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ir Friendships and School Adjustment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2 = no.98, 2009년, pp.281 - 292  

노현미 (영남대학교 미술치료학과) ,  최외선 (영남대학교 가족주거학과) ,  박인전 (영남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their friendships and their adjustment to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to determine whether children's friendships played a role as ain mediator among the other each variables. The subjec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학동기 아동의 학교적응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데, 이는 이 시기의 적응이 향후 청소년기를 비롯한 성인기의 적응을 예측해 주는 중요한 변인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이 상호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친구관계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정도는 어떠하며, 특히 이 과정에서 아동의 친구관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기조절능력의 효과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는 아동의 친밀한 친구관계를 형성하고 학교적응력을 높임에 있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아동의 친구관계 향상 및 학교적응을 위해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친구관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규명하고, 그 경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해봄으로써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고 중재방안을 계획하고 실행함에 있어서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친구관계 및 학교적응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U 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령기 후반인 초등학교 5년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주된 이유는 이 시기가 사춘기에 접어들기 시작하는 시기이면서,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과 더불어 친밀한 친구관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ukowski와 Hoza(1989)는 친구관계의 역할 어떻게 나누었는가? 자기조절능력과 관련하여 먼저 아동의 친구관계를 살펴보면, 학령기 아동은 친한 친구를 가지면서 보다 깊은 인간관계를 유지하게 되며, 일시적인 놀이친구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친구관계로 발전시켜 나가게 된다. Bukowski와 Hoza(1989)는 친구관계의 역할을 세 가지로 나누었는데, 첫째, 친구는 성숙한 사회인이 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고, 둘째, 아동 자신이 주위로부터 사회․정서적 지원을 받고 있다고 느끼게 해주어 안정된 정서를 갖게 해주며, 셋째,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는데 기여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Sullivan은 아동기에 여러 명의 동성의 친구와 우정을 형성하는 능력과 경험이 훗날의 대인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이러한 경험이 아동의 성격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강문희 등, 2006, 재인용).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또래관계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 이처럼 아동에게 중요한 친구관계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 지어 살펴 볼 수 있는데,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즉 자기조절력이 낮은 유아들은 또래관계에서 충동적이며 공격적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고(윤진주 등, 2005), 이와 반대로 자기조절력이 높은 유아들은 친사회성과 사회적 유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문연심, 2001)가 있다. 뿐만 아니라, Smith와 Walden(2001)은 아동의 정서조절을 자기조절능력의 일부로 개념화하였는데, 이러한 정서조절에 대한 연구(한유진, 2006)에 의하면,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며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타인의 감정을 고려하지 않고 공격적인 행동을 할 수 있으며, 이는 후에 또래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증가시켜 또래관계 형성을 어렵게 할 수도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적응이란? 한편,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은 학교적응과도 관련성이 적지 않다. 적응이란 개인과 환경 사이에 균형 있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해가는 과정이며, 개인의 요구․갈등․스트레스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정이나 정도라고 할 수 있으므로(김용래, 1993), 학교적응은 학교라는 생활환경에 아동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학교적응은 학생이 학교생활 속에서 대인관계나 학교의 규준, 질서 등에 대해 적절하게 적응하며 자기 자신도 만족해하는 경우(김지혜, 2004)라 볼 수 있으므로, 아동이 학교라는 환경 속에서 전반적으로 잘 기능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문희.신현옥.정옥환.정정옥(2006). 아동발달. 서울: 교문사 

  2. 강수령.이경님(2001). 아동의 또래 괴롭힘, 사회적 유능감과 학교적응의 관계. 동아교육논총, 27, 161-179 

  3. 고은해.고은주(1999). 학령기 아동을 위한 친구관계 질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2), 225-241 

  4. 김용래(1993). 정의적 특성과 그 선행변인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9, 5-96 

  5. 김지혜(2004).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친구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향순(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조절능력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의 과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문연심(2001).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인문과학논집, 10, 1-34 

  8. 문은정.심희옥(2001). 아동의 친한 친구와의 관계와 자아지각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2(4), 99-113 

  9. 박성연.강지흔(2005).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1-14 

  10. 손승아.안경숙.김승경(2006).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43, 127-148 

  11. 윤진주.강신영.이복주(2005). 유아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의 관계성 연구: 유아의 기질과 자기조절 및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과 양육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5),761-770 

  12. 이영주(2008).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아동의 자아개념과 부모, 교사, 친구의 관계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은해.김정윤.오원정(2001). 아동의 또래지위 및 친구관계와학교적응의 관계. 아동학회지, 22(1), 1-18 

