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자기조절과 리더십간의 관계 연구: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nalysis on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 - 17  

박미숙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  안효진 (인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 리더십 간의 관계를 밝히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인 지역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5세 유아 211명이었고 유치원과 어린이집 근무한 교사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분석 하였다. 분석은 SPS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다음 결과를 얻었다. 첫째,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자기조절, 리더십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기조절은 유아 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래상호작용은 유아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래상호작용이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조절은 유의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리더십 교육에 있어 주목해야 할 요소로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interaction, self-regulation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effect of peer interaction on the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예측할 수 있는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자기조절 및 리더십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의 매개 변인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자신과 관계를 맺고 있는 또래, 교사, 부모와의 다양한 경험 등을 통하여 리더로서 자신을 확인하고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유아 리더십에 대한 자기조절과 같은 개인 특성변인, 또래의 상호작용과 같은 환경 변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리더십 향상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추구함에 있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조절은 유아의 리더십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조절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유아들의 사회적 관계나 사회성 발달, 또래간의 상호작용은 자신의 감정이나 행동을 조절하거나 통제하는 자기조절과 연관이 있다고 선행연구들은 밝히고 있다(김규수, 2008; 서기 남, 2009; 이혜상, 정유정). 자기조절이란 자신의 의지로 스스로의 태도나 행동을 통제하는 것으로, 유아기에 습득해야 할 필수적인 발달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이순규, 1994). 자기 조절 능력은 상황에 맞게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절해가며 문제 상황을 해결해가는 것으로 선행연구들은 유아들의 자기 조절 능력을 유아들의 리더십과 관련된 하나의 설명 변인으로 살펴보고 있다.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많은 유아일수록 높은 자기조절을 보이는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즉,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많은 유아일수록 높은 자기조절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또래와 협동적이고 돕는 행동을 더 많이 하는 유아가 또래의 정서를 이해하는 감정이입 능력이 우수하며 자신의 감정이나 충동을 잘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위영희, 2004). 또한 유아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전달하기에만 급급하기보다는 서로의 경험을 나누는 과정에서 자신의 경험과 비슷한 다른 친구들의 경험에 감정을 이입하게 되고, 나아가 타인의 행동을 보며 자신의 행동도 평가하게 됨으로써 자기통제력을 기르게 되고, 협동을 통해 다른 유아를 이해하고 공감할 뿐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스스로 조절하여 적절하게 선택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이연실, 2010; 이정란, 2003).
리더의 모습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1세기 들어 도래한 지식정보화 시대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능력을 갖추고, 타인을 배려하며,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나가는 이른바 새로운 리더의 모습을 필요로 하고 있다. 과거의 리더의 모습은 높은 교육을 받고 고도의 지식과 능력을 갖춘 사람들로, 이들이 지도 체제를 구축하고, 다수의 사람들은 주어진 일이나 과제를 잘 감당해 나갈 수 있도록 해왔지만, 현재는 다양한 능력과 지식을 갖춘 개개인이 리더가 되며, 각자의 분야에서 저마다의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요청받고 있다(김성숙, 2009; 김정효, 2006). 더 나아가 최근에는 경쟁이 아닌 협동과 공유의 개념으로 확장해서 다루어지고 있다(이광자,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강인숙, 문혁준 (2012).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 및 놀이신념과 유아리더십이 유아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5), 233-252. 

  2. 고종욱, 류철 (2011). SPSS를 활용한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그린. 

  3. 교육과학기술부 (2013).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김성숙 (2009).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5. 김영미, 김현주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1), 231-247. 

  6. 김정효 (2006). 아동리더십 : 인성교육의 열쇠. 서울: 교육과학사. 

  7. 노인순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노현미, 최외선, 박인전 (2009).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281-292. 

  9. 노형진 (2011). AMOS로 배우는 구조방정식모형. 서울: 학현사. 

  10.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with AMOS 17.0. 서울: 학지사. 

  11. 문혁준 (2010).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기질, 또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12. 박민영 (2014). 유아의 자기조절과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가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연경 (2009).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보건복지부 (2013). 건강한 국민, 행복한 대한민국. 서울: 보건복지부. 

  15. 서기남 (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유아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심희옥 (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1(1), 19-33. 

