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글쓰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Biological Science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9 no.1, 2015년, pp.88 - 98  

송신철 (경기신길고등학교) ,  심규철 (공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글쓰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생명과학 분야 과학영재들 16개 모둠(남자 20명, 여자 20명)에서 작성한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는 생명공학, 생명윤리, 생활과학, 건강과 질병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글의 구성이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생활과학이나 건강과 질병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글의 구성과 논리적인 글의 전개 등 상대적으로 나았으나 생명공학이나 생명윤리 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과학영재들의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생명공학 및 생명윤리 등과 같이 생명과학 이슈와 관련한 과학글쓰기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biological sciences. To do this study, we analysed their scientific writings related to biological sciences, which were written b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16 groups (20 males and 20 f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충청권 소재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심화과정(생명과학반)에 재학하고 있는 총 40명(남학생 20명, 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영재들의 생명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생명과학반 영재교육생들은 2-3인씩 자유롭게 모둠을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활발한 모둠 토론 활동을 거친 후, 생명윤리, 생활과학, 생명공학, 건강과 질병 등에 대한 생명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여 이를 조사 ·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난 글쓰기 특성을 조사 · 분석하여 과학 논리 및 논술 등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STS 관련 쟁점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 개발, 교육 자료 개발 등을 위한 과학 영재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난 글쓰기 특성을 조사 · 분석하여 과학 논리 및 논술 등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STS 관련 쟁점을 활용한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 개발, 교육 자료 개발 등을 위한 과학 영재교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글쓰기 특성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글쓰기는 무엇에 활용이 가능한가? 과학 글쓰기 활동은 과학적 의사소통 방법 중 하나로 과학 교육과 영재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강성주, 박희경, 2011; 이혜정, 심규철, 2012). 과학 글쓰기는 주로 과학적 사실이나 개념, 법칙 등에 대한 사고 과정을 글로 표현하거나 자연 현상을 기반으로 관찰된 사실이나 실험 결과, 변환된 데이터 등을 의미있는 산출물로 구성하는 과정에 주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과학 글쓰기는 자신이 표현하려고 하는 것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재구성하여 표현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남경식, 2008; 이혜정 · 심규철, 2012; Furtak & Ruiz-Primo, 2008; Prain, 2006),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적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과 과학에 대한 흥미를 지속시킬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김형자, 변정호, 권용주, 2012; 손정우, 2006; Hand et al.
논술형 과학 글쓰기의 유형적 특징은 무엇인가? 논술형 과학 글쓰기의 전체 구성은 서론부, 본론부, 결론부의 구조를 취하며, 서론부에서는 문제를 제기하고, 본론부에서는 제기된 문제에 대해 근거를 통해 논증하고, 결론부에서는 이를 간단히 요약해서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수형, 2010). 글의 유형에 있어서는 서론부에 상황이나 설명, 예시 등을 제시하여 서술하는 경우가 많다(원진숙, 1995). 또한 과학 글쓰기에 있어 문장 표현의 자연스러움과 올바른 어법 및 과학 글쓰기 적합한 단어 선택에 대한 지도는 학생들의 글쓰기 표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성영, 2001).
과학영재의 특징은?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는 생명공학, 생명윤리, 생활과학, 건강과 질병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글의 구성이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생활과학이나 건강과 질병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글의 구성과 논리적인 글의 전개 등 상대적으로 나았으나 생명공학이나 생명윤리 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성주, 박희경(2011).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09-335. 

  2.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구슬기, 박일우(2010). 초등 과학 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5. 권순희(2011). 생물교육에서의 논리 논술. 2011학년도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 학술대회자료집. 

  6. 김동렬(2010). 토론 및 글쓰기 중심의 과학 탐구학습이 고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사회적 상호 작용, 과학 글쓰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1), 111-122. 

  7. 김정현, 심규철 (2012). 고등학생의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학습요구도 조사 연구. 과학교육저널, 42(2), 144-153. 

  8. 김주연(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글쓰기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형자, 변정호, 권용주(2012). 창의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6(2), 198-215. 

  10. 김혜경(2010). 학생 포토폴리오 구성을 위한 글쓰기 지도 연구. 한국언어문학, 75, 401-425. 

  11. 김흥집, 송신철, 심규철(2011). 생물 수업에서 비평기법의 활용이 학업 성취와 수업 인식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597-607. 

