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 양식어장 주변 표층 퇴적물 중 미량금속의 분포 특성 및 오염 평가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around Farming Area of Jinhae Bay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1 no.4 = no.69, 2015년, pp.347 - 360  

최태준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가람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황현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영숙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임재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8월 진해만을 대상으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미량금속(As, Cd, Co, Cr, Cu, Fe, Hg, Mn, Pb, Zn)의 분포를 살펴보고,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미량금속의 평균농도는 As 11.1 mg/kg, Cd 0.52 mg/kg, Co 14.1 mg/kg, Cr 69.8 mg/kg, Cu 57.2 mg/kg, Fe 3.7 %, Hg 0.064 mg/kg, Mn 600 mg/kg, Pb 40.1 mg/kg, Zn 167.2 mg/kg 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미량금속 중 As, Co, Cr, Fe의 농도는 만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반면, Cd, Hg, Pb, Zn는 마산만을 포함한 진해만의 북쪽 해역, Cu는 진해만 남동쪽의 고현만, Mn은 거제도 북쪽과 마산만 남쪽을 잇는 만 동쪽방면의 외해로 열린 해역에서 국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각 미량금속의 공간적 분포, 퇴적물 입도 및 미량금속 간의 상관관계와 요인분석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봤을 때, Co, Cr, Fe는 퇴적물의 입도, Mn은 퇴적물의 산화환원 상태, 그리고 As, Cd, Cu, Hg, Pb, Zn은 만 주변의 오염활동으로 인한 미량금속 공급에 따라 분포가 지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미량금속 중 As, Cd, Cr, Hg, Pb의 농도를 국내 해양 퇴적물 환경기준인 주의기준(TEL), 관리기준(PEL)과 비교 시, Cd, Hg, Pb의 농도가 만의 북쪽인 마산만 주변에서 주의기준을 초과하였다. 각 미량금속의 농축계수 및 농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As, Cd, Cu, Hg, Mn, Pb, Zn가 일부 해역에서 인위적 오염을 보였다. 이 중 As, Mn, Zn은 우려할만한 수준의 오염을 보이진 않았으나, 마산만을 포함한 만 북쪽에서는 Cd, Hg, Pb, 만 남동쪽 가장 안쪽의 고현만에서는 Cu로 인한 오염 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 해당 원소의 농축에 대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ce metals(As, Cd, Co, Cr, Cu, Fe, Hg, Mn, Pb and Zn)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of Jinhae bay in August of 2013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ce metals distribution and to evaluate the metal pollution. Assessment for metal pollu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se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b) 수산 생물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량금속의 분포 및 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해만 내 양식장 주변 및 어장환경을 대표할 수 있는 정점에서 채취한 퇴적물을 분석하여 미량금속의 분포 및 오염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앞서 언급하였듯이, 진해만 퇴적물에서 일부 미량금속 농도와 공간적 분포는 인위적인 오염 요인에 지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므로 미량금속의 농축 및 오염 현황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미량금속 오염 평가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인 국내 퇴적물 환경기준과의 비교 및 농축계수(EF)와 농집지수(Igeo)를 이용해 미량금속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해양수산부(고시 제 2013-186호)에서 제시한 해양 퇴적물 환경기준인 주의기준(threshold effects level, TEL)과 관리기준(probable effects level, PEL)을 이용하여, 입도의 영향을 보정하여 평가할 것으로 권고하고 있는 Cu와 Zn을 제외하고 직접적인 농도비교가 가능한 As, Cd, Cr, Hg, Pb의 농도를 비교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을 구성하는 소규모 만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 남해 동부에 위치한 진해만은 마산만, 진동만, 창포만, 원문만, 고현만 등의 소규모 만으로 구성되어 있고, 동쪽의 좁은 가덕수도를 통해 제한적인 해수교환이 일어나는 반폐쇄적인 해역이다(Cho and Lee, 2012). 진해만의 북쪽으로 대도시와 임해공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서쪽에 수하식 굴양식장, 남쪽에는 주거도시와 조선산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각종 오염물질의 부하량이 크다(Son et al.
해양환경에서 퇴적물 중 미량금속이 저서생태계 오염의 지시자로 활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3). 해양환경에서 퇴적물 중 미량금속은 수층에 비해 축적된 농도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그 해역의 미량금속 거동 및 오염도를 대표 할 수 있으며, 저서생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저서생태계 오염의 지시자로서 활용된다(Lim et al., 2013).
표층 퇴적물을 채취한 후 어떻게 처리히였는가? 1). 채취한 시료는 미리 산세척한 고밀도 폴리에틸렌병(high density polyethylene bottle)에 담아 분석 시까지 냉동 보관하였고, 이후 퇴적물의 입도, 미량금속 분석을 위한 시료를 개별로 취하여 Hwang et al.(2011)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을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ho, K. J., M. Y. Choi, S. K. Kwak, S. H. Im, D. Y. Kim, J. G. Park and Y. E. Kim(1998),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hae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3, No. 4, pp. 193-202. 

