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 후기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의 안정성 및 변화와 환경적 특성과의 관계 : 주변또래의 역할을 중심으로
Stability & Chang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 With a Focus on Peer Bystander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6 no.4, 2015년, pp.17 - 32  

서미정 (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아동.생활복지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stability and changes of participant roles in the bullying process, namely, bullies, victims, followers, outsiders, and defender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ssoci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both followers and defenders in sixth 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의 조기 개입 차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을 6학년까지 추적하여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의 안정성 및 변화를 살펴보고, 주변또래들이 1년 후 가해동조자 역할에 비해 방어자 역할에 더욱 참여하는 데 기여하는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또래괴롭힘의 조기 예방 및 중재에는 사회적 자원이 활용되어야 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실제 다차원적 환경을 통한 또래괴롭힘 개입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 실천적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가 기존의 가해자 또는 피해자 중심의 선택적 개입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여 학급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주변또래들을 포괄하는 개입 전략에 적용된다면 또래괴롭힘 예방 및 중재 효과를 극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가해자와 피해자 주변에 있는 또래들이 이후 피해자를 방어하는 데 기여하는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개인적 성향 위주의 중재적 초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자원을 활용할 필요성에 대한 근거와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즉 주변또래가 향후 피해자를 방어하는 역할에 더욱 개입하도록 중재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또래나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에 참여하는 역할이 시간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지, 변화가 있다면 어떤 역할로 전환되는지를 파악하고, 특히 역할 이동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주변또래들이 1년 후 가해동조자보다 방어자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초점은 다수의 주변또래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해자를 방어하도록 중재하여 또래괴롭힘의 예방과 지속 차단에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 등 다차원적 환경 요인을 활용하려는 근거와 전략 마련에 주된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가해자가 1년 후 같은 역할 다음으로 방어자로 전환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가해자 중심의 연구 및 중재에도 새로운 방향을 제안할 수 있다. 즉 가해자도 시간이 지나면 피해자를 방어하는 역할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해자가 어떤 특정 상황에서 피해자를 방어하는지, 어떤 특성을 가진 가해자가 시간이 지나면 방어자 역할을 하게 되는지 등을 밝히는 연구가 요구된다.
  • 선행 연구들을 통해 부모,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적 특성 요인과 함께 부모감독, 교사감독 및 지역사회감독 요인을 포함시켜 부모가 아동의 일상을 잘 감독하고, 공격행동에 대한 교사의 감독, 그리고 일탈행동에 대한 지역사회의 감독이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방어자 역할에 더욱 개입하게 되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즉 부모 요인으로 거부ㆍ제재적 양육과 부모감독을, 또래 요인에는 친구애착을, 교사 요인으로 교사애착과 공격행동에 대한 교사감독을 선정하였고, 지역사회 요인에는 지역사회감독이 선정되었다.
  • 여기서는 1차 시기에 가해동조자, 방관자, 방어자 등 주변또래의 역할을 했던 아동들 중에서 1년 후 가해동조자와 방어자 간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 요인의 특성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때 주변또래들 가운데 ‘1년 후 가해동조자 집단’(이하에서 ‘가해동조자 집단’이라 함)과 ‘1년 후 방어자 집단’(이하에서 ‘방어자 집단’이라 함) 간 1차 조사에서 측정된 거부ㆍ제재적 양육, 부모감독, 친구애착, 교사애착, 교사감독 및 지역사회감독의 평균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able 4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에 참여하는 역할이 시간 흐름에 따라 안정적인지, 변화가 있다면 어떤 역할로 전환되는지를 파악하고, 특히 역할 이동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주변또래들이 1년 후 가해동조자보다 방어자 역할을 하는 데 기여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초점은 다수의 주변또래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해자를 방어하도록 중재하여 또래괴롭힘의 예방과 지속 차단에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 등 다차원적 환경 요인을 활용하려는 근거와 전략 마련에 