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갯벌복원의 함의와 복원추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Multiple Implications of the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 Eco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Restoration Framework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7 no.3, 2015년, pp.211 - 223  

남정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 ,  손규희 (해양환경관리공단 해양보전본부) ,  김종성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society has been recently promoting the restoration of coastal wetlands. These efforts might become the basis of a policy framework that compensates for the limitations of a regulation-oriented policy such as the designation of Marine Protected Areas (MPAs). The shift in government policy c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갯벌복원의 목표가 생태적 기능을 개선, 증진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것은 타당하다. 따라서 갯벌복원은 갯벌의 생물학적, 물리학적, 화학적, 지질학적 상태의 변화를 함의한다. 그러나 갯벌 복원의 함의를 생태적 기능의 개선·증진으로만 한정하거나 이해될 경우 갯벌복원을 위한 의사결정, 복원과정, 복원 후 사후관리, 복원에 따른 편익의 배분을 포함한 일련의 과정이 고려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 「연안관리법」은 갯벌복원을 갯벌의 건강성 증진의 관점이 아닌 개발사업의 영향을 상쇄하여 자연해안관리목표를 달성하는 관점에서만 접근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갯벌을 관리하는 「습지보전법」을 기초로 법제도 및 정책 여건을 아래와 같이 검토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정책적 현안으로 부각된 갯벌생태계 복원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의 추진현황을 살펴보았고, 갯벌생태계복원을 위한 여건을 제도·기술·재원·사회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 이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갯벌정책이 습지보호지역 지정 중심의 규제정책에서 현명한 이용을 통한 사회경제적편익창출에 필요한 기반을 제공하는 조장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해 향후 추진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갯벌복원 정책과 보호지역 지정 정책은 상반되거나 별개의 분리된 개별 정책이 아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에 대한 국가의 정책의 한계는? 그러나 갯벌에 대한 국가의 정책은 보호지역 지정과 행위제한 중심의 ‘지정 및 규제’ 위주의 정책에 한정되어 있다. 그나마 지정된 습지보호지역도 현재의 이용행위를 수용하는 소극적 규제에 한정되어 있어 지정정책의 효과가 그리 크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갯벌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인식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갯벌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인식은 과소평가되었다. 육상의 토지공간에 비해 그 용도가 수산업에 한정된 것으로 인식되어 토지에 비해 그 가치와 생산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90년대 중후반의 시화호, 새만금 지역 등의 대규모 간척으로 인한 갯벌의 훼손과 오염, 그리고 씨프린스 호 기름유출사고와 연이은 연안지역의 대규모 유해성 적조로 경제적 피해가 가시화되면서 해양환경 보전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인식은 변하였다.
습지보전법은 무슨 제도인가? 이후 우리나라 해양환경보전 정책에서 갯벌매립 및 이에 따른 해양생태계 훼손이 현안으로 등장하면서 체계적 보전을 위한 제도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연안습지인 갯벌과 내륙습지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1999년 「습지보전법」이 제정되었고, 이 법률에 근거하여 2001년 무안갯벌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2개소218.96 km2의 연안습지보호지역이 지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국토해양부 (2008) 갯벌복원을 위한 현황조사 및 중장기 계획연구.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878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08) Mid and long term promotion plan for restoration of tidal flat. Kore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878 p (in Korean)) 

  2. 국토해양부 (2009a) 해양생태계 보전.관리 기본계획(2009-2018). 국토해양부, 326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09a) Marine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2009-201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326 p (in Korean)) 

  3. 국토해양부 (2009b) 2008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국토해양부, 383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09b) 2008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 (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383 p (in Korean)) 

  4. 국토해양부 (2010) 2009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국토해양부, 791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0) 2009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 (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791 p (in Korean)) 

  5. 국토해양부 (2011a)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2011-2021). 국토해양부, 337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1a) The second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l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337 p (in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1a) The second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pl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337 p (in Korean)) 

  6. 국토해양부 (2011b) 2010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국토해양부, 686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1b) 2010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 (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686 p (in Korean)) 

  7. 국토해양부 (2012a) 해양생태산업(Marine Eco-Industry)체제 구축방안 최종보고서. 국토해양부, 294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2a) Building plan for marine eco-industry system-final report.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294 p (in Korean)) 

