation HST named HEMU-430X. But there is a limestone mine near this line and this mine will make a process to dig a passageway under the railway line. In this case, safety of railroad system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대상지역은 석회석 광산이 지하 채굴이 수행되어왔기 때문에 지하갱도 현황은 매우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갱내 발파작업시 발파진동이 인접 고속철도에 전달되는 과정은 발파 위치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게 되므로 이를 반영하여 발파지역 상부에 (a) 채굴적이 있어 발파진동이 감쇄되는 경우, (b) 채굴적이 없는 신선한 암반인 경우로 나누어 진동 전달 특성을 평가하였다(Fig. 4)
  • 발파 진동계측은 10회 진행하였다. 1~7회차의 발파는 발파원과 계측점 사이에 광산 채굴이 진행된 지역과 진행되지 않은 지역이 산발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Fig. 6), 8~10회의 발파는 발파원과 계측점 사이에 채굴지역이 없는 지점(Fig. 7) 을 선택하여 계측을 진행하였다. 발파진동 계측장비는 매 발파 작업시 15~19대를 설치하였다.
  • 2) 발파진동 추정식을 이용하여 발파공법 검토시 크게 3개 구간(제한발파, 제어발파, 일반발파)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제한발파의 경우 굴진장 축소 패턴이 적용되었고, 제어발파패턴은 보조심발공법의 추가적용과 함께 뇌관을 재배치하여 적용하였다. 일반발파패턴은 현재 광산에서 수행하는 발파패턴과 유사하여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 국토교통부(2006)에 근거하여, 현장에서 획득한 발파진동 속도(P.P.V, Fig. 10)와 발파작업시 최대 지발당 장약량, 발파원으로부터 계측점간의 이격거리를 토대로 단순회귀분석을 수행하여 현장에 적합한 발파진동 추정식을 산출하였다.
  • 10과 11에 제시한 진동추정식을 이용하면, 위치에 따라 지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할 수 있다. 노반면에서의 진동기준 0.5 kine에 대하여 발파진동에 대한 영향범위를 설정하였다(Fig. 14).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장약량을 기준으로 하면, 최소 243 m 이상을 이격시켜야 기준을 만족하지만, 장약량 조정에 의하여 영향범위를 축소할 수 있어, 광산의 발파패턴 조정에 의하여 고속철도 노선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Table 5, Fig.
  • 이는 일본의 구조물 피해 발생의 경계값으로 제시된 진동관리기준과 같은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고속철도 노반면을 기준으로 0.5 kine을 적용하여 안정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대상 지반에 적합한 발파진동추정 식을 산정하여 고속철도 노선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발파진동에 의한 안전확보가 가능한 광산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진동이 광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여 광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발파 진동계측은 10회 진행하였다. 1~7회차의 발파는 발파원과 계측점 사이에 광산 채굴이 진행된 지역과 진행되지 않은 지역이 산발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Fig.
  • 발파공법 설계는 제한발파 및 제어발파로 구분하여 적용하였으며, 제어발파패턴의 경우 뇌관의 재배치 및 필요시 다단식 발파기 등을 활용하여 지발당 장약량을 조절하여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Fig. 13).  
  • 발파공법 적용 영역은 공당 장약량을 토대로 산출하였으며, 발파패턴은 제한발파, 제어생산발파, 일반생산발파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제한발파는 현재 적용되는 천공장대비 축소된 천공장을 적용하는 것이며, 제어생산발파는 현재의 천공장 및 공당 장약량을 그대로 적용하되, 보조 심발공법의 추가와 지발당 발파공수를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Table 4).
  • 발파진동 계측기는 발파 진동 전용 계측장비를 설치하였으며 계측시 저장은 512 Hz~ 1024 Hz의 빈도로 계측을 실시하였다. 발파작업시 발파원 및 계측 지점을 측량을 수행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였다. 각 발파 회차별 발파진동 계측 결과는 Fig.
  • 발파진동 계측장비는 매 발파 작업시 15~19대를 설치하였다. 발파진동 계측기는 발파 진동 전용 계측장비를 설치하였으며 계측시 저장은 512 Hz~ 1024 Hz의 빈도로 계측을 실시하였다. 발파작업시 발파원 및 계측 지점을 측량을 수행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였다.
  • 발파진동 추정식은 현장 실험 결과를 토대로 계측 위치 및 추후 적용성 등을 고려하여 2가지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CASE-1은 발파원에서 수진점 사이에 채굴적이 없는 곳에 적용되는 추정식(현장 실험 중 8~10회 발파DATA 활용)으로 검토 지역에서는 고속철도 직하부의 연결통로 및 고속철도와 광산의 근접지역 발파작업시 적용하며, 또한 CASE-2는 발파원에서 수진점 사이에 채굴적이 일부 형성되어 있거나, 형성되지 않은 곳에 적용되는 추정식(현장 실험 중 1~10회 전체 발파 DATA 활용)으로서, 검토 지역에서는 기 형성된 공동을 거쳐 고속철도에 전달되는 발파작업시 적용된다(Fig.
  • 수치해석과 지반의 안정성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물리탐사, 시추조사, 현장시험 및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지반정수를 산정하였으며, 불연속면 방향성을 분석하였다(Table 2 와 3). Fig.
  • 열차운행시 채굴광산 안정성 평가를 위해 성토부 및 교량 부의 횡단면에 대해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열차운행에 따른 열차진동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하1편의 채굴광산에 대해서 안정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열차운행시 채굴광산 안정성 평가를 위한 검토단면은 다음과 같으며, 안정검토 시 석회암의 측압계수(K0)는 1.
  • 따라서, 광산 발파진동에 의한 고속열차 및 인프라 시설물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함과 동시에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광산의 안정성도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대상 지반에 적합한 발파진동추정 식을 산정하여 고속철도 노선의 안정성을 검토하고, 발파진동에 의한 안전확보가 가능한 광산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진동이 광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여 광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 지역내 광산에서 발파시 발파진동 전달 경향은 석회석 채굴을 실시하여 공동이 형성된 구간(채굴적)을 통과하는 발파진동과 석회석 채굴을 실시하지 아니하여 공동이 형성되지 않은 구간(신선한 암반)을 통과하는 발파진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파작업시 발파원과 계측점 사이의 진동 전달 경향을 고려하여 발파원에 따른 계측 위치를 차등 적용 하였다.
  • 연구 대상 지역은 현재 갱내식 채굴 중인 석회석 광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갱내식 채굴이 예상되는 지점과 신설될 호남 고속철도가 사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설될 호남고속철도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광산내의 석회석 생산이 가능한 영역과 그 발파패턴을 도출하였으며, 열차주행에 의한 광산의 안정성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호남고속철도의 설계열차하중은 KTX-II, 10량 1편성으로 최대속도 v=350 km/hr이며, HL 표준열차하중(Table 6)을 적용하여 열차진동에 의한 연결통로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열차운행에 따른 이동하중의 모사를 위하여 상용프로그램인 PLAXIS 8.

