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주파편 능동제거 기술 연구개발 동향 분석
Recent Status on Active Space Debris Removal Technologies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43 no.9, 2015년, pp.845 - 857  

김해동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김민기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주쓰레기로 인한 우주환경 악화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 프랑스, 일본 등 우주개발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우주파편 경감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준수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우주파편을 직접 제거함으로써 그 숫자를 경감하고자 하는 기술을 '우주파편 능동제거 기술'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파편 경감을 위한 해외 기관들의 연구동향과 배경들을 살펴보고 관련 기술개발 사례 및 특허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주파편 능동제거시스템 개발을 위한 소요기술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시작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선행연구 분석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eterioration of space environment due to space debris is getting a lot of international attention and advanced countries in space technology are willing to comply with their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With these efforts to reduce the number of space debris, active space debris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주파편 제거 문제를 상업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 예상하는 이유는? 또한, 우주파편 제거 문제는 기술적인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비용, 소유권 문제, 법적인 문제,정책적인 문제들이 얽혀 있어 상업적인 측면에서 활성화되기 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부수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현재처럼 혹은 더욱 활발한 우주개발이 지속될수록 우주파편으로 인한 우주환경의 급속한 악화는 시기의 문제일 뿐 예측되는 결과는 분명하다.
우주파편 능동제거를 위한 기술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따라서 국내에서도 장차 예상되는 국제적인 규제에 앞서 선제적으로 기술개발을 하여 대응할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 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주파편 능동제거를 위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랑데부/도킹/근접운영, 시각기반 자율 항법유도제어, 우주 로보틱스 등과 같은 유,무인 우주탐사에 반드시 필요한 핵심기술들을 포함하고 있고, 우주 재급유 및 궤도상위성 수리/부품 교환(Refueling & Repair Servicing)등과 같은 미래지향적인 우주기술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
1990년대 중후반부터 제정된 우주파편 경감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어떠합니까? 사실 미국 NASA, 유럽우주기구(ESA, European Space Agency),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CNES,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Deutsches Zentrum fur Luft-und Raumfahrt), 일본 항공우주기구(JAXA,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등은 이미 1990년대 중후반부터 자발적으로 우주파편 발생을 최소화하고 우주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우주파편 경감 가이드라인(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1]. 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발사체와 위성체의 설계 시우주파편과의 충돌 고려, 부속물들의 이탈 및 폭발에 의한 우주파편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위성 운영 중에는 충돌위험 분석 및 필요에 따라 적극적인 회피기동 수행을, 임무가 종료되는 시점에는 폐기 이후 폭발을 방지위한배터리 전력, 연료 등을 방출하거나 소모시키도록 하고 있다(Passivation). 궤도를 이동할 수 있는 추력기를 탑재한 경우 정지궤도위성은 우주무덤(Graveyard)으로 불리우는 영역으로 고도를 최소 200km 이상 상승시켜 폐기토록 하고, 저궤도위성은 잔존 궤도수명이 25년을 넘지 않도록 고도를 감소시키는 ‘25년 규정(25 Years Rule)’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능동적인 폐기 기동에 의한 위성체 또는 발사체의 지구재진입에 따른 잔존 지상낙하물에 의한 위험도 사전에 분석하고 사상위험도(Casuality Risk)가 일정 기준 이하(10-4 수준)가 되도록 제안하고 있다. 다음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http://www.iadc-online.org 

  2. Y. Ito, "Overview of JAXA's Space Debris related Activities", Proceedings of 5th Space Debris Workshop, Japan, 2014. 

  3. J.C. Liou and N.L. Johnshon, "Risks in space from orbiting debris", Science, 311(5795): pp.340-341, January, 2006. 

  4. http://www.space-track.org 

  5. J.C. Liou, "Orbital Debris and Future Environment Remediation", OCT Technical Seminar, Washington, DC, June 2011. 

  6. B. Obama, "National Spac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st ed., 2010. 

  7. J.C. Liou, "The Top 10 Questions for Active Debris Removal", European Workshop on Active Debris Removal, Paris, June, 2010. 

  8. J.C. Liou, "An active debris removal parametric study for LEO environment remediation", Advances in Space Research, Vol.47, Issue 11, 2011. 