주된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의 조기 개입 차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을 6학년까지 추적하여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의 안정성 및 변화를 살펴보고, 주변또래들이 1년 후 가해동조자 역할에 비해 방어자 역할에 더욱 참여하는 데 기여하는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또래괴롭힘의 조기 예방 및 중재에는 사회적 자원이 활용되어야 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실제 다차원적 환경을 통한 또래괴롭힘 개입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 이에 반해 피해자를 지지하는 방어자(defenders)의 존재는 가해자로 하여금 보복의 부담을 느끼게 하여 가행행동의 강화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또래괴롭힘 참여자 역할을 크게 가해자와 피해자, 그리고 주변또래로 분류하고, 주변또래를 가해동조자, 방관자 및 방어자로 범주화하고자 한다.
  • 공격행동에 대한 지역사회의 지도나 감독은 학령기 아동이 긍정적인 행동과 역할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Moffitt, 1993), 피해자를 지지하거나 가해행동을 적극적으로 제지하게 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변또래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방어자 역할에 개입하는 데 관련되는 요인 탐색을 위해 상대적으로 연구의 관심이 적었던 환경적 요인을 부모, 또래, 교사 및 지역사회체계로부터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1998)로부터 역할 안정성에서 성별 차이를 염두에 두어야 하겠다. 선행 연구들은 주변또래들, 특히 가해동조자와 방관자가 가해자나 피해자에 비해 역할 이동의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가정하게 한다. 이는 적절한 중재를 통해 가해동조자나 방관자는 시간 흐름에 따라 방어자 역할로 참여시키고 방어자는 같은 역할에 머물도록 기대할 수 있으므로 개입 효과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어자 역할은 어떤 양육환경에서 나타나는가? 몇몇 연구자들은 방어자 역할과 환경적 특성도 연결 짓고 있는데, 부모, 또래, 교사 등 아동에게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의 영향력이 검증되었다(Hyun & Kim, 2014; Kim & Han, 2011; Lee & Song, 2012; Myron-Wilson, 1999). 즉 남학생의 경우 방어자는 피해자에 비해 온정․수용적 양육은 높은 반면 거부․제재적 양육을 낮게 지각하고 있으며, 여학생의 방어자 집단은 강화자, 동조자 및 피해자 집단에 비해 온정․수용적 양육은 높고 낮은 수준의 거부․제재적 양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 Han, 2011). 또한 강화자 역할의 아동들은 부모의 처벌적 양육을 높게 지각하며, 조력자는 방임적 양육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Myron-Wilson, 1999).
또래괴롭힘이란? 또래괴롭힘(bullying)은 상대적으로 힘이 센 개인 또는 집단이 자신을 방어하는 능력이 부족한 또래에게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해를 가하는 행동이 반복되는 것을 말한다(Olweus, 1993;Smith, 1991). 최근 수십 년 동안 또래괴롭힘은 국내외 연구자들의 관심을 꾸준히 받아 왔으며, 그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현실적 요구도 급증하고 있다.
방어자 역할의 확대가 또래 괴롭힘 감소에 효율적인 이유는? 이러한 집단맥락적 관점은 또래괴롭힘의 감소를 위해서는 가해행동의 직접적인 변화보다 가해행동에 대한 강화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또래괴롭힘이 지속되는 것을 차단하는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주변또래들 가운데 방어자는 가해자에게는 처벌적 효과를 주고, 피해자에게는 이후 괴롭힘의 피해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으므로 방어자 역할을 확대시키는 방안이 또래괴롭힘 감소에 효율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J. (2012).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moral disengagement and the bullying assistant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 Baik, J. (2010). Understandings peer victimization in boys and girls: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al, social characteristics and bullying participant ro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Cha, Y. (2005). Participant roles in peer bullying and social understandings among grade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Choi, M. (2000). The influences of victimization by peers on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experiences of victims - The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and in-depth interview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 Han, M. (1996).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6.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 Hyun, A., & Kim, Y. (2014). The role of collective efficacy and parental bonding in victimdefend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1), 129-153. 

  8. Karatzias, A., Power, K. G., & Swanson, V. (2002).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Scottish secondary schools: Same or separate entities? Aggressive Behavior, 28(1), 45-61. 