  17. 양옥승 (2006). 3-6세 유아의 자기조절 측정척도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61-187. 

  18. 양옥승 (2013). 영아 자기조절 능력 측정척도의 개발. 유아교육연구, 33(2), 427-443. 

  19. 위영희 (2004). 유아의 정서 능력과 또래 유능성. 교육발전학회지, 23(1), 137-158. 

  20. 이광자 (2014). 유아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또래상호작용과 유아리더십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명숙 (2006). 또래관계에서의 유아리더십 양상과 성 및 인기도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85-106. 

  22. 이명숙, 조희정 (2005).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적합한 유아 리더십교육. 아동복지연구, 3(2), 141-159. 

  23. 이미나, 정주선 (2012). 유아의 리더십과 놀이표현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2), 147-161. 

  24. 이순규 (1994). 자기조절 학습훈련이 아동의 자주적 학습태도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연실 (2010). 유아의 자기조절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4(3), 151-174. 

  26. 이연실 (2011).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101-135. 

  27.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채호, 이찬숙 (2009). 유아 리더십과 사회적 능력, 기질 및 어머니 양육태도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289-303. 

  29. 이채호, 최인수 (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30. 이화정 (2013).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 간 상호작용 및 창의적 리더십의 차이.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임연진 (200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 113-124. 

  32. 정유정 (2008).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정유정, 이혜상, 김규수 (2008).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이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77-293. 

  34. 정회욱, 박병기, 최성욱, 강일국 (2003). 지도력 진단도구 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03-15-2.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35. 차배근, 차경욱 (2013). 사회과학연구방법: 실증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6. 최미숙, 홍성희, 임연자 (2013).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 및 놀이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09-129. 

  37.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1(2), 311-329. 

  38. 최수경, 박인전 (2012). 유아의 놀이성, 사회적 유능감, 리더십 간의 구조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0, 55-76. 

  39. 최혜영 (2004).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0. 허소영, 김수영 (2013). 유아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분석. 아동교육, 22(3), 231-244. 

  41. 허태근 (2015). 유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1), 145-165. 

  4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3. 황윤세 (2010).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 간의 관계.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2), 115-129. 

  44. Arnott, L. (2013). Are we allowed to blink? :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ownership while mediating interactions around techn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21(1), 97-115. 

  45.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46. Coie, J. D., Dodge, K. A., & Kupersmidt, J. B. (1990). Peer group behavior and social status, In S, R. Asher & J. D. Coie (Eds.), Peer rejection in child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Coryn, C. L. S., Spybrook, J. K., Evergreen, S. D. H., & Blinkiewicz, M. V.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ocial-emotional learning scale. Journal of Psychoeducational Assessment, 27(3), 283-295. 

  48.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 J., Sawyer, K., Auerbach-Major, S., & Queenan, P.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47(1), 238-256. 

  49. Eisenberg, N., & Fabes, R. A. (1992). Young children's coping with interpersonal anger. Psycscan Developmental Psychology, 63(1), 116-128. 

  50. Fantuzzo, J. W.,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 (3), 411-431. 

  51. Geangu, E., Benga, O., Stahl, D., & Striano, T. (2011). Individual Differences in infants' emotional resonance to a peer in distress : Self-other awareness and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20(3), 450-470. 

  52. Gottman, J. (1983). How Children Become Friend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86. 

  53. Gottman, J., Gonso, J., & Rasmussen, B. (1975). Social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6(3), 709-718. 

  54.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55. Nelson, A. E. (2011). Leadership aptitude. Leadership Excellence, 28(3), 16-17. 

  56. Ramani, G. B., Brownell, C. A., & Campbell, S. B. (2010).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 in 3- and 4-year-olds in relation to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71(3), 218-250. 

  57. Rubin, K. H., & Coplan, R. J. (1998). Social and nonsocial-play in childhood: An individual differences perspective. In O. N. Saracho, & B. Spodek (Eds.), Multiple perspective on play in early children education (pp.144-170).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8. Totan, T. (2014). The canonical effect of task articulation, peer relations, and self-regulation based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needs to fields of self-efficacy. Education and Science, 39(171), 331-343. 

  59. Zins, J. E., & Elias, M. J. (2007).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l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onsultation, 17(2-3), 233-2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