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강행위가 지역간 표준화사망률 변이에 미치는 영향
Health behavior affecting on the regional variation of standardized mortality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2 no.3, 2015년, pp.23 - 31  

한진아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수정 (동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김세롬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전기홍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윤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 is high in the mortality variation. Mortality variation can be decreased through the policies and programs for improving health behavior. We investigated that health behaviors effected with standardized mortality in community. Methods: We examin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표준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보정한 후 건강행위 요인이 표준화 사망률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253개 지역 간 표준화 사망률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결정요인의 분포 및 표준화 사망률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표준화 사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보정한 후 건강행위 요인이 표준화 사망률에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 간 표준화 사망률에 변이가 존재하며, 건강결정요인의 차이와 더불어 건강행위의 불균형이 있음을 밝히고, 지역 간 표준화 사망률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표준화 사망률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의 재정자주도가 높을수록, 양호한 건강행위를 실천할수록 낮아졌다.
  • 본 연구는 지역 간 표준화 사망률에 변이가 존재하며, 사회경제적 요인, 보건의료 요인, 환경적 요인의 차이와 더불어 건강행위의 불균형이 있음을 밝히고, 지역 간 표준화 사망률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특히, 지역간 표준화사망률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지역주민 스스로 개선이 가능한 요인인 ‘현재흡연율’, ‘걷기운동실천율’, ‘만성질환의사진단 경험률’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지역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사망수준에 관한 지표, 질병이환 수준에 관한 지표, 인구재생산 수준에 관한 지표, 시설 활용수준에 관한 지표 등이 있다(Jo, 2006). 이들 중 사망이라는 현상은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전반에 걸친 삶에 대한 총체적인 지표로 인구집단의 사망률은 개인의 특성을 보정한 후 집단이 처한 환경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어 사망은 지역의 건강수준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Park, 2003; Kim & Kim, 2007).
사망이 지역의 건강수준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의 건강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는 사망수준에 관한 지표, 질병이환 수준에 관한 지표, 인구재생산 수준에 관한 지표, 시설 활용수준에 관한 지표 등이 있다(Jo, 2006). 이들 중 사망이라는 현상은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전반에 걸친 삶에 대한 총체적인 지표로 인구집단의 사망률은 개인의 특성을 보정한 후 집단이 처한 환경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어 사망은 지역의 건강수준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Park, 2003; Kim & Kim, 2007).
건강에 대한 결정요인에 대해 Lalonde는 어떻게 말하였는가? 건강에 대한 결정요인은 단순하지 않고 다양한 요인이 있다. 건강결정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는데 Lalonde(1981)에 의하면 생물학적요인, 환경적요인, 생활양식, 보건의료체계 등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Lalonde, 1981). 또한 Dahlgren & Margaret(2007)은 건강결정요인을 생물학적요인, 생활양식, 사회적 네트워크, 가정과 직장의 환경, 사회경제적요인 및 문화요인으로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anada health. (2008). Report on the state of public health in Canada, 2008. Population and public health branch.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89). Reduc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smoking: 25 Years of progress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3. Choi, R., & Moon, H. J. (2011). A study on influential determinants of health in adults of Korea using Lalonde health field mod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2), 77-89. 

  4. Dahlgren, G., & Margaret W. (2007).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social equity in health. Arbetsrapport: Institute for futures studies. 

  5. Gregg, E. W., Gerzoff, R. B., Caspersen, C. J., Williamson, D. F., & Narayan, K. M. (2003). Relationship of walking to mortality among US adults with diabete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12), 1440-1447. 

  6. Hardy, S. E., Kang, Y., Studenski, S. A., & Degenholtz, H. B. (2011). Ability to walk 1/4 mile predicts subsequent disability, mortality, and health care cost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6(2), 130-135. 

  7. Jee, S. H., Yun, J. E., Park, J. Y., Sull, J. W., & Kim, I. S. (2005). Smoking and cause of death in Korea: 11 years follow-up prospective study. Epidemiology and Health, 27(1), 182-190. 

  8. Jo, B. M. (2006). Preventive Medicine. Seoul: GyeChukMunHwa Co. 

  9. Kim, D. S., & Lee, S. S. (2004). Ecological Environment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cause of death.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8(4), 133-158. 

  10. Kim, Y. M., & Kim, M. H. (2007).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Current condition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0(6), 431-438. 

  11. Kim, Y. T., Choi, B. Y., Lee, K. O., Kim, H., Chun, J. H., Kim, S. Y., et al. (2012). Overview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 74-83. 

  12. Ko, S. J.(2010). Factors of health inequalities by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Journal of National Association Korean Local Government Studies, 11, 169-195. 

  13. Kwon, G. Y., Lim, D. S., Park, E. J., Jung, J. S., Kang, K. W., Kim, Y. A., et al. (2010). Assessment of applicability of standardized rates for health state comparison among areas: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2), 174-184. 

  14. Lalonde, M. (1981). A New perspective on the health of Canadians a working document. Government of Canada. 

  15. Lee, E. W. (2015). A Study on inter-regional differences of self-rated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Economics, 30, 33-53. 

  16. Lee, K. S. (1997). Health promotion strategies under regional health planning.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7(1), 1-31. 

  17. Lee, M. S. (2005). Health Inequalities Among Korean Adults - Socioeconomic Status and Residential Area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9(6), 183-209. 

  18. Lee, S. Y., & Kim, S. W. (1997) Health behavior pattern of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0(1), 181-193. 

  19. Park, E. O. (2008). Analysis of community health status and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and social indicato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19(1), 13-26. 

  20. Park, K. A. (2003). Cause-specific mortality at the provincial level.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6(2), 1-32. 

  21. Peppard, P. E., Kindig D., Jovaag A, Dranger E., & Remington P. L. (2004). An initial attempt at ranking population health outcomes and determinants. Wisconsin Medical Journal, 103(3), 52-56. 

  22. Schroeder, S. A. (2007). We can do better-improving the health of the American peopl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57(12), 1221-1228. 

  23. Stringhini, S., Dugravot A., Shipley M., Goldberg M., Zins M., Kivimaki M., Marmot M., Sabia S., Singh-Manoux A. (2011). Health Behaviours, Socioeconomic Status, and Mortality: Further Analyses of the British Whitehall II and the French GAZEL Prospective Cohorts. PLoS Medicine, 8(2), e1000419.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6). The Ottawa charter for health promotion. WH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