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세균병 방제에 사용되는 3종의 동 살균제, 3종의 항생물질계 살균제, 그리고 1종의 quinolone계 살균제를 선발하여 풋마름병균인 Ralstonia solanacearum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와 고추 유묘에서의 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NA배지 상에서 실시한 생장 억제 실험에서 oxytetracycline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였는데, $1000{\mu}g\;mL^{-1}$ 처리에서 저지원의 크기가 14.95 mm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8.0{\mu}g\;mL^{-1}$ 처리구에서도 0.91 mm 크기의 저지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 Validamycin은 병원균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가 전혀 없었다. 동 살균제들은 copper hydroxide, copper oxychloride+dithianone, copper sulfate의 $1000{\mu}g\;mL^{-1}$ 처리구에서 각각 2.19, 1.30, 1.48 mm의 저지원이 나타났을 뿐 큰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유묘 검정을 위해서 토양에 살균제를 관주처리하였을 때, 실내 검정에서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던 oxytetracycline이 병원균을 접종하고 7일 후까지 모든 처리 농도에서 시들음 증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아 100%의 아주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14일 후에는 $5000{\mu}g\;mL^{-1}$의 처리구에서부터 효과가 감소하였다. 3 종의 동 살균제는 7일 후에 $2000{\mu}g\;mL^{-1}$에서 90%의 효과를 보여 다른 살균제보다 낮은 효과를 보였으며, 14일후에는 copper sulfate를 제외한 2종의 살균제에서는 $500{\mu}g\;mL^{-1}$ 처리구에서 효과가 40% 이하로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R. solanacearum에 의한 풋마름병의 방제를 위해서는 동 살균제보다는 항생물질계 살균제 또는 quinolone계 살균제 중에서 선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rol efficacy was investigated with fungicides as 3 copper compound, 3 antibiotic fungicides and one fungicide containing to quinolone against the growth of Ralstonia solanacearum on NA medium and the disease occurrence on pepper seedlings. Among 7 fungicides, oxytetracycline was shown the high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농가 현장에서 사용할 살균제가 토양소독제 외에는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풋마름병이 발생하였을때 시급히 사용할 살균제를 찾고자 하여도 선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풋마르병균이 세균임을 감안하여 이미 세균점무늬병의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 중에서 동제를 비롯하여 항생물질 계통의 살균제와 기타 다른 세균병 방제용으로 등록되어 있는 살균제 등을 선발하여 배지 상에서 병원균에 대한 생장 억제 실험과 고추 유묘를 이용한 온실 실험을 통하여 방제효과가 있는 살균제를 선발하여 포장에서 사용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풋마름병 방제 살균제로 등록된 제제는? 또한 풋마름병이 토양병이기 때문에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 풋마름병 방제 살균제로등록되어 있는 것은 토양소독제로 사용되어 있는 dazomat한 종류밖에 없다.
Oxolinic acid가 고추 풋마름병 방제효과에 있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 2000). 본 실험에서도 병원균 생육 억제 검정과 온실에서 실시한 유묘 검정에서도 방제효과를 보였으나, 그 효과가 살균제 농도가 감소하거나 처리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빠르게 감소하는 단점이 있기는 하나, 포장 검정을 통해서 병 방제효과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대부분의 살균제들은 처리하고 14일 후에는 효과가 빠르게 감소하였다.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은 무엇인가? 따라서 포장에서 고추와 토마토 풋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경종적 또는 생물적, 화학적 방법등이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풋마름병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지리, 기후, 병원균, 토양 상태 등에 따라서 영향을받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에서 선발한 말레이지아 계통인 LS2341은 풋마름병에 대해서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품종 육종의 좋은 재료가 될 수 있으나, 아직까지 포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품종으로 개발되지는 않았다(Mimura와Yoshikawa, 2009). 토마토 풋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한 경종적 방제 방법으로 비기주식물인 cowpea를 토마토와 혼작할경우 cowpea의 뿌리가 토양 중에서 병원균의 전파를 방지하여 병을 방지할 수 있었다(Mich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skaveg, J. E., H. Horster and M. L. Wade (2011) Effectiveness of kasugamycin against Erwinia amylovora and its potential use for managing fire blight of pear. Plant Dis. 95:448-454. 

  2. Akinbowale, O. L., H. Peng and M. D. Barton (2007) Diversity of tetracycline resistance genes in bacteria from aquaculture sources in Australia. J. Appl. Microbiol. 103:2016-2025. 

  3. Ball, P. R., S. W. Shales and I. Chopra (1980) Plasmid-mediated tetracycline resistance in Escherichia coli involves increased efflux of the antibiotic. Biochem. Biophys. Res. Commun. 93:74-81. 

  4. Boukaew, S., S. Chuenchit and V. Petcharat (2011) Evaluation of Streptomyces spp. for biological control of Sclerotium root and stem rot and Ralstonia wilt of chili pepper. BioControl 56:365-374. 

  5. Burdett, V. (199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et(M), a protein that renders ribosomes resistant to tetracycline. J. Biol. Chem. 266:2872-2877. 

  6. Chopra, I. and M. Roberts (2001) Tetracycline antibiotics: mode of action, applications, molecular biology and epidemiology of bacterial resistance. Microbial. Mol. Biol. Rev. 65:232-260. 

