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학생의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 경험
The Learning Experience of 7th Graders on NOS (Nature of Science) as a Process in Research-Bas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5 no.4, 2015년, pp.629 - 648  

정찬미 (이화여자대학교) ,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연구 기반 '실제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맥락적으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을 촉진함을 밝히고자 한 사례 연구다. 이에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7학년 6명에게 8개월간 적용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과학 교육 연구자인 멘토가 스캐폴딩코칭을 제공하며, 멘티 학생들은 연구 문제 선정, 연구설계, 자료 수집과 분석, 논문 작성 및 학회 발표에 이르기까지 과학연구의 전체 과정을 수행한다. 연구 문제는 1)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연구 단계별 학습 상황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2)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각 학습 상황에서 '과정으로서 NOS'에 대해 어떤 관점을 구성하는가? 등이다. 수업 관찰, 사후 면담, 멘토의 성찰 보고서, 학생 산출물 등이 수집 및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1) 연구 문제 망각과 혼란, 2) 자료 오류의 처리와 파기, 3) 연구자 입장에 따른 자료 해석, 4) 전반적 연구 경험과 논문 작성, 5) 학술대회 발표장에서의 경험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연구문제의 역할, 측정값의 유효성, 자료 해석에서의 주관성, 과학 지식의 생성과 동료 심사, 학술 대회의 의의 등 과정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학습했다. 참여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학습한 NOS 관점은 현대적 인식론에 가까웠다. 본 연구는 과학 연구의 구체적 상황과 과정으로서 NOS 학습을 관련지어 보여줌으로써 NOS의 맥락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가 하는 일과의 유사성이 아닌 학습자의 주체성 및 의미와 관련지어 '실제성'을 정의했고, 이렇듯 상황학습론적 가정에 입각한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NOS 학습을 촉진했다. 본 연구의 가정과 결과는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의 의미와 실제적 과학 학습 환경의 구현 방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공적인 NOS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과 같이 1) 과학자가 하는 일의 주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고, 2) 반구조화된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이 연구의 주도권을 소유하도록 하며, 3) 과학 연구 내용이 연구자에게 관련되고 의미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ase study examining how research-based 'authentic' science education program contextually facilitates students' learning on NOS as a process. We develop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and applied it to six Korean 7th graders for 8 months. A mentor, who is also a res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 증가로 인한 잠재적인 유익함은 어떠합니까?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 증가의 잠재적 유익은 명백하다. 학생들이 적극적인 학습자가 되도록 하여 그들이 유의미한 맥락에서 과학지식을 얻게 할 뿐 아니라, 탐구와 의사소통 방식을 발달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평생 학습자가 되도록 돕는다(Edelson, 1998). 또한 실제적 (authentic) 과학 교육은 현대 과학 교육의 목적인 과학적 소양인, 즉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의 개념, 과정, 기능 및 가치를 사용하는 유능한 현대 시민을 양성한다는 점에서도(NSTA, 1971) 의미가 있다.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이러한 연구 기반 교육은 대개 실험실 혹은 현장에서의 직접적인 도제 학습(apprenticeship learning)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제 학습 프로그램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고등학생들에게 실제적 과학 연구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과학 진로와 관련해 결정할 때 도움을 주는 것이다(Bell, Crawford, & Lederman, 2003). 국내에서는 이러한 형태를 주로 ‘사사 교육’이라고 명명하며, 대표적으로 고등학생 영재를 대상으로 한 R&E(Research and Education: 연구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이 2003년부터 운영되어 왔다(Kim & Sim, 2008).
전통적으로 학교 과학은 무엇을 학습에서의 성공으로 여겨왔습니까? 학교 과학은 전통적으로 학습자가 정립된(established) 과학 지식을 이해하고 암기하여 높은 과학 성취도 점수를 획득하는 것을 학습에서의 성공으로 여겨 왔다. 그러나 학습을 문화화로 간주하는 상황학습론자들은 이러한 학교 과학 문화가 자연 세계에 대한 새로운 지식 생성 및 지속되는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실제 과학 문화와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며, 그 격차를 감소시킬 것을 요구해왔다(Sadler,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bd-El-Khalick, F., & Lederman, N.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665-701. 

  2. Abraham, L. M. (2002). What do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gain from field-based research apprenticeship programs?. The clearing house, 75(5), 229-232. 

  3. Barab, S. A., & Hay, K. E. (2001). Doing science at the elbows of experts: Issues related to the science apprenticeship cam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 70-102. 