  9. http://www.nasa.gov/sites/default/files/files/OrbitalDebrisProgramOffice.pdf 

  10. http://orbitaldebris.jsc.nasa.gov/ 

  11. S. Kawamoto, Y. Ohkawa, and et. al., "Strategies and Technologies for Cost Effective Removal of Large Sized Debris", Proceedings of Int'l conference on orbital debris removal, Washington D.C., 2009. 

  12. K. Wormnes, R. Letty, L. Summerer, et al., "ESA Technologies for Space Debris Remediation", 6th European Conference on Space Debris, Darmstadt, Germany, 2013. 

  13. D. Mcknight, "US Active Debris Removal Efforts", UN COPUOS, 2013. 

  14. L. Innocenti and L. Summerer, "Clean Space", Scientific and Technical Subcommittee: Vienna, Austria, 2013. 

  15. http://www.p2rotect-fp7.eu/documents/works/hop2/07.pdf 

  16. C. Bonnal, "Active Debris Removal: Current status of activities in CNES", Proceedings of IAF Workshop on Space Debris Removal, UN, 2013. 

  17. A. Albu-Schaffer, "DLR's Robotic Technologies for Space Debris Mitigation and On-Orbit Servicing", Scientific and Technical Subcommittee: Vienna, Austria, 2013. 

  18. S. Lin, "China Space Debris Mitigation Research Progress in 2014", 33th IADC Meeting, Houston, 2015. 

  19. http://www.space-airbusds.com/en/press_centre/airbus-defence-and-space-tostudy-removal-of-large-space-debris.html 

  20. Private Communication, KARI-AirbusDS Meeting at Daejeon, Feb. 2015. 

  21. J. Starke and et al., "ROGER:A Potential orbital space debris removal system", EADA Astrium, Int'l Conf. on space debris. 2009. 

  22. K. Nock and et al., "Gossamer Orbit Lowering Device(GOLD) for Safe and Efficient Orbital Debris Removal", Int'l Conf. on Orbital Debris Removal, 2009. 

  23. R. Hoyt, "RUSTLER:Architecture and Tech. for Low-cos remediaion of the Earth Large Debris Population", Int'l Conf. on Orbital Debris Removal, 2009. 

  24. K. Harris and et al., "Application for RSO Automated Proximity Analysis and IMAging(ARAPAIMA)", Paper No SSC13-WK-6, 27th Annual AIAA/USU Conference on Small Satellites, 2013. 

  25. Patent No. US8800933B2 

  26. Patent No. US8657235B2 

  27. Patent No. US20130001365A1 

  28. Patent No. US8579235B 

  29. Patent No. US20120068018A1 

  30. Patent No. US8579235B2 

  31. Patent No. US20120085869A1 

  32. Patent No. US6655637B1 

  33. Patent No. US6830222B1 

  34. Patent No. US8851427B2 

  35. Patent No. WO2013065795A1 

  36. Patent No. US8403269B2 

  37. J.C. Liou, "Active Debris Removal: Grand Engineering Challeng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AS 11-254, 2011. 

  38. C. Bombardelli, E. Ahedo, M. Merino, et al., "Space debris removal with an ion beam shepherd satellite: Dynamics and control", 62nd IAC, Cape Town, South Africa, 2011. 

  39. C. Bombardelli, and J. Pelaez, "Ion Beam shepherd for contractless space debris removal", Journal of Guidance, Control, and Dynamics, 34(3), pp.916-920, May, 2011. 

  40. M. Andrenucci, P. Pergola, A. Ruggiero, "Active Removal of Space Debris: Expanding foam application for active debris removal", Final Report, ESA, Contract No. 4000101449/10/NL/CBi, 2011. 

  41. M. Valdatta and et al., "Active Debris Removal Mission with Small Satellite", 4th Nano-satellite Symposium, 2012. 

  42. S.M.Lim, H.D.Kim, and J.D.Sung, "Comparison of Vision Tracking Techniques for Active Debris Removals", KSAS 2013 Fall Conference, pp.632-635, 2013. 

  43.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n Korea, "Master Plan against Space Risk" ('14-'23)", 2013. 

  44. K. Maney, "Space, the Final Startup", Newsweek, Feburary, 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