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레몬 잎 메탄올 추출물(MLL)의 인간 유방암 줄기 세포인 MCF-7-SC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MLL이 MCF-7-SC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였으며, 이를 apoptotic body의 형성, sub-G1 phase 및 annexin V-positive 세포와 Bax/Bcl-2 ratio의 증가, caspase-9과 caspase-3의 활성화 및 PARP의 절 단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동시에 MCF-7-SC에서 MLL은 acidic vesicular organelles의 형성, LC3-II의 축적 증가, Akt/mTOR/p70S6K의 활성 억제 등을 통하여 autophagy를 유도하였다.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는 세포가 전이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며, 이 기작은 암세포가 전이되는 것을 억제함에 있어서 중요한 표적이 된다. 낮은 농도에서의 MLL은 epithelial 마커 단백질인 E-cadherin이 증가와 mesenchymal 마커 단백질인 Snail과 Slug의 발현 감소를 통해 EMT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MCF-7-SC에서 항전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 잎 메탄올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방암 줄기세포에 대해 세포 독성과 항전이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레몬잎은 항암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a methanolic extract from lemon leaves (MLL) was assessed in MCF-7-SC human breast cancer stem cells. MLL induced apoptosis in MCF-7-SC, as evidenced by increased apoptotic body formation, sub-G1 cell population, annexin V-positive cells, Bax/Bcl-2 ratio, as well as prot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레몬 주스에 대한 항암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은 이미 알려져 있으나, 레몬 잎에 대한 유효 성분 및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몬 잎 메탄올 추출물(methanolic extract from lemon leaves, MLL)을 이용하여 유방암 줄기 세포인 MCF-7-SC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utophagy란? 세포가 지닌 죽음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와 미토콘드리아 매개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가 있으며, 이러한 경로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caspase들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Autophagy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기작 중의 하나이며, 리소좀(lysosome)을 통하여 세포 내에서 불필요한 구성물질이나 손상된 세포 소기관들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 한다. Autophagy는 autophagosome으로 알려진 이중막 소포체를 형성하고, 성숙되면 lysosome과 융합하여 autophagolysosome 을 형성한다.
EMT는 특히 어디에서 많이 발생되는가? EMT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는 정상적 배아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나의 현상이지만, 암세포에서는 세포의 침윤과 이동에 주요한 과정이며, 전이성 암세포에서 특히 많이 발생된다(Lamouille 등, 2014). 암세포가 EMT 과정을 거치게 되면 섬유모세포와 같은 표현형을 지니게 되며 원래의 epithelial 성질을 잃으면서 세포의 이동이 쉬운 형태로 변하게 된다.
두 종류의 apoptosis 경로를 구성하는 것은? 세포예정사(programed cell death)라고도 불리는 apoptosis는 노화, 항상성 유지, 발달과정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며 세포 내에서 두 종류의 apoptosis 경로가 존재한다. 세포가 지닌 죽음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와 미토콘드리아 매개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가 있으며, 이러한 경로들을 통해 궁극적으로 caspase들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다. Autophagy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기작 중의 하나이며, 리소좀(lysosome)을 통하여 세포 내에서 불필요한 구성물질이나 손상된 세포 소기관들을 분해하는 과정을 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l-Hajj M, Wicha MS, Benito-Hernandez A, Morrison SJ, and Clarke MF (2003) Prospective identification of tumorigenic breast cancer cells. Proc Natl Acad Sci USA 100, 3983-8. 

  2. Ali HR, Dawson SJ, Blows FM, Provenzano E, Pharoah PD, and Caldas C (2011) Cancer stem cell markers in breast cancer: pathological, clinical and prognostic significance. Breast Cancer Res 13, R118. 

  3. Bolos V, Peinado H, Perez-Moreno MA, Fraga MF, Esteller M, and Cano A (2003) The transcription factor Slug represses E-cadherin expression and induces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s: a comparison with Snail and E47 repressors. J Cell Sci 116, 499-511. 

  4. Brunet A, Datta SR, and Greenberg ME (2001) Transcription-dependent and - independent control of neuronal survival by the PI3K-Akt signaling pathway. Curr Opin Neurobiol 11, 297-305. 

  5. Charafe-Jauffret E, Ginestier C, and Birnbaum D (2009) Breast cancer stem cells: tools and models to rely on. BCM Cancer 9, 1449-53. 

  6. Cuyas E, Corominas-Faja B, Joven J, and Menendez JA (2014) Cell cycle regulation by the nutrient-sensing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pathway. Methods Mol Biol 1170, 113-44. 

  7. El-Demerdash E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effects of methyl palmitate. Toxicol Appl Pharmacol 254, 238-44. 

  8. Endo H, Nito C, Kamada H, Nishi T, and Chan PH (2006) Akt/GSK3beta survival signaling is involved in acute brain injury after subarachnoid hemorrhage in rats. J Cereb Blood Flow Metab 26, 1479-89. 

