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연구
A Study on Image Types of Homosexualit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211 - 237  

이연선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태경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연희정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3, 4학년의 예비유아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동성애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을 실시하여 Q-모집단을 마련하였다. 그 중 4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여 Q-표본을 만들고, 45명의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진술문의 동의수준을 9단계로 분류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유형은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 '존중형-동성을 사랑하는 보통 사람', '인정형-시선이 집중되는 독특한 사람', '관계부정형-나와 다른 자아를 타고난 사랑', '극단적 부정형-존중받지 못하는 혐오스런 사람'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성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과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동성애에 대한 인식론적 지배담론이 예비유아교사들의 신념에서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유아 다문화교육에서 침묵된(silenced)부분인 성에 대한 교육-실천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동성애에 대한 교육자의 시각을 점검해보고 한국사회의 동성애에 대한 문화적 이해수준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유아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방향을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elief in homosexuality. This study applied the Q-method to investigate teachers'subjective awareness of homosexuality. Using an open questionnaire, we asked participants to describe how they think about homosexuality. F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교육에 대한 다문화 담론들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한국사회는 다양한 다문화 현상에 직면하게 되면서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담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다문화교육에 다양한 다문화 담론들이 적용되면서, 최근 유아다문화 교육은 비판적 담론의 관점으로 방향을 재설정하고, 다양한 문제들을 이해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오경희, 2010; 오채선, 2008; 이부미, 2013;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 2012; 정은주, 2010). 그래서 다문화에 대한 변화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변화의 본질을 이해하고 성찰하며, 현대사회의 새로운 이슈 및 문제들과 결부하여 유아다문화교육의 바람직하고 역동적인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견지해오고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적 접근과 노력에 내재된 것은 무엇인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적 접근과 노력은 다문화교육이 단순히 인종과 민족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도록 하면서 성, 언어, 종교 등과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를 모두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 기저에는 기본적인 문화의 의미와 사회적 현상의 변화가 깊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의미의 재고와 함께 사회적 목소리의 힘과 감춰진 변화에 따른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는 소수자와 다수자간의 상호작용, 서로 다른 문화적 힘의 충돌과 그로 인해 생성되는 새로운 현상들에 주목해야할 필요(서덕희, 2011; 이부미, 2013)가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적 접근과 노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와 같은 비판적 접근과 노력은 다문화교육이 단순히 인종과 민족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도록 하면서 성, 언어, 종교 등과 사회적 소수자의 문제를 모두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로 나아가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 기저에는 기본적인 문화의 의미와 사회적 현상의 변화가 깊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의미의 재고와 함께 사회적 목소리의 힘과 감춰진 변화에 따른 요구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 구정화 (2013). 초등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 연구. 시민교육연구, 45(3), 31-53. 

  3. 김흥규 (2007). Q방법론 및 이론: P표본의 선정과 Q소팅. 주관성 연구, 15, 5-19. 

  4. 김홍규 (2008).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 커뮤니케이션스북스. 

  5. 나달숙 (2013).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의 인권보호와 인권교육 방향. 법과인권교육연구, 6(3). 23-55. 

  6. 박선진 (2010). 동성애에 관한 고등학교 사회과교사의 인식조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박수미, 정기선 (2006).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70, 5-26. 

  8. 서덕희 (2011). 문화 없는 다문화교육을 넘어서: 문화의 과정성과 다차원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재개념화. 교육학연구, 47(4), 231-264. 

  9. 서보순, 연희정 (2014). 유치원 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수업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95-124. 

  10. 신경희, 강미옥 (2014). 성소수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변화 연구. 교사교육연구, 53(4). 723-739. 

  11. 심상보 (2014). 홀리스틱 영 교육과정 관점으로 본 인권교육: 성 소수자를 중심으로. 홀리스틱교육연구, 18(3), 75-91. 

  12. 오경희 (2010). 유아다문화 교육: 인식의 전환을 통한 포괄적 접근 가능성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3). 187-212. 

  13. 오채선 (2008). 유아 다문화교육의 현실과 교육적 대안. 유아교육학논집, 12(4), 167-197. 

  14. 이부미 (2013). 유아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질적 연구의 특징과 한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6), 31-55. 

  15.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 (2012). 유아다문화교육의 의미 탐색 및 실제적 제언: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3), 117-140. 

  16. 이자혜 (2012). 드라마 의 동성애 재현과 담론. 한국극예술연구, 35, 365-401. 

  17. 이종일 (2014). 다문화사회와 타자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18. 이형식 (2013). 동성애 재현의 두 양상, 문학과 영상, 14(3). 711-736. 

  19. 정여울 (2009). 몸, 권력, 이미지; 대중문화에 나타난 "양성성"의 이미지- 소설 및 드라마 바람의 화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37, 7-33. 

  20. 정은주 (2010). 비판적 관점에서 본 유아 다문화교육의 방향. 변형영유아교육연구, 4(1), 95-114. 

  21. 조대훈 (2006). 침묵의 교육과정을 넘어서: 성적 소수자의 인권과 사회과 교육. 시민교육연구, 38(3), 211-241. 

  22. 조대훈 (2011). 동성애에 대한 교수적 태도의 영향 변인 연구-다문화교육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시민교육연구, 43(1), 205-237. 

  23. 조서연 (2012). 에 나타난 TV드라마의 동성애. 한국극예술연구, 35, 365-401. 

  24. 한규석 (2013).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25. 황효정, 정혜영, 이경화 (2012). Q 방법론을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475-503. 

  26. 홍지아 (2003). 드라마에 나타난 낭만적 동성애의 재현과 사랑 지상주의적 서사 - . 한국방송학보, 22(1). 162-200. 

  27. Aronson, E .(2014). The Social Animal, Eleventh Edition, 인간, 사회적 동물(박재호 옮김). 서울: 탐구당(원판 1993). 

  28. Berk, L. E. (2007). Infants and children (5th ed), 아동발달(박낭자, 강숙현, 박경희, 백미열, 성정숙, 오채선 et al 옮김). 서울: 정민사(원판 2005). 

  29. Blasie, M., & Brown, A. W. (2001). How "bad" can it be? Troubling gender, sexuality, and early childhood teacher. In N. Yelland (Ed.),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49-57). Maidenhead,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30. Casper, V., Cuffaro, H. K., Schultz, S., Silin, J. G., & Wickens, El. (1996). Toward a most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world: Sexual orient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Harvard Educational Review, 66(2), 271-293. 

  31. Derman-Sparks, L., & Edward, J. O. (2010).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our selves. Washington, DC: NAEYC. 

  32. Fiske, S. T., & Tailor S. E. (2010). Social cognition, from brains to culture (1st ed), 두뇌로부터 문화에 이르는 사회인지(신현정 옮김). 서울 : 박학사(원판 2007). 

  33. Haeberle. E. J. (2006). Children and sex, Part II: Childhood sexuality, In. V. Bullough & B. Bullough (Eds.), Human sexuality: an encyclopedia. New York: Garland. 

  34. Honig, A. (2000). Psycho-social developmen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55(5). 70-77. 

  35. Shai, T. A. (2011). Taking a stand: The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in educating against homophobia. Journal of Hate Studies, 9. 149-168. 

  36. Souto-Manning, M., & Hermann-Wilmarth, J. (2008). Teacher inquires into gay and lesbian familie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6(3), 263-278. 

  37. Straut, D., & Sapon-Shevin, M. (2003). "But no one in the class is gay": Countering invisibility and creating alli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R. M. Kissen (Eds.), Getting ready for Benjamin (PP. 1-13). New York, NY: Rowman & Littlefiel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