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 위키피디아 페이지뷰를 통한 한중일 국가 인지도 비교
A study on the nation images of the big three exporting countries in East Asia shown in Wikipedia English-Edi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5, 2015년, pp.1071 - 1085  

이영환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전희주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송영화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우리는 인터넷 상에서 경쟁국과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국가정책 수립이나 국가정책 수행 평가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국가이미지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러 선행연구와 위키피디아에 정의된 카테고리를 참고하여 온라인 특성을 고려한 국가이미지에 대한 온톨로지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온톨로지는 국가이미지를 위한 소셜미디어를 장단점을 고려하여 선택된 영어판 위키피디아 상에서 최근 6년간 한중일 삼국의 국가이미지를 추출하는데 적용되었다. 추출된 삼국의 국가이미지의 차이를 시각화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분석 (correspondence analysis)으로 한 중 일 3국 간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인지도 간의 상대적인 관련성을 표현하고 분석하였다. 삼국의 이미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응분석을 이용한 삼국의 이미지 분석 결과 각 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합리적으로 도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거 정책의 변화와 이미지 변화를 검증한 결과 정책의 변화의 성공과 실패를 검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가정책 수립이나 수행평가 등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develop a way to extract a near real-time online nation image using social media.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bout nation images and the categories defined in Wikipedia, an ontolog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 image was constructed. Separately, data se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와 그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경쟁국과 대비한 국가이미지 구성의 강세 및 약세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한 것이다. 둘째, 소셜미디어 조사를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극복하고 많은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조사방법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이미지 연구를 하였다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중 SNS에서 국가이미지를 준실시간 (near real-time)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검토하였고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데이터 중 위키피디아 클릭뷰 데이터를 선택하였다. 위키피디아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준실시간으로 추출하고 그 변화를 모니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는 영어 위키피디아의 온톨로지에 의한 단어와 어휘 분석을 통해 한·중·일 3국의 국가 인지도 이미지를 2008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클릭한 페이지뷰를 가지고 한·중·일 3국의 단어와 어휘에서 나타나는 한·중·일 국가 간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측면에서 국가 인지도를 대응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를 “Korea”라는 브랜드로서 외국인에게 비춰지는 국가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국가이미지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 중 Anholt의 모형과 삼성경제연구소의 국가브랜드지수 모델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토대로 온라인 지표를 개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중 SNS에서 국가이미지를 준실시간 (near real-time)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검토하였고 이를 위하여 소셜미디어 데이터 중 위키피디아 클릭뷰 데이터를 선택하였다. 위키피디아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준실시간으로 추출하고 그 변화를 모니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국가 이미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중일 삼국의 국가이미지를 추출하고 비교하여 그 차이점에서 국가 이미지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위키피디아에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준실시간으로 추출하고 그 변화를 모니터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국가 이미지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중일 삼국의 국가이미지를 추출하고 비교하여 그 차이점에서 국가 이미지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하여 과거 수행된 국가정책의 효과를 조명해 봄으로써 국가정책 수행평가에 사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빅데이터에서 연상할 수 있는 개념은? 한편, 글로벌 리서치 기관 및 컨설팅그룹 등은 차세대 키워드로 ‘빅데이터’를 선정하고 그 경제적 가치에 주목하는 한편, 사회현상, 현실세계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패턴분석으로 미래를 전망하고 다수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빅데이터에서 연상할 수 있는 개념으로는, 대량의 데이터, 소셜 미디어 분석, 차세대 데이터 관리 능력, 실시간 데이터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중 어떤 것을 빅데이터의 개념으로 채택하든, 많은 주체들은 이미 대량의 정보를 새로운 방식으로 처리 분석 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탐색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최근 국가이미지를 무엇이라고 인식하는가? 이러한 국가이미지는 그동안 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원산지 효과 등의 개념으로 국가이미지가 세계 시장에서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 국가이미지는 더욱 광범위한 다차원적 관점에서 사회·정치· 문화적 관점을 포괄하여“사람들이 특정한 국가에 대하여 갖고 있는 설명적이고 추론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심상, 명성, 고정관념에 대한 신념의 총체”라고 인식되고 있다 (Lee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J. (2005). Multifaceted country image and its impact on product evaluation and brand attitude: A case for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16, 63-90. 

  2. Ahn, C. and Hwhang, S. (2012). Big data technologies and main issue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0, 10-17. 

  3. Anholt, S. (2005). Anholt nation brands index: How does the world see America?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5, 296-304. 

  4. Anderson, W. and Cunningham, W. (1972). Gauging foreign product promotion.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2, 24-34. 

  5. Assael, H. (1995).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Cincinnati. 

  6. Bradley, A., Hall, T. and Harrison, M. (2002). Selling cities: Promoting new images for meeting tourism. Cities, 19, 61-70. 

  7. Bilkey, W. and Nes, E. (1982). Country-of-origi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13, 89-100. 

  8. Cha, H., Jung, J. and Lee, Y. (2013). Korea Nation Brand Review Using Big Data Analysis, Korea Press Foundation, Seoul. 

  9. Chang, S. (2009). Brand management for the age of social media. LGERI Report, 1-19. 

  10. Chang, W. and Lew, S. (2013). The political effect of social network campaign:Tweeter big data analysis of the 19th national election.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 47, 93-112. 

  11. Cho, S., Hahn, K., Whang, M. and Lee, H. (2007). Study on functionality of nation promotion abroad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Seoul. 

  12. Council on Nation Branding, Republic of Korea (2009). Study on Nation and Industry Brand Map Construction, Study Report, Seoul. 

  13. Han, C. M. (1989). Country image : Hallo or summary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 222-229. 

  14. Kim, Y. and Cho, K. H. (2014). Big data and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431-1438. 

  15. Kotler, P. (1980).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London. 

  16. KOTRA. (2011). Study on nation brand map construction through cultural Korean wave, Study Report, Seoul. 

  17. Lee, J. R., Lee, C. S. and Yang, S. Y. (2012). An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n determinants of Korea images: With governance, firms, individual activities variables. Daehan Journal of business, 22, 1583-1601. 

  18. Lee, J., Rhee, Y., Lee, H. and Park, G. (2013).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Korean national brand : Influence of respondent nation's characteristics and self-categorization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Korean-Chinese-Japanese national brand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4, 145-174. 

  19. Lee, K., Noh, Y., Yoon, S. and Cho, Y. (2014). Structuring of unstructured big data and visual interpr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431-1438. 

  20. Li, G. and Park S.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media on country image and purchasing intention: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 119-128. 

  21. Li, Z. G., Murray, L. W. and Scott, D. (2000). Global sourcing, multiple country-of-origin facets, and consumer reac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7 121-133. 

  22. Lilleker, D. G., Pack, M. and Jackson. N. (2010). Political parties and Web 2.0: The liberal democrat perspective. Politics, 30, 105-112. 

  23. Lippman, W. (1961). Public opinion, The MacMillan Company, New York. 

  24. Nagashima, A.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S. attitude toward foreign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34, 68-74. 

  2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Engine for new value creation, new possibilties of big data and strategies in response to it. IT & Future Strategy, 18, 

  26. Nimmo, D. and R. L. Savge. (1976). Candidates and their images: Concepts, methods and findings, Goodyear Publishing Company. 

  27. Noh, K. (2013). A exploratory study on big-data based election campaign strategy model in South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 113-120. 

  28. Papadopoulos, N. G. (1993). What product and country images are and are not. In Papadopoulos, N. G. and A. H. Louis(ed.). 1993, Country-of-origin images : Impact and role in international Marketing, International Business Press, New York. 

  29. Park, J. K. (2014). A study on measures to active cultural contents service in big data 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 323-334. 

  30. Roth, M. S. and Romeo, J. B. (1992).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s: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3, 477-497. 

  31.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3). Research Report on 2012 Nation Brand Index, SERI Issue Papers. 

  32. Shin, J. (1993). Antecedents and moderators of consumer ethnocentrism, and the effect of source country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attitudes toward purchasing imported product categories, Ph. D. Thesis, University of South Carolin. 

  33. The Federation of Korea Information Industries. (2006). What is social media? Information Industrie, 242, 52-55. 

  34. The institute for Industrial policy studies. (2007). Nation and Industry Brand Value Evaluation Report. 

  35. Yoon, H.(2013). Research on the application methods of big data within the cultural industry. Global Cultural Contents, 10, 157-180. 

  36. White, P. D. and Edward, W. C. (1978). Assessing the quality of industrial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42, 80-86. 

  37. Yaprak, A. (1978). Formulating a multinational marketing strategy: A deductive, cross national consumer behavior model, Ph. D. Thesis, Georgia State University, Atlant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