  2. Cho, Y. G., C. B. Lee and C. H. Koh(2000),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5, No. 2, pp. 131-140. 

  3. Cho, Y. G. and C. B. Lee(2012),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Masan and Jinhae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4, pp. 302-313. 

  4. Fang, T. H. and E. Hong(1999), Mechanisms influenc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surficial sediments off the south-western Taiwan,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38, No. 11, pp. 1026-1037. 

  5. Folk, R. L.(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s, Drawer M. University Station, p. 170. 

  6. Folk, R. L. and W. C. Ward(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27, No. 1, pp. 3-26. 

  7. Ghani, S. A., G. E. Zokm, A. Shobier, T. Othman and M. Shreadah(2013), Metal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of Abu-Qir Bay and Eastern Horbour of Alexandria, Egypt, The Egyptian Journal of Aquatic Research, Vol. 39, No. 1, pp. 1-12. 

  8. Harman, H. N.(1967), Modern factor analysis. Univ. Chicago Press, 2nd ed., p. 469. 

  9. Hong, J. S. and J. H. Lee(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Oceanol. Soc. Korea. Vol. 18. pp.169-179 

  10. Hong, S. J., W. C. Lee, R. H. Jung, H. T. Oh, J. H. Jang, J. H. Goo and D. M. Kim(2007), Ecosystem modelling for improvement summer water quality of Jinhae bay in 200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3, No. 2, pp. 103-110. 

  11. Horowitz, A.(1991), A Primer on Sediment-Trace Element Chemistry, Lewis Publishers, INC., Michigan, p. 136. 

  12. Hwang, D. W., H. G. Jin, S. S. Kim, J. D. Kim, J. S. Park and S. G. Kim(2006),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harbor,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39, No. 2, pp. 106-117. 

  13. Hwang, D. W., I. S. Lee, M. Choi and H. G. Choi(2014),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Ulsan harb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 17, No. 3, pp. 146-160. 

  14. Hwang, D. W., S. E. Park, P. J. Kim, B. S. Koh and H. G. Choi(2011), Assessment of the pollution levels of organic matter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Aphae Island,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4, No. 6, pp. 759-771. 

  15. Hwang, D. W., S. O. Ryu, S. G. Kim, O. I. Choi, S. S. Kim and B. S. Koh(2010),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43, No. 2, pp. 146-158. 

  16. Hyun, S., C. H. Lee, T. Lee and J. W. Choi(2007), Anthropogenic contributions to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4, No. 7, pp. 1059-1071. 

  17. Hyun, S., T. Lee, J. S. Choi, D. L. Choi and H. J. Woo(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대녀 bay, south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8, No. 4, pp. 380-391. 

  18. Jin, Y. H., K. T. Kim, C. S. Chung, S. H. Kim, D. B. Yang, G. H. Hong and K. W. Lee(2000), Behavior of trace metals in Masan bay, Korea during oxygen deficient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 No. 4, pp. 56-64. 

  19. Kang, Y. S., J. S. Park, S. S. Lee, H. G. Kim and P. Y. Lee(1996),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s of Copepods in relation to eutrophic evaluation in Chinhae bay,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29, No. 4, pp. 415-430. 

  20. Kim, K. T., E. S. Kim, S. R. Cho, K. H. Chung and J. K. Park(2005), Distribu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the environmental samples of the lake Shihw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8, No. 3, pp. 148-157. 

  21. Kim, K. T., K. Ra, J. K. Kim, E. S. Kim, C. K. Kim and W. J. Shim(2015), Distribution of dissolved heavy metals in surface seawaters around a shipyard in Gohyun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8, No. 1, pp. 36-44. 

  22. Kim, G., H. S. Yang and Y. Kodama(1998), Distributions of transition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Yellow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18, No. 12, pp. 1531-1542. 

  23. Kim, J. H., S. D. Chang and S. K. Kim(1986), Variability of current velocities in Masan Inlet,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19, No. 3, pp. 274-280. 