대상 데이터

  • 대상 지역은 석회석 및 편암, 화강암질 편마암 등이 출현하는 지역으로서, 인접 광산은 석회석의 채굴을 목적으로 갱내식 채굴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며, 현장 지질 조사 및 탐사 결과를 토대로 검토된 현장 지질도와 노선 현황 및 채굴 광산의 평면 및 종단 현황은 Fig. 1과 2와 같다
  • 연구 대상 지역은 현재 갱내식 채굴 중인 석회석 광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갱내식 채굴이 예상되는 지점과 신설될 호남 고속철도가 사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설될 호남고속철도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광산내의 석회석 생산이 가능한 영역과 그 발파패턴을 도출하였으며, 열차주행에 의한 광산의 안정성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철도의 한계는 무엇인가? 고속철도의 경우 노선의 특성상 노선의 급작스러운 변화가 어려우며, 종단면상의 구배에도 많은 제약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계획노선이 확정된 경우 노선의 영향 반경내에 취락 지구나 공업지구 혹은 문화재와 같은 소음 및 진동 등에 예민한 시설물이 위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경우에도 노선의 변경 등은 많은 제한이 있으며, 건설 당시나 혹은 운전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설계에 적용하고 있다.
호남고속철도에서 주행한 열차는 무엇인가? 2015년도 개통을 위하여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노선은 차세대 고속열차의 HEMU-430X가 세계 최초로 주행하게 된다. 한편, 인근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이 지속적인 발파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향후 연결통로 개설을 통하여 이 노선의 하부를 관통할 예정이다.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건설의 노선 하부 관통에 있어 어떤 것이 검토되어야 하는가? 한편, 인근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이 지속적인 발파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향후 연결통로 개설을 통하여 이 노선의 하부를 관통할 예정이다. 이 경우에 광산 발파로 인한 고속철도의 안정성과 열차주행으로 인한 광산 안정성 모두 검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광산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진동추정식을 작성하였으며, 광산발파로 인한 철도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British Standard (1993), Evaluation and measurement for vibration in buildings. BS7385 Part 2: Guide to damage levels from ground borne vibration. 

  2. DIN 4150-part 3 (1970, 1986), Structural Vibration in Buildings: Effects on Structure.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s and Transport in Korea (2006), Design and construction guidelines for road construction open-air blast (in Korean).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s and Transport in Korea (2013), Design criteria for railroad (road bed) (in Korean). 

  5. Japan Explosives Industry Association (2002), These explosions and Those explosions (in Japanese). 

  6. Siskind, D. E., M, S. Stagg, J. W .Kopp, and C. H. Dowding (1980), Structure response and damage produced by ground vibration from surface mine blasting, (Report of Investigations 8507.) Washington, DC: U.S. Bureau of Min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