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 납 오염에 대한 가로수 식물종의 생리생태적 반응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Roadside Tree Species to Contamination of Soil with Lead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2 no.3, 2015년, pp.237 - 246  

김한얼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  송우람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한민국은 도시화 과정과 인접 국가에서부터 대기를 통한 유입 등으로 납과 같은 중금속의 토양 오염 문제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가로수 수종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자생종 4종을 대상으로 토양 내 납 오염에 대한 엽록소 함량, 항산화 효소, 광합성량, 생물량과 같은 생리-생태적인 반응과 흡수능력을 연구하여 납 오염에 대응하는 가로수로 적합한 수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종인 은행나무, 왕벚나무, 느티나무, 이팝나무는 200 mg Pb/kg 이상의 처리구에서 엽록소 함량, 항산화 효소에서 납 독성에 대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생물량이나 광합성량의 경우 고농도 (5,000 mg/kg)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은행나무는 항산화 효소, 광합성 및 생물량에서 고농도에서도 납의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내지 않았다. 실제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저농도 처리구에서 은행나무와 벚나무의 경우 연구 대상종 중 높은 납 흡수율을 보였다. 이처럼 은행나무와 같이 납에 대한 저항력과 흡수능력을 가진 수종을 선발하여 가로수로 식재하여 도로 주변 납 오염에 대응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metal pollution in soil, such as lead contamination, has become an area of interest in Korea because of urbanization and atmospheric deposition from neighboring countri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eco-physiological responses such as chlorophyll contents, antioxidant enzyme activity, phot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토양에 축적되는 납의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잎에 축적되는 양도 높아서 토양의 납을 어느 정도 흡수-제거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고려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로수 수종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자생종 수목 4종을 대상으로 토양내 납 농도에 대한 반응과 흡수능력을 연구하여 납오염에 대응하는 가로수로 적합한 수종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15로 고농도로 갈수록 흡수율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존 연구를 보면 납의 경우 무거운 원소기 때문에 뿌리에 더 축적되거나 (KFS 2002) 뿌리세포의 변형이 세포 내외로의 납 이동의 (apoplastic and symplastic Pb transport) 장벽으로 작용하여 뿌리에 더 높은 농도가 나온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Verma and Dubey 2003) 본 연구에서는 잎의 축적량과 (Table 4) 뿌리의 축적량이 (Table 3) 위 연구들에 비해서 큰 차이가 없었다. 잎의 흡수량을 뿌리의 흡수량으로 나누어보면 (translocation factor) 대부분 0.
  • 토양환경보전법상 토양 내 납의 우려 기준은 1지역 (전, 갑, 과수, 목장용지, 주거용지, 학교용지 등등)의 경우 200 mg/kg, 3지역의 (공장, 주유소, 주차장등) 경우 700 mg/kg 임을 감안하여 (KSEC 2009) 100, 200, 500 mg/kg 처리구를 이용하였고 이 농도는 실제 환경에서 출현 가능한 농도로 (environmental realistic level) 가정하였다. 고농도 처리구의 경우 미국환경보호청의 납에 대한 Eco-SSL (Ecological Soil Screening Level)의 납에 대한 screening level 중 가장 높은 값이 1,700임을 (USEPA 2005) 감안하여 1,000과 5,000 mg/kg 수준을 고농도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한민국의 경우 과거에 어디에 포함된 납이 대기와 토양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켰는가? 특히 도심지 에서 발생하는 가스형, 분진형 유해물질 중에 납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도심지나 도로변 토양에서는 납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Yoo and Son 2003). 대한민국의 경우 과거에는 자동차 연료에 포함된 납이 대기와 토양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켰고 (Park 1992),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무연휘발유 사용이 법제화 되었지만 이후 중국 등 주변 국가들의 오염된 가스 및 분진이 대기를 통해 확산 및 이동하면서 대기오염물질이 대한민국으로 유입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Park et al. 2010).
납이 환경에 유입되면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가? 2010). 납의 경우 생태계에서 생물들의 생장 저해나 세포분열의 교란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Ali et al. 2003) 식물 에서 발아저해 생장 불량 및 생리적인 문제를 일으키는 중금속으로 (Verma and Dubey 2003)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납의 경우 식물농축도가 높아 세포질 단백질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광합성까지 저해하여서 식물의 생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Pourrut et al. 2011).
납은 도심지에서 무슨형으로 존재하는가? 여러 중금속 중 납의 경우 채광, 금속가공, 살충제와 석유, 석탄의 연소는 물론이고 비료산업에서도 발생을 하여 대기 및 토양 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Verma and Dubey 2003). 특히 도심지 에서 발생하는 가스형, 분진형 유해물질 중에 납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도심지나 도로변 토양에서는 납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Yoo and Son 2003). 대한민국의 경우 과거에는 자동차 연료에 포함된 납이 대기와 토양에 심각한 오염을 일으켰고 (Park 1992),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무연휘발유 사용이 법제화 되었지만 이후 중국 등 주변 국가들의 오염된 가스 및 분진이 대기를 통해 확산 및 이동하면서 대기오염물질이 대한민국으로 유입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i, M.B., Vajpayee, P., Tripathi, R.D., Rai, U.N., Singh, S.N. and Singh, S.P. 2003. Phytoremediation of lead, nickel, and copper by Salix acmophylla Boiss.: Role of antioxidant enzymes and antioxidant substances.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70: 0462-0469. 

  2. Choi, Y.R. 2015. Government monitors Pb, Cd level in fine dust. http://www.onkweather.com/bbs/board.php?bo_tableeco1&wr_id2865. Accessed 15 June 2015. (In Korean) 

  3. Deng, H., Ye, Z.H. and Wong, M.H. 2006. Lead and zinc accumulation and tolerance in populations of six wetland plants. Environmental Pollution 141: 69-80. 

  4. Duan, J. and Tan, J. 2013. Atmospheric heavy metals and arsenic in China: Situation, sources and control policies. Atmospheric Environment 74: 93-101. 

  5. Ewais, E.A. 1997. Effects of cadmium, nickel and lead on growth, chlorophyll content and proteins of weeds. Biologia Plantarum 39: 403-410. 

  6. Hall, J.L. 2002. Cellular mechanisms for heavy metal detoxification and tolerance.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3: 1-11. 

  7. Han, Y.-J., Holsen, T.M., Hopke, P.K., Cheong, J.-P., Kim, H. and Yi, S.-M. 2004. Identification of source locations for atmospheric dry deposition of heavy metals during yellow-sand events in Seoul, Korea in 1998 using hybrid receptor models. Atmospheric Environment 38: 5353-5361. 

  8. KFS. 2002. Heavy metal remediation using woody plants. Korea Forest Service. http://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1036&mnKFS_03_02&nttId2777278. Accessed 12 June 2010. (In Korean) 

  9. KOSIS. 2011.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soil.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6&tblIdDT_106N_20_0100004&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Accessed 10 June 2015. (In Korean) 

  10. KSEC. 2009. Soil screening level for lead. Korean Soil Environmental Center. http://www.sec.re.kr/pollutants.do?methodarsenic_05. Accessed 11 August 2009. (In Korean) 

  11. Lee, Y.G. 2014. Lead and benzene pollution in Gyunggi province.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121009431245027. Accessed 10 May 2015. (In Korean) 

  12. Ma, H.-C., Fung, L., Wang, S.-S., Altman, A. and Huttermann, A. 1997. Photosynthetic response of Populus euphratica to salt stres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93: 55-61. 

  13. Ouellet, M. and Jones, H.G. 1983. Historical changes in acid precipitation and heavy metals deposition originating from fossil fuel combustion in eastern North America as revealed by lake sediment geochemistry. Water Science & Technology 15: 115-130. 

  14. Park, G.H. 1992. Pb, Cu, Zn contaminants and their correlation of soil, leave and bark of Ginkgo.B and ambient air adjacent to a heavy traffic road sid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18: 19-25. (In Korean) 

  15. Park, J.Y., Joo, J.H. and Yun, Y.H. 2010. Mitigation of carbon dioxide and heavy metals by urban greenspace.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9: 137-154. (In Korean) 

  16.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and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 60-65. (In Korean) 

  17. Pourrut, B., Shahid, M., Dumat, C., Winterton, P. and Pinelli, E. 2011. Lead uptake, toxicity, and detoxification in plants. Reviews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213: 113-136. 

  18. Prasad, D.D.K. and Prasad, A.R.K. 1987. Effect of lead and mercury on chlorophyll synthesis in mung bean seedlings. Phytochemistry 26: 881-883. 

  19. Seoul City. 2009. Management and planting plansof Seoul city roadside trees. http://env.seoul.go.kr/files/2011/04/4f5d45b4b181f5.82922083.pdf. Accessed 10 December 2009. (In Korean) 

  20. Sharma, P. and Dubey, R.S. 2005. Lead toxicity in plants. Brazilian Journal of Plant Physiology 17: 35-52. 

  21. Song, U. and Lee, E. 2010a.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plants after sewage sludge compost applications. Journal of Plant Biology 53: 259-267. 

  22. Song, U. and Lee, E.J. 2010b.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sessment of sewage sludge compost application on soil and plants in a landfill.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4: 1109-1116. 

  23. USEPA. 2005. Ecological soil screening level for lead.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http://www.epa.gov/ecotox/ecossl/pdf/ecossl_lead.pdf. Accessed 11 August 2009. 

  24. Verma, S. and Dubey, R.S. 2003. Lead toxicity induces lipid peroxidation and alters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growing rice plants. Plant Science 164: 645-655. 

  25. Yoo, J.Y. and Son, Y.W. 2003.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tree ring layer and soil and tree ring growth of roadside trees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 118-123. (In Korean) 

  26. Yoon, J., Cao, X., Zhou, Q. and Ma, L.Q. 2006. Accumulation of Pb, Cu, and Zn in native plants growing on a contaminated Florida sit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8: 456-46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