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nstruction: Focus on Writing tasks Based on Genres of Science Writ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9 no.8, 2009년, pp.824 - 827  

박정은 (서울대학교) ,  유은정 (서울대학교) ,  이선경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와 과학 개념 및 지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여학생 중 7명을 선정하여 한 달 동안 총 40시간에 걸쳐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하였다. 논증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후 설명, 실험-상세묘사, 논증 등 각각의 과학 장르에 대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장르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설명과 실험-상세 묘사 장르에서는 논증 요소들이 더 다양하고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과학 개념 및 지식이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변하였다. 논쟁 장르에서도 글의 구조가 단순 논증 구조에서 벗어나 근거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게 되는 다중 논증 구조나 종속 논증 구조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논증 요소들의 종류와 수도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논증 구조를 세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확고히 하게 됨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논증 구조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changes in structure and contents of different functional genre of science writing during high school using the argumentation structure. For this thesis, seven students of a girls' high school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ook the argumentation str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글쓰기 지도는 총 6시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논증 구조 교육 실시에 앞서 학생들로 하여금 글쓰기 단계를 숙지시키기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교사가 글쓰기 절차에 관한 개념을 직접 교수법의 형태로 교수한 후, 학생들에게 참고 자료 및 글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글쓰기 단계에 맞춰 글을 작성해 보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글쓰기에 있어서 학생들의 논증 활동이 구조화되어 드러날 수 있는 논증 구조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장르별 과학 글쓰기 과제를 통해 학생들의 논증 구조 교육 실시 전, 후 글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를 분석해보도록 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논증 활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과학 지식이나 개념에도 변화가 발생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 글쓰기에 있어서 학생들의 논증 활동이 구조화되어 드러날 수 있는 논증 구조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장르별 과학 글쓰기 과제를 통해 학생들의 논증 구조 교육 실시 전, 후 글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를 분석해보도록 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논증 활동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고 이에 따른 과학 지식이나 개념에도 변화가 발생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와 과학 개념 및 지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 여학생 중 7명을 선정하여 한 달 동안 총 40시간에 걸 쳐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통합 논술 능력 강화가 강조되고 있는 근래의 동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에서 논증 활동이 구조화되어 나타날 수 있도록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한 후 이를 분석해 보았다. 과학 글쓰기는 과학이라는 학문의 특수한 기능에 따라 장르별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학생들의 글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논술이라는 수단을 이용하되 기능에 따른 과학 장르별 글쓰기가 드러날 수 있는 사전 과제를 부여하여 이를 수행하게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와 과학 개념 및 지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를 분석함에 있어 논증 구조 분석틀과 과학개념 및 지식의 변화 분석틀이 요구된다.

가설 설정

  • 셋째, 논증 구조 교육이 과학 지식 및 개념의 도출을 이끈다는 것은 학생들이 기존 과학 내용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자료 해석 능력을 갖추어야한다는 가정 하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논증 구조 교육은 과학 학습의 기초가 이미 이루어진 고등학교 1학년 이상의 학생에게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교육에서 탐구의 근본적 의의는? 따라서 과학 탐구의 본질에 대해 재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학교육에서 ‘탐구(inquiry)’가 갖는 근 본적 의의는 학생들이 과학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있다. 즉, 학생들은 ‘과학을 함(doing science)’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과학 활동의 본질을 경험하고, 사고하고,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Norris & Phillips, 2003; Osborne, 2002; Duschl & Osborne, 2002).
논증 구조 교육을 시행한 후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와 과학 개념 및 지식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는? 논증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후 설명, 실험-상세묘사, 논증 등 각각의 과학 장르에 대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장르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설명과 실험-상세 묘사 장르에서는 논증 요소들이 더 다양하고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과학 개념 및 지식이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변하였다. 논쟁 장르에서도 글의 구조가 단순 논증 구조에서 벗어나 근거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게 되는 다중 논증 구조나 종속 논증 구조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논증 요소들의 종류와 수도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논증 구조를 세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확고히 하게 됨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논증 구조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과학을 배운다는 것의 전통적 관점에서의 의미와 최근 관점에서의 의미에 관해 설명하시오. 과학을 배운다는 것은 전통적으로는 과학 지식이나 개념을 익히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최근에는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고 과학 문화에 입문하는 것으로 이해 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해지고 있다(Hand et al., 1999; Jimenez-Aleixandr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순민 (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강현모 (2007). 찰스 아이브스의 (1922) : 미국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장르에 대한 탐색.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곽경화, 남정희 (2009). 과학적 논의과정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논의 과정 변화 및 논의 상황에 따른 논의과정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00-413 

  4. 김재봉(2002). 창조적 국어사용과 논증 문화. 한국초등국어교육 제 20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 김희경, 송진웅 (2004).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 모형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16-1234 

  6. 남정희, 곽경과, 장경화, Hand, B. (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7. 민병곤 (2000). 신문 사설의 논증 구조 분석. 국어국문학, 127, 133-154 

  8. 박영신 (2006). 교실에서의 실질적 과학 탐구를 위한 과학적 논증기회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410-415 

  9.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 (2009). 과학적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10. 이선경 (2006). 소집단 토론에서 발생하는 학생들의 상호작용적 논증 유형 및 특징. 대한화학회지, 50(1), 79-88 

  11. 이선영 (2002). 토론의 논증 구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3. Barrs, M. (2004) Writing and Thingking. Retrieved from the World Wide web: http://www.teachingthinking.com 

  14. Becker, J., Knight, E.Q., & Varelas. M. (1993). Meaning, love, and self in the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Natural Inquiry, 8, 11-15 

  15. Brinker, K. (1994) Linguistische Textanalyse / 이성만 역 (2004).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언어학적 텍스트분석의 기본 개념과 방법, 한국문화사 

  16. Clark, D., & Sampson, V. (2006). Personally seeded discussions to scaffold online argumenta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3), 253-277 

  17. Dijk, T. A. v. (1997). The study of discourse. In Dijk, T. A. v. (Ed.), Discourse studies: a multidisciplinary introduction-Discourse as structure and process (Vol. 1). SAGE Publication Ltd. (London): 1-34 

  18. Driver, R., Newton, P., & Osbom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4, 287-312 

  19. Duschl, R. A.,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20. Eemeren, F. H. v & Grootendorst, R. (1996). Fundamentals of argumentation theory a handbook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mporary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1. Eemeren, F. H. v., Grootendorst, R., Blaire, J. A., & Willard C. A. (1992). Argumentation Illuminated. International Centre for the Study of Argumentation, SICSAT 

  22. Fellows, N. J. (1994). A window into thinking: Using student writing to understand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9), 985-1001 

  23. Freely, A. J. (1996). Argumentation and Debate: Critical thinking for reasoned decision making (9th ed.), Belmont, C. 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4. Halliday, M. A. K. & Martin, J. R. (1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The Falmer Press: London 

  25. Hand, B., Prain, V., Lawrence, C., & Yore, L. D. (1999). A writing in science framework designed to enhance science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0), 1021-1035 

  26.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responses to 

  27. Hodson, D. (1993). In science of a rationale for multi cultural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7(6), 685-711 

  28. Jimenez-Aleixandre, M. P., Rodr uez, A. B., & Duschl, R.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 757-792 

  29. Johns, A. M. (2002). Genre in the classroom: multiple perspectives. Mㅁ모: 

  30. Kallberg, J. (1987). The rhetoric of genre: chopin's nocturne