  14. 이정란(2003).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주리.유안진(1995). 유아 및 아동의 가정환경 및 또래환경과 역량지각. 대한가정학회지, 33(3), 127-147 

  16. 임수경.이형실(2007).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3), 169-183 

  17. 장은진(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을 위한 학교기반 다양식적 개입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한유진(2006). 상호작용 상황에서의 정서표현, 정서이해 및 정서조절 능력이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5 

  19. 허정경(2003).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황창순(2006). 초기 청소년기의 부모 및 또래애착과 애착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43, 201-225 

  21. Bagwell, C. L., Newcomb, A. F., & Bukowski, W. M.(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140-153 

  22. Bernt, T. J., Hawkins, J. A., & Jiao, Z.(1999). Influence of friends and friendship on adjustment to junior high school. Merrill-Palmer Quarterly, 45(1), 13-41 

  23. Bigelow, B. J.(1977).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 A cognitive-developmental study. Child Development, 48, 246-253 

  24. Bukowski, W. & Hoza, B.(1989). Popularity and friendship. Issues in theory, measurement, and outcome. In T. J. Berndt & G. W. Ladd(Eds.), Peer relationships in child development(pp.15-45). N.Y.: Wiley 

  25. Dishion, T. J. & Connell, A.(2006). Adolescents' resilience as a self-regulatory process: Promising themes for linking intervention with developmental science.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 1094, 125-138 

  26. Dunn, J. & Cutting, A. L.(2001). Understanding other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friendship interactions in young children. Social Development, 8(2), 201-219 

  27. Furman, W. & Buhrmester, D.(1985).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ir social networks.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016-1024 

  28. Gonzales, N. A., Cauce, A. M., Friedman, R. J., & Mason, C. A.(1996). Family, peer, and neighborhood influences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African-American adolescents: One-year prospective effec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3), 365-387 

  29. Hartup, W. W. & Sancilio, M. F.(1986). Children's friendships. In E. Schopler & G. B. Mesibor(Eds.), Social behavior in autism(pp. 61-79). N.Y.: Plenum 

  30. Hayes, D. S.(1978). Cognitive base for liking and disliking among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549-556 

  31. Henry, B., Caspi, A., Moffitt, T. E., Harrington, H., & Silva, P. A.(1996). Staying in school protects boys with poor self-regulation in childhood from later crime: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3(4), 1049-1073 

  32. Kendall, P. C. & Wilcox, L. E.(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al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47(6), 1020-1029 

  33. Kochanska, G., Murray, K., Jacques, T. Y., Koenig, A. L, & Vandegeest, K. A.(1996). Inhibitory control in young children and its role in emerging internalization. Child Development, 67(2), 490-507 

  34. Kochenderfer, B. J. & Ladd, G. W.(1996). Peer victimization: Manifestations and relations to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 267-283 

  35. Kopp, C. B.(1982).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354 

  36.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37. Miller, D. C.(2000). Adolescents' decision making in academic and social context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38. Mischel, W.(1981). Introduction to personality. N.Y.: Holt. Rinehart & Winston 

  39. Mischel, W. & Mischel, H. N.(1983).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Child Development, 54(3), 603-619 

  40. Mischel, W., Shoda, Y., & Peake, P. K.(1988). The nature of adolescent competencies predicted by preschool delay of gra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4), 687-696 

  41. Morrison, G. M., Storino, M. H., & Anthony, S.(2000). Teacher and student perspectives on academic engagement related to risk and protective facto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s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in New Orleans, LA 

  42. Nelson, B., Martin, R. P., Hodge, S., Havill, V., & Kamphaus, R.(1999). Modeling the prediction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from preschool tempera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6(4), 687-700 

  43. Newcomb, A. F. & Bagwell, C. L.(1996). The developmental significance of children's friendship relations. In W. Bukowski, A. F. Newcomb, & W. W. Hartup (Eds.),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pp. 289-32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Parker, J. G. & Asher, S. R.(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 611-621 

  45.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46. Raffaelli, M.(1997). Young adolescents' conflicts with siblings and friend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6, 539-558 

  47. Smith, M. & Walden, T.(2001). An exploration of African American preschool-aged children's behavioral regulation in emotionally arousing situations. Child Study Journal, 31(1), 13-45 

  48. Tangney, J. P., Baumeister, R. F., & Boone, A. L.(2008). High self-control predicts good adjustment, less pathology, better grades, and interpersonal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72(2), 271-324 

  49. Wentzel, K. R.(1989). Adolescent classroom goal, standard for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An interactionist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13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