  4.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5. Constantina, S., & Constantine, S. (2014).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science: An educational approach. Advances in Historical Studies, 3, 183-193. 

  6. Crawford, B. A., Krajcik, J. S., & Marx, R. W. (1999). Elements of a community of learner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3(6), 701-723. 

  7. Do, S., Hwang, Y., & Park, J. (2009).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the middle school science experiment class for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2), 184-192. 

  8. Edelson, D. C. (1998). Realising authentic science learning through the adaptation of scientific practice.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1, 317-331. 

  9. Han, S., Yang, C., & Noh, T. (2013). Instructional influences of explicit and reflective scientific inquiry learning program about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Korean Chemical Society, 57(1), 115-126. 

  10. Hunter, A. B., Laursen, S. L., & Seymour, E. (2007). Becoming a scientist: The role of undergraduate research in students' cognitiv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cience Education, 91(1), 36-74. 

  11. Kang, S., & Noh, T. (2014). Nature of science. Seoul: Bookshill. 

  12.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13. Kim, M. (2008). The meta-analysis of studies by views on nature of science.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4. Kim, K., & Sim. J. (2008).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e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4), 282-290. 

  15. Kim, M., & Kim, H. (2006). An analysis of the biology inquiry tasks in science high-school: Focusing on the features of scientific reasoning in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Korean Biology Education, 34(4), 330-341. 

  16. Kim, M., & Kim, H.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thentic open inquiry program in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Biology Education, 35(4), 521-535. 

  17. Kim, Y.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I: Bricoleur (2nd Ed.). Seoul: Academy Press. 

  18. Lederman, J. S., Lederman, N. G., Bartos, S. A., Bartels, S. L., Meyer, A. A., & Schwartz, R. S. (2014).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65-83. 

  19.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0.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1. Martin, B., Kass, H., & Brouwer, W. (1990). Authentic science: A diversity of meanings. Science Education, 74(5), 541-554. 

  22. Moss, D. M., Abrams, E.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49-161. 

  2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4.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71).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 46-51. 

  25.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Available at http://www.nextgenscience.org/next-generation-science-standards. 

  26. Nott, M., & Wellington, J. (1993). Your nature of science profile: An activity for science teachers. School Science Review, 75, 109-109. 

  27. O'Neill, D. K., & Polman, J. L. (2004). Why educate “little scientists?” Examining the potential of practice-based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3), 234-266. 

  28. Osborne, J., Collins, S., Ratcliffe, M., Millar, R., & Duschl, R. (2003). What "ideas-about-science" should be taught in school science? A Delphi study of the expert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7), 692-720. 

  29. Park, J. (2007). A study of new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A proposal for a synthetic view of the NO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2), 153-167. 

  30. Park, E., & Hong, H. (2010). The effects of explicit instructions on nature of science for the science-gift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2), 249-260. 

  31. Richmond, G., & Kurth, L.A. (1999). Moving from outside to inside: High school students' use of apprenticeships as vehicles for entering the culture and practic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677-697. 

  32. Ryder, J., & Leach, J. (1999). University science students' experiences of investigative project work and their images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45-956. 

  33. Ryder, J., Leach, J., & Driver, R. (1999).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imag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201-219. 

  34. Sadler, T. D., Burgin, S., McKinney, L., & Ponjuan, L. (2010). Learning science through research apprenticeship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3), 235-256. 

  35. Sadler, T. D. (2009). Situat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Socio-scientific issues as contexts for practic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1), 1-42. 

  36.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r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4), 634-656. 

  37. Schwartz, R. S., & Crawford, B. A. (2004).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as context for teaching nature of science: Identifying critical element. In L. Flick, & N. Lederman (Eds.), Scientific inquiry and nature of science: Implications for teaching, learning, and teacher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8. Schwartz, R. S.,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39. Schwartz, R. S., Lederman, N. G., & Lederman, J. S. (2008, March). An instrument to asses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The VOSI questionnaire. In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Baltimore, MD. 

  40.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41. Wong, S. L., & Hodson, D. (2009). From the horse's mouth: What scientists say about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3(1), 109-130. 

  42. Wong, S. L., & Hodson, D. (2010). More from the horse's mouth: What scientists say about science as a soci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1), 1431-1463. 

  43. Yang, C., Lee, J., Kim, Y., & Noh, T. (2011). Elementary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measurement.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430-441. 

  44. Yin, R. K. (2009).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