  12. 남경식(2008). 과학용어로 인한 중학생의 어려움과 과학용어 활용 글쓰기를 통한 해결 방안.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은희, 홍훈기(2011). 과학영재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견해의 주장형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163-174. 

  14. 박지영, 신영준(2007). 초등학교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적 사고력을 토대로 한 과학 글쓰기유형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99-112. 

  15. 박지영, 신영준(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선호 유형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600-609. 

  16. 배희숙(2008).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울대학교 중등교육연수원(2007). 논술교육 역량강화를 위한 중등교사 연수. 서울: 가람문화사. 

  18. 손정우(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 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9. 손정우(2009). 과학 글쓰기를 통한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 연구. 과학영재교육, 1, 21-32. 

  20. 손정우(2010). 영재 선발을 위한 초인지 사고 수준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경향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0(1), 131-150. 

  21. 송신철(2013). 생명복제에 관한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1(1), 75-85. 

  22. 송신철, 김흥집, 이치하, 김정민, 심규철(2007) 고등학생들의 생물 교과에 대한 흥미 조사 연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384-393. 

  23. 신영준, 정완호(1995) 고등학교 문과 학생들의 생명공학과 유전공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201-212. 

  24. 신영준, 황현옥, 박헌우(2009).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한 과학 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1), 151-161. 

  25. 신현숙(2008). 분석적 평가에 의한 논증글 쓰기 수행의 발달적 차이. 교육학연구, 46(1), 1-29. 

  26. 심규철(2013). 생명 과학 기사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 영재들의 생명 과학에 대한 관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1(1), 86-96. 

  27. 심규철, 송신철(2011). 생명 윤리 쟁점에 관한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조사.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2), 288-296. 

  28. 여희숙(2007). 토론하는 교실. 서울: 노브16. 

  29. 원진숙(1995). 논술 교육론. 서울: 박이정. 

  30. 이남은, 차희영, 천재순(2009). 과학 글쓰기를 통한 세균 개념 변화 과정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7(4), 594-606. 

  31. 이성영(2001). 글쓰기 능력의 지표화 방안 연구 - 내용 생성 범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 연구, 14, 321-349. 

  32. 이수형(2010). 쓸 말을 찾아내는 글쓰기. 가르침과 배움, 21, 38-41. 

  33. 이종기, 박경화(2007)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의 생명 공학 관련 기술 및 탐구활동 비교 분석.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302-319. 

  34. 이혜정, 심규철(2012). 과학 영재의 세포 설명에 나타난 글쓰기 특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41-155. 

  35. 이호진, 최경희(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36. 정희선, 한인식, 여성희(2010). 중학생의 과학 글쓰기 활동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3), 407-422. 

  37.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활동.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천재훈, 손정우(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기능의 유형 분석 -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7(2), 285-304. 

  39. 최미숙(2008). 토론학습이 중학생의 과학본성 및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Dori, Y. J., Tal, R. T., & Tsaushu. M. (2003) Teaching biotechnology through case studies - Can we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nonscience majors?. Science Education, 87(6), 767-793. 

  41. Driver, R., Asoko, H., Mortimer, E., & Scott, P.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7), 5-12. 

  42. Engelhard, G., Walker, E. V. S., Gordon, B., & Gabrielson, S. (1994). Writing tasks and gender: Influences on writing quality of black and whit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7(4), 197-209. 

  43. Furtak, E. M., & Ruiz-Primo, M. A. (2008). Making students’ thinking explicit in writing and discussion: An analysis of formative assessment prompt. Science Education, 92(5), 799-824. 

  44. Hand, B., & Prain, V. (2002). Teachers implementing writing-to-learn strategies in junior secondary science: A case study. Science Education, 86(6), 737-755. 

  45.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 responses to conceptual questions when engaged with planned writing experiences: A study with year 10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86-210. 

  46. Hong, J. L., Shim, K. C., & Chang, N. K. (1998). A stud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s in biology and their implications for biolog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8), 989-999. 

  47.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48. Kim, J. H., Shim, K. C., Kim, K., Song, S. C., So, K. H., Bae, J., & Kim, N. I. (2012).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Biological Issues in South Korea.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66, 466-468. 

  49. Lawson, A. E. (1994).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alifornia :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50. Martin, R. M. (1997). Scientific Thinking. Ontario. Broad-view Press. 

  51. Potter, E. F., & Rosser, S. (1992). Facters in life science textbooks that may deter girls’ interest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7), 669-686. 

  52.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53.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