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또래의 잠재적 참여유형에 따른 사회인지적 특성 비교
The Traits of Social Cognition Associated With Latent Participants of Bully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4, 2016년, pp.69 - 81  

김지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혜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literature on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lacks empirical evidence to explicate what differentiates latent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social cognition in early adolescents (i.e., empathy,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erceived group norm) with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주변또래의 참여유형이 또래괴롭힘 역동에 있어서 주요한 요인임을 고려할 때, 주변또래의 도덕적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인지적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주변또래의 잠재적 참여유형(강화자, 방관자, 방어자)에 따른 공감, 친사회적 도덕추론, 집단규범 인식을 중심으로 주변또래의 사회인지적 특성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친사회적 도덕추론은 벌, 권위, 형식적 의무나 규칙이 없는 조건(Eisenberg-Berg, 1979)을 충족하면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일어날 법한 상황을 제시하고자, 우리나라 중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할 법한 또래괴롭힘 상황으로 친사회적 도덕 갈등을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의 친사회적 도덕 추론 갈등 과제가 상황 단서를 고려하지 못한 점을 보완하고자 세부상황 단서를 제시하였다. 친사회적 도덕 추론 과제는 신체적/관계적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가해아의 힘이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감수해야 할 상황의 부담(높음/낮음)과 괴롭힘을 당하는 피해아의 책임의 유무(있음/없음)을 교차하여 총 8개의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변또래의 잠재적 참여유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회인지적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중학교 2학년 청소년들이 응답한 주변또래의 잠재적 참여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주변또래 참여유형에 따른 공감, 친사회적 도덕추론, 집단규범 인식의 차이를 비교 ·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성별이 주변또래의 첨여유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먼저 또래괴롭힘 상황에서 성별이 주변또래의 참여유형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다. Seo (2015)에 따르면 자기보고를 통한 참여자 역할 평가를 실시한 결과 남학생은 강화자 역할의 안정성이 높았고, 여학생은 방어자와 방관자 역할의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Salmivalli 등(1996)의 연구에서도 방어자 역할에서 여학생이 30.1%로 남학생의 4.5% 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외 다수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방어자로서 피해아를 돕는 경향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Salmivalli et al., 1996; Seo, 2015; Sutton & Smith, 1999).
또래괴롭힘이란 무엇인가? 또래괴롭힘(bullying)은 힘이 우세한 아이들이 스스로 방어하기 어려운 또래를 반복하여 신체 · 관계 · 언어적으로 해하는 것을 말한다(Olweus, 1991). 또래괴롭힘을 바라보는 입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하나는 가해아와 피해아에 초점을 맞춰 접근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또래괴롭힘이 발생하는 사회 집단 및 문화에 주안점을 두고 접근하는 것이다(Kim & Kim, 2000).
청소년기의 또래관계는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기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안에서 타인과 상호호혜적 관계를 맺고, 능동적으로 자아를 탐색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의 또래관계는 청소년의 정체성 확립과 심리정서 발달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Armsden & Greenberg, 1987). 그런데 사회정서 발달이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청소년기에 매년 또래괴롭힘으로 인한 심각한 수준의 사건 · 사고와 청소년의 심리정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ion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doi:10.1007/BF02202939 

  2. Beasley, T. M., & Schumacker, R. E. (1995).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to analyzing contingency tables: Post hoc and planned comparison procedure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4(1), 79-93. doi:10.1080/00220973.1995.9943797 

  3. Bjorkqvist, K. (1994). Sex differences in physical, verbal, and indirect aggression: A review of recent research. Sex Roles, 30(3), 177-188. doi:10.1007/BF01420988 

  4. Caravita, S., di Blasio, P., & Salmivalli, C. (2009). Unique and interactive effects of empathy and social status on involvement in bullying. Social Development, 18(1), 140-163. doi:10.1111/j.1467-9507.2008.00465.x 

  5. Chein, J., Albert, D., O'Brien, L., Uckert, K., & Steinberg, L. (2011). Peers increase adolescent risk taking by enhancing activity in the brain's reward circuitry. Developmental Science, 14(2), F1-F10. doi:10.1111/j.1467-7687.2010.01035.x 

  6. Davis, M. H. (1980).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10(85), 1-19. 

  7.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doi:10.1037/0022-3514.44.1.113 

  8. Eisenberg-Berg, N. (1979). Development of children's prosocial moral judg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15(2), 128-137. doi:10.1037/0012-1649.15.2.128 

  9.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28(1), 1-11. doi:10.3758/BF03203630 

  10. Gini, G., Albiero, P., Benelli, B., & Altoe, G. (2007). Does empathy predict adolescents' bullying and defending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33(5), 467-476. doi:10.1002/ab.20204 

  11. Gini, G., Albiero, P., Benelli, B., & Altoe, G. (2008). Determinants of adolescents' active defending and passive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Journal of Adolescence, 31(1), 93-105. doi:10.1016/j.adolescence.2007.05.002 

  12. Gini, G., Pozzoli, T., Borghi, F., & Franzoni, L. (2008). The role of bystanders in students' perception of bullying and sense of safety.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6), 617-638. doi:10.1016/j.jsp.2008.02.001 

  13. Haberman, S. J. (1973). The analysis of residuals in cross-classified tables. Biometrics, 29(1), 205-220. doi:10.2307/2529686 

  14. Jolliffe, D., & Farrington, D. P. (2011). Is low empathy related to bullying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and social background variables? Journal of Adolescence, 34(1), 59-71. doi:10.1016/j.adolescence.2010.02.001 

  15. Lawrence, E., Shaw, P., Baker, D., Baron-Cohen, S., & David, A. (2004). Measuring empath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athy quotient. Psychological Medicine, 34(5), 911-920. doi:10.1017/S0033291703001624 

  16. Menesini, E., Eslea, M., Smith, P. K., Genta, M. L., Giannetti, E., Fonzi, A., & Costabile, A. (1997). Cross-national comparison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s bully/victim problems in school. Aggressive Behavior, 23(4), 245-257. doi:10.1002/(SICI)1098-2337(1997)23:4 3.0.CO;2-J 

  17. Olweus, D. (1991). Bully-victim problems among school children: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program. In D. Pepler & K. Rubin (Eds.),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pp. 411-448).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8. Pellegrini, A. D., & Long, J. D. (2002). A longitudinal study of bullying, dominance, and victimiz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hrough secondary school.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2), 259-280. doi:10.1348/026151002166442 

  19. Pennington, D. C. (2010). Social cognition (pp. 1-35). London: Routledge. 

  20. Sainio, M., Veenstra, R., Huitsing, G., & Salmivalli, C. (2011). Victims and their defenders: A dyadic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5(2), 144-151. doi:10.1177/0165025410378068 

  21.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 K., Osterman, K., & Kaukiainen, A.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1), 1-15. doi:10.1002/(SICI)1098-2337(1996)22:1 3.0.CO;2-T 

  22. Salmivalli, C., & Voeten, M. (2004). Connections between attitudes, group norms, and behaviour in bullying situ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3), 246-258. doi:10.1080/01650250344000488 

  23. Salmivalli, C., Voeten, M., & Poskiparta, E. (2011). Bystanders matter: Associations between reinforcing, defending, and the frequency of bullying behavior in classroom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0(5), 668-676. doi: 10.1080/15374416.2011.597090 

  24. Sutton, J., & Smith, P. K. (1999). Bullying as a group process: An adaptation of the participant role approach. Aggressive Behavior, 25(2), 97-111. doi:10.1002/(SICI)1098-2337(1999)25:2 3.0.CO;2-7 

  25. Sutton, J., Smith, P. K., & Swettenham, J. (1999). Bullying and 'theory of mind': A critique of the 'social skills deficit' view of anti-social behaviour. Social Development, 8(1), 117-127. doi:10.1111/1467-9507.00083 

  26. Warden, D., & Mackinnon, S. (2003). Prosocial children, bullies and victims: An investigation of their sociometric status, empathy and social problem-solving strategi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367-385. doi:10.1348/026151003322277757 

  27. Ghim, H.-R. (2013). Differenc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by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mong 5th and 6th grade Korean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4), 1-20.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75309 

  28. Jang, S. J., & Choi, Y. K. (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ildren's reactions scale to peer bullying.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7(2), 251-267.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72358 

  29. Kim, J., & Kim, J. (2000).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bullying and classroom climate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1(1), 53-74.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767160 

  30. Lee, S.-Y. (2014). The roles of empathy, social self-efficacy, and perceived norms on defending behaviors to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7(3), 89-112.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375339 

  31. Lee, O. K. (2002).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rosocial moral reasoning, prosocial decision-making, and mother's moral reasoning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k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8728097 

  32. Lee, O. K., & Lee, S. H. (2003). Children's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prosocial moral reasoning, and prosocial decision-mak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2), 15-33.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30051258 

  33. Seo, M. J., & Kim, K. Y. (2006). Analysis of variables for classifying types of outsiders in bullying situation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7(6), 35-51.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5007209 

  34. Seo, M. (2008). Participation in bullying: Bystanders' characteristics and role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79-96.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A75585106 

  35. Seo, M. (2015). Stability & changes of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ith a focus on peer bystand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6(4), 17-32. doi:10.5723/KJCS.2015.36.4.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