  9. Kim, D. (2012, September). 31% out of victims in bullying thought about suicide more than once. Daejonilbo, Retrieved October 25, 2012, from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026249. 

  10. Kim, J., & Lee, D. (1996). A study on strains and Juvnile delinquenc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1996(3), 1-164. 

  11. Kim, Y., & Han, S. (2011). Discriminant analysis of bullying participant roles among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3), 19-41. 

  12. Kwon, S. (2012). The study on music therapy programs for school violence perpetrators and school violence victi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Christian University, Seoul, Korea. 

  13. Ladd, G. W., & Burgess, K. B. (2001). Do relational risks and protective factors moderate the linkages between childhood aggression and early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72, 1579-1601. 

  14. Lee, S., & Song, K. (2012).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attachment, emotion regulation, social self-efficacy, defending and outsider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2), 393-415. 

  15. Maeda, R. (2003). Empathy, emotional regula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predictors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bully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16. Moffitt, T. E. (1993). Adolescent-limited and life 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Psychological Review, 100, 674-701. 

  17. Myron-Wilson, R. (1999). Parental style: And how it may influence a child's role in bullying. Bienni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18. O'Brien, D. T., & Kauffman, R. A. (2013). Broken windows and low adolescent prosociality: Not cause and consequence, but co-symptoms of low collective efficac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51(3-4), 359-369. 

  19. Olweus, D. (1978). Aggression in school. Washington, DC: Hemisphere. 

  20.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Cambridge, Ma: Blacwell. 

  21. Park, Y. (1995).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lf-este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2. Pellegrini, A. D., & Long, J. D.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dominance, and vitimiz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hrough secondary school.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 259-280. 

  23. Perry, D. G., Kusel, S. J., & Perry, L. C. (1988).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 807-814. 

  24. Pozzoli, T., & Gini, G. (2010).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The rol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peer pressur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8, 815-827. 

  25.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 K., Osterman, K., & Kaukiainen, A.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1), 1-15. 

  26. Salmivalli, C., Lappalainen, M., & Lagerspetz, K. (1998). Stability and change of behavior in connection with bullying in schools: A two-year follow-up. Aggressive Behavior, 24(3), 205-218. 

  27. Salmivalli, C., & Voeten, M. (2004).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r in bullying sit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Development, 28(3), 246-258. 

  28. Seo, M. (2006). An Exploration on Mitigative Factors of Bullying - Focused on Analysis by Types of Outsider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9. Seo, M. (2008). Participation in bullying: Bystanders' characteristics and role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79-96. 

  30. Seo, M. (2012). Subtypes of changes in 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and predictors of high-risk trajectories in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8, 157-186. 

  31. Seo, M., & Kim, K. (2004).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are bullies and/or Victim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2), 93-188. 

  32. Shim, M., & Seo, M. (2013). The class variables influencing on bystanding and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Focusing on class norms and teacher's supervision.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1(2), 225-246. 

  33. Sim, H. (2005). A cross-sectional and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n bullying/victimization and interpers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 roles approac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5), 263-279. 

  34. Sim, H. (2008). Bullying situations: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and social emotions of participant rol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3), 191-205. 

  35. Smith, P. K. (1991). The silent nightmare: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school peer groups. The Psychologist: The Bulletin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4, 243-248. 

  36. Song, K. (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ory of mind, proactive bullying and defending behaviors in adolescents: Mediation effect of moral disengagement and moral emo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7. Sutton, J., & Smith, P. K. (1999). Bullying as a group process: An adaptation of the participant role approach. Aggressive Behavior, 25(2), 97-111. 

  38. Whitney, I., & Smith, P. K. (1993). A survey of the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35, 3-25. 

  39. Yoon, J. (2013, April). 44% out of victims in school bullying thought about suicide. Segyeilbo, Retrieved May 5, 2013, from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04/22/20130422004915.html. 

  40. Yom, Y. (2012).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ying meditation for adolescents with school violence assaul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