  8. 국토해양부 (2012b) 2011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국토해양부, 792 p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2012b) 2011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 (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ne Affairs of Republic of Korea, 792 p (in Korean)) 

  9. 남정호 (2014) 갯벌생태계 복원 법제도 현황 및 개선 방향. In: 해양생태계 복원 심포지엄 Program & Abstract Book, 부경대학교, 부산, 2014년 12월 11일, pp 1-3 (Nam J (2014) Improving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restoration of tidal flat ecosystem. Improving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for restoration of tidal flat ecosystem. I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11 Dec 2014, pp 1-3 (in Korean)) 

  10. 서경석 (2009) 해양생태계 복원 연구개발 추진 방향: 갯벌을 중심으로. 해양국토 21(4):17-35 (Seo KS (2009)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 focus on tidal flat. Ocean Territory Research 21(4):17-35 (in Korean)) 

  11. 손규희 (2014) 갯벌 복원 사업 현황 및 정책 방향. In: 해양생태계 복원 심포지엄 Program & Abstract Book, 부경대학교, 부산, 2014년 12월 11일, pp 4-5 (Son K-H (2014) Policy directions and status for the restoration projects. I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restoration of marine ecosystem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11 Dec 2014, pp 4-5 (in Korean)) 

  12. 해양수산부 (2013a) 해양생태계 복원기술개발 기획연구 최종보고서. 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 R&D 2012-0196, 296 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a) A planning study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f Republic of Korea 2012-0196, 296 p (in Korean)) 

  13. 해양수산부 (2013b) 2012 연안습지 기초조사(기본조사). 해양수산부, 683 p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b) 2012 National survey of coastal wetland (basic investigatio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f Republic of Korea, 683 p (in Korean)) 

  14. DOI (2011)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s economic contributions, June 21, 2011.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Scientific Investigations Report 2011-5043, 146 p 

  15. Edgar GJ, Stuart-Smith RD, Willis TJ, Kininmonth S, Baker SC, Banks S, Barrett NS, Becerro MA, Bernard AT, Berkhout J, Buxton CD, Campbell SJ, Cooper AT, Davey M, Edgar SC, Forsterra G, Galvan DE, Irigoyen AJ, Kushner DJ, Moura R, Parnell PE, Shears NT, Soler G, Strain EM, Thomson RJ (2014) Global conservation outcomes depend on marine protected areas with five key features. Nature 506:216-220 

  16. Elliott M, Burdon D, Hemingway KL, Apitz SE (2007) Estuarine, coastal and marine ecosystem restoration: confusing management and science-a revision of concepts. Estuar Coast Shelf S 74:349-366 

  17. Folke C (2007) Social-ecological systems and adaptive governance of the commons. Ecol Res 22:14-15 

  18. Koh C-H, Khim JS (2014) The Korean tidal flat of the Yellow Sea: physical setting, ecosystem and management. Ocean Coast Manage 102:398-414 

  19. Lloyd RA, Lohse KA, Ferre TPA (2013) Influence of road reclamation techniques on forest ecosystem recovery. Front Ecol Environ 11:75-81 

  20. Matz-Luck N, Fuchs J (2014) The impact of OSPAR on protected area management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effective regional cooperation or a network of paper parks? Mar Policy 49:155-166 

  21. MEA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biodiversity synthesis.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Washington DC, 100 p 

  22. NRC (1991)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Research Council, Washington DC, 485 p 

  23. Ostrom E (2007) A diagnostic approach for going beyond panaceas. P Natl Acad Sci USA 104(39):15181-15187 

  24. Palmer MA, Filoso S (2009) Restoration of ecosystem services for environmental markets. Science 325:575-576 

  25. Patrick D, Griffin MB, Sullivan Jr. RK, Tim P (2012) The economic impa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massachusetts. http://www.mass.gov/eea/agencies/dfg/der/publications Accessed on 6 June 2015 

  26. RAE (2011) Jobs & dollars-big returns from coastal habitat restoration. Restore America's Estuaries. http://www.habitat.noaa.gov/pdf/RAE_Restoration_Jobs.pdf Accessed on 2 Nov 2011 

  27. Stolton S, Dudley N (1999) A preliminary survey of management status and threats in forest protected areas. Parks 9:27-33 

  28. Weinerman M, Buckley M, Reich S (2012) Socioeconomic benefits of the fischer slough restoration project. ECONorthwest, Oregon, 33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