  7. Hayward, A. C. (1991) Biology and epidemiology of bacterial wilt caused by Pseudomonas solanacearum. Annu. Rev. Phytopathol. 29:65-87. 

  8. Ishikawa, R., K. Shirouzu, H. Nakashita, H.-Y. Lee, T. Motoyama, I. Yamaguchi, T. Teraoka and T. Arie (2005) Foliar spray of validamycin A or validoxylamine A controls tomato Fusarium wilt. Phytopathology 95:1209-1216. 

  9. Jeong, Y., J. Kim, Y. Kang, S. Lee and I. Hwang (2007) Genetic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Korean Isolates of Ralstonia solanacearum. Plant Dis. 91:1277-1287. 

  10. Ji, P., M. T. Momol, S. M. Olson, P. M. Pradhanang, and J. B. Jones (2005) Evaluation of Thymol as Biofumigant for Control of Bacterial Wilt of Tomato Under Field Conditions. Plant Dis. 89:497-500. 

  11. King, D. E., R. Malone and S. H. Lilley (2000) New classification and update on the quinolone antibiotics. Am. Fam. Physician 61:2741-2748. 

  12. Lee, Y. H., C. W. Choi, S. H. Kim, J. G. Yun, S. W. Chang, Y. S. Kim and J. K. Hong (2012) Chemical pesticides and plant essential oils for disease control of tomato bacterial wilt. Plant Pathol. J. 28:32-39. 

  13. Lemessa, F. and W. Zeller (2007) Pathogenic characterization of strains of Ralstonia solanacearum from Ethiopia and influence of plant age on susceptibility of hosts against R. solanacearum. J. Plant Dis. Protect. 114:241-249. 

  14. Michel, V. V., J.-F. Wang, D. J. Midmore and G. L. Hartman (1997) Effect of intercropping and soil amendment with urea and calcium oxide on the incidence of bacterial wilt of tomato and survival of soil-borne Pseudomonas solanacearum in Taiwan. Palnt Pathol. 46:600-610. 

  15. Mimura, Y., T. Kageyama, Y. Minamiyama and M. Hirai (2009) QTL analysis for resistance to Ralstonia solanacearum in Capsicum accession ''LS2341''. J. Japan. Soc. Hort. Sci. 78:307-313. 

  16. Mimura, Y. and M. Yoshikawa (2009) Pepper accession LS2341 is highly resistant to Ralstonia solanacearum strains from Japan. Hortscience 44:2038-2040. 

  17. Montag, J., L. Schireiber and J. Schonherr (2006) An in vitro study on the postinfection activities of copper hydroxide and copper sulfate against conidia of Venturia inaequalis. J. Agric. Food Chem. 54:893-899. 

  18. Psallidas, P. G. and J. Tsiantos (2000) Chemical control of fire blight. Pages 199-234 in: Fire blight. The disease and its causative agent, Erwinia amylovora. J. L. Vanneste, ed. CABI publishing, New York. 

  19. Roberts, M. C. (2003) Tetracycline therapy: update. Clin. Infest. Dis. 36:462-467. 

  20. Ross, J. I., E. A. Eady, J. H. Cove and W. J. Cunliffe (1998) 16S rRNA mutation associated with tetracycline resistance in a gram-positive bacteriu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2:1702-1705. 

  21. Tanaka, N., H. Yamaguchi and H. Umezawa (1966) Mechanism of kasugamycin action on polypeptide synthesis. J. Biochem. 60:429-434. 

  22. Umezawa, H., Y. Okami, T. Hashimoto, Y. Suhara, M. Hamada and T. Takeuchi (1965) A new antibiotic, kasugamycin. J. Antibiot. 18:101-103. 

  23. Wain, R. L. and E. H. Wilkinson (1943) Studies upon the copper fungicides. Ann. Appl. Biol. 30:379-391. 

  24. Wenneker, M., M. Verdel, R. Groeneveld, C. Kempenaar, A. van Beuningen and J. Janse (1999) Ralstonia (Pseudomonas) solanacearum race3 (biovar2) in surface water and natural weed hosts: first report on stinging nettle (Urtica dioica). Eur. J. Plant pathol. 105:307-315. 

  25. Yamaguchi, I. (1998) Natural product-derived fungicides as examplified by the antibiotics. Pages 57-85 in: Fungicidal activity. Chemical and biological approaches to plant protection. D. Huston and J. Miyamoto, eds. John Wiley & Sons, Chichester, UK. 

  26. Yang, W., I. F. Moore, K. P. Koteva, D. C. Bareich, D. W. Hughes and G. D. Wright (2004) TetX is a flavin-dependent monooxygenase conferring resistance to tetracycline antibiotics. J. Biol. Chem. 279:52346-52352. 

  27. Yun, G. S., S. Y. Park, H. J. Kang, K. Y. Lee and J. S. Cha (2004) Contamination level of Ralstonia solanacearum in soil of greenhouses cultivating tomato plants in Chungbuk provi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Res. Plant Dis. 10:58-62 (in Korean). 

  28. Zakeri, B. and G. D. Wright (2008) Chemical biology of tetracycline antibiotics. Biochem. Cell Biol. 86:124-1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