  24. Kim, P. J., S. G. Shon, S. Y. Park, S. S. Kim, S. J. Jang, S. B. Jeon and J. S. Ju(2012a), Biogeochemistry of metal and nomnetal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 of the Gamak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2, pp. 67-83. 

  25. Kim, S. Y., Y. H. Lee, Y. S. Kim, J. H. Shim, M. J. Ye, J. W. Jeon, J. R. Hwang and S. H. Jun(2012b),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al in the Hypoxic Season at Jinhae bay in 2010,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Vol. 6, No. 2, pp. 115-129. 

  26. Lee, M., W. Bae, J. Chung, H. S. Jung and H. Shim(2008), Seas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 at Youngil bay, southeast coast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7, No. 6, pp. 325-334. 

  27. Lee, S. H. and K. W. Lee(1983),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J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Oceanologioal Society of Korea, Vol. 18, No. 1, pp. 49-54. 

  28. Libes, S. M.(1992), An introduction to marine biogeochemistry, New York Chichester Brisbane Toronto Singapore, John Wiley Sons, INC., pp. 193-197. 

  29. Lim, D. I., H. S. Jung, K. T. Kim, H. H. Shin and S. W. Jung(2012), Sedimentaty records of metal contamination and eutrophication in Jinhae-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4, No. 11, pp. 2542-2548. 

  30. Lim, D. I., J. W. Choi, H. H. Shin, D. H. Jeong and H. S. Jung(2013), Toxicological impact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southern coastal sediments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73, No. 1, pp. 362-368. 

  31. Martin, J. M. and M. Whitfield(1983), The significance of the river input of chemical elements to the ocean. In: C.S. Wong, E.A. Boyle, K.W. Bruland, J.D. Burton and E.D. Goldberg(editors), Trace Metals in Sea Water, New York: Plenum, pp. 265-296. 

  32. MOF(2013),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diment quality guidelines, http://www.mof.go.kr/law2.do. 

  33. Muller, G.(1979), Schwermetalle in den sedimenten des rheins-Veranderungen Seit, Umschau 24, pp. 778-783. 

  34. Ra, K. T., J. K. Kim, E. S. Kim, K. T. Kim, J. M. Lee and E. Y. Kim(2013), Vertical profiles and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ediment cores from outer sea of lake Shihw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6, No. 2, pp. 71-81. 

  35. Salomons, W. and U. Forstner(1984), Metals in the Hydrocycle,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p. 349. 

  36. Son, M., S. H. Baek, H. M. Joo, P. G. Jang and Y. O. Kim(2011),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and water pollution in Gwangyang Bay and Jinhae Bay, Korea,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Vol. 29, No. 3, pp. 162-170. 

  37. Song, Y. H., M. S. Choi and Y. W. Ahn(2011), Trace metals in Chun-su bay sediments,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6, No. 4, pp. 169-179. 

  38. Summerhayes, C. P.(1972), Geochemistry of continental margin sediments from northwest Africa, Chemical Geology, Vol. 10, No. 2, pp. 137-156. 

  39. Summers, J. K., T. L. Wade, V. D. Engle and Z. A. Malaeb(1996), Normalization of metal concentration in estuarine sediments from the Gulf of Mexico, Estuaries, Vol. 19, No. 3, pp. 581-594. 

  40. Sun, C. I., Y. J. Lee, J. H. An and Y. W. Lee(2014), Speci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9, No. 2, pp. 155-163. 

  41. Taylor, S. R.(1964), Abundance of chemical elements in the continental crust: A new table,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Vol. 28, No. 8, pp. 1273-1285. 

  42. Woo, H. J., H. Y. Kim and K. S. Jeong(1999), Response of benthic foraminifera to sedimentary pollution in Masan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4, No. 2, pp. 144-154. 

  43. Woo, H. J., J. H. Cho, K. S. Jeung, C. S. Chung, S. J. Kwon and S. M. Park(2003), Pollution history of the Masan bay, southease Korea, from heavy metals and foraminifera in the subsurface sediments, Journal of Korea Earth Science Society, Vol. 24, No. 7, pp. 635-649. 

  44. Yang, D. B. and J. S. Hong(1988), On the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 of surface sediments in Chinhae bay in September 1983, Bulletin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ol. 21, No. 4, pp. 195-205. 

  45. Zhang, J. and C. L. Liu(2002), Riverine composition and estuarine geochemistry of particulate metals in China-weathering features, anthropogenic impact and chemical flux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4, No. 6, pp. 1051-10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