  9. Gali K, Ramakrishnan G, Kothai R, and Jaykar B (2011) in-vitro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leaves of Argemone mexicana Linn. Int J Pharm Tech Res 3, 1329-33. 

  10. Hanada M, Feng J, and Hemmings BA (2004) Structure, regulation and function of PKB/AKT: A major therapeutic target. Biochim Biophys Acta 1697, 3-16. 

  11. Han JS and Crowe DL (2009) Tumor initiating cancer stem cells from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Int J Oncol 34, 1449-53. 

  12. Harada H, Yamashita U, Kurihara H, Fukushi E, Kawabata J, and Kamei Y (2002) Antitumor activity of palmitic acid found as a selective cytotoxic substance in a marine red alga. Anticancer Res 22, 2587-90. 

  13. Herreros-Villanueva M, Zhang JS, Koenig A, Abel EV, Smyrk TC, Bamlet WR et al. (2013) SOX2 promotes dedifferentiation and imparts stem cell-like features to pancreatic cancer cells. Oncogenesis 2, e61. 

  14. Kotiyal S and Bhattacharya S (2014) Breast cancer stem cells, EMT and therapeutic targe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453, 112-6. 

  15. Kuma A, Hatano M, Matsui M, Yamamoto A, Nakaya H, Yoshimori T et al. (2004) The role of autophagy during the early neonatal starvation period. Nature 432, 1032-6. 

  16. Lamouille S, Xu J, and Derynck R (2014) Molecular mechanisms of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Nat Rev Mol Cell Biol 15, 178-96. 

  17. transition through beta-catenin-T-cell factor-4-dependent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3. Mol Biol Cell 19, 4875-87. 

  18. Mizushima N and Komatsu M (2011) Autophagy: renovation of cells and tissues. Cell 147, 728-41. 

  19. Moon JY, Kim H, Cho M, Chang WY, Kim CT, and Cho SK (2009) Induction of apoptosis in SNU-16 human gastric cancer cells by the chloroform fraction of an extra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168-75. 

  20. Nguyen LTT, Song YW, Tran TA, Kim KS, and Cho SK (2014) Induction of apoptosis in anoikis-resistant breast cancer stem cells by supercritical $CO_2$ extracts from Citrus hassaku Hort ex Tanak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7, 469?72. 

  21. Park SH1, Cheung LW, Wong AS, and Leung PC (2008) Estrogen regulates Snail and Slug in the down-regulation of E-cadherin and induces metastatic potential of ovarian cancer cells through estrogen receptor alpha. Mol Endocrinol 22, 2085-98. 

  22. Phuc PV, Khuong TTT, Dong LV, Kiet TD, Giang TT, and Ngoc PK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reast cancer stem cells from malignant tumours in Vietnamese women. Journal of Cell and Animal Biology 4, 163-9. 

  23. Ponti D, Costa A, Zaffaroni N, Pratesi G, Petrangolini G, Coradini D et al. (2005) Isolation and in vitro propagation of tumorigenic breast cancer cells with stem/progenitor cell properties. Cancer Res 65, 5506-11. 

  24. Ravikumar VR, Gopal V, and Sudha T (2012) Analysis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stem bark extracts of zanthoxylum tetraspermum wight & arn. Res J Pharm Biol Chem Sci 3, 391-402. 

  25. Reya T, Morrison SJ, Clarke MF, and Weissman IL (2001) Stem cells, cancer, and cancer stem cells. Nature 414, 105-11. 

  26. Siegel R, Naishadham D, and Jemal A (2013) Cancer statistics. CA Cancer J Clin 63, 11-30. 

  27. Song YW, Shrestha S, Gyawali R, Lee DS, and Cho SK (2015) Citrus unshiu leaf extract containing phytol as a major compound induces autophagic cell death in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8, 257-65. 

  28. Tewtrakul S, Yuenyongsawad S, Kummes S, and Atsawajaruwan L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volatile oil of Kaempferia galangal L. Songklanakarin J Sci Techol 27, 503-7. 

  29. Thiery JP, Acloque H, Huang RY, and Nieto MA (2009)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s in development and disease Cell 139, 871-90. 

  30. Tran TA, Ahn KS, Song YW, Moon JY, Cho M, Lim Y et al. (2014) Mechanism of 2',3'-dimethoxyflavanone-induced apoptosis in breast cancer stem cells: roles of ubiquitination of caspase-8 and LC3. Arch Biochem Biophys 562, 92-102. 

  31. Wright MH, Calcagno AM, Salcido CD, Carlson MD, Ambudkar SV, and Varticovski L (2008) Brca1 breast tumors contain distinct $CD^{44+}/CD^{24}$ and $CD^{133+}$ cells with cancer stem cell characteristics. Breast Cancer Res 10, R10. 

  32. Yuenyongsawad S and Tewtrakul S (2005) Essential oi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leus parvifolius leaves. Songklanakarin J Sci Technol 27, 497-5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