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된 감국 열수추출물의 첨가 방법에 따른 국화주의 특성 연구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Kukhwaju by Addition of Dried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into Mash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9, 2015년, pp.1333 - 1338  

방병호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진경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재영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  정은자 (을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문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동희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요록에 기록되어 있는 양조법으로 감국 열수 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화주를 제조하고 그에 따른 품질 특성의 연구를 목적으로 pH, 알코올 농도, 산도, 환원당함량, 총 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유리당, 유기산 함량 분석, 색도 측정을 통한 이화학적 실험을 하였다. pH 측정 실험에서는 감국 열수추출물이 투입되지 않은 control을 제외한 각각의 시료가 pH 5.0이상에서 발효가 시작되어 2일이 경과한 때에 급격하게 pH 3.5까지 낮아졌다. 이후 pH 3.5에서 pH 3.9 사이에서 큰 변화 없이 발효가 끝날 때까지 유지하였다. 산도는 lactic acid(%)로 나타내었으며 pH 수치와는 반대로 1일이 경과하였을 때 급격히 상승하였다. 이후 pH 수치와 마찬가지로 급격한 변화를 보이다가 4일이 경과하면서 반응이 완만해졌다. pH와 산도 측정에서는 감국 열수추출물을 투입하지 않은 시료와 투입한 시료와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알코올 농도의 변화에서는 4일이 경과할 때까지 급격히 상승하였으나 이후로는 완만하게 상승하여 6일 이후로는 그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환원당의 함량 변화와 반비례하며 4일이 경과 한 후로는 반응이 완만해졌다. 알코올 농도와 환원당 함량의 변화 역시 pH와 산도에서의 변화처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 함량은 gallic acid(mg/L)로 나타내었으며 감국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만 감국 열수추출물 비첨가군보다 총 페놀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실험으로 감국 열수추출물의 첨가로 양조한 국화주의 항산화 효과를 증대시키려면 5% 이상을 넣어야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서는 arabinos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glucose와 maltose, xylose는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mannose는 5%, 10% 감국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국화주만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 측정 시 감국 열수추출물 양에 비례해서 대체로 증가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감국의 기능성 측면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거라 생각되며 이는 감국을 이용한 식품개발에 있어서도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ddi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ukhwju during fermentation. Fermented liquors without C. indicum L.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For experimental groups, we added 1, 2, 5, and 10% C. indicum L. extracts and bre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화주 양조 방법 중 요록(要錄)에 기록된 방법(16)을 바탕으로 양조 과정에서 감국 열수추출물의 양을 멥쌀 대비 1, 2, 5, 10%(w/w)의 비율로 호화 과정 시 첨가하고 대조군을 포함하여 총 5개의 시료를 비교, 분석하여 감국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른 기초 분석 자료를 만드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요록에 기록되어 있는 양조법으로 감국 열수추출물 첨가량을 달리하여 국화주를 제조하고 그에 따른 품질 특성의 연구를 목적으로 pH, 알코올 농도, 산도, 환원당 함량, 총 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 활성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유리당, 유기산 함량 분석, 색도 측정을 통한 이화학적 실험을 하였다. pH 측정 실험에서는 감국 열수추출물이 투입되지 않은 control을 제외한 각각의 시료가 pH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won YJ, Lee JH, Song HG. 2012. A study on selection attributes of traditional liquor by life-style of eating-out consumers. Korean J Culinary Res 18: 90-107. 

  2. Jeon HM, Moon OS. 2011.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the types of makgeolli consumers based on purchase and drinking motives. Korean J Culinary Res 17: 59-73. 

  3. Jeon HY, Park SG. 2011.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or the promotion of traditional Korean liquors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44(4): 28-32. 

  4.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5. Song JH, Kim JH, Ahn BH, Lee JS. 2010. Screening of functional Rhizopus stolonifer for alcohol fermentation and production of high quality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ycology 38: 122-127. 

  6. Kwon DJ. 2002.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ji manufactured with Bacillus subtilis B-4 and Aspergillus oryzae F-5.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73-878. 

  7. Kim YS, Park YS. 2007.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in containing medicinal herb. Food Science and Industry 40(2): 83-89. 

  8. Kim JO, Kim JG. 1993. Microbial and enzymatic properties related to brewing of traditional Ewhaju. Korean J Soc Food Sci 9: 266-271. 

  9. Baek SY, Kim JY,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Hwanggeumju as a traditional home-brewed liquor. Korean J Food Preserv 20: 127-133. 

  10. Kang SG, Yang EJ, Jo GH, Park YK, Jung ST. 2008. Brew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30-1036. 

  11. Lee SH, Hwang IG, Nho JW, Chang YD, Lee CH, Woo KS, Jeong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24-831. 

  12. Hong CU. 2002.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08-113. 

  13. Cheng W, Li J, You T, Hu C. 2005.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inflorescence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J Ethnophamacol 101: 334-337. 

  14. Nam SH, Choi SD, Choi JS, Jang DS, Choi SU, Yang MS. 1997. Effect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against sarcoma180 implanted in ICR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44-147. 

  15. Yoshikawa M, Morikawa T, Murakami T, Toguchida I, Harima S, Matusda H. 1999. Medicinal flowers. I. Aldose reductase inhibitors and three new eudesmane-type sesquiterpenes, kikkanols A, B, and C,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em Pharm Bull 47: 340-345. 

  16. Park RD, Park SH, Kwon OG, Kark SG, Choi DS. 2009.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5. Korea Showcase, Seoul, Korea. p 224-235. 

  17. Albertini MV, Carcouet E, Pailly O, Gambotti C, Luro F, Berti L. 2006. Change in organic acid and sugars during early stages of development of acidic and acidless citrus fruit. J Agric Food Chem 54: 8335-8339. 

  18. Folin O, Denis 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Choi Y, Yu KW, Han NS, Koh JH, Lee J.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commercial red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86-1290. 

  21. Joung EJ, Paek NS, Kim YM. 2004.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Korean J Food & Nutr 17: 199-205. 

  22. Lee JS, Lee TS, Nho BS, Park SO.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23. Chang KJ, Yu TJ. 198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okokju, and commercial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07-313. 

  24.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226-232. 

  25. Min YK, Cho JG. 199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me medicinal herb rice wine. Agric Chem Biotechnol 37: 175-181. 

  26. Mighri H, Hajlaoui H, Akrout A, Najjaa H, Neffati M. 2010.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herbaalba essential oil cultivated in Tunisian arid zone. Comptes Rendus Chimie 13: 380-386. 

  27. Lin LZ, Harnly JM. 2010. Identification of the phenolic components of chrysanthemum flower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Food Chem 120: 319-326. 

  28. Jayaprakasha GK, Patil BS. 2007.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 fruit extracts from citron and blood orange. Food Chem 101: 410-418. 

  29. Yu CH, Hong SY, Koh JS. 2002. Zymological properties of foxtail millet wine-making by isolated strains from Nuruk.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38-144. 

  30. Lee SJ, Kim JH, Jung YW, Park S, Shin WC, Park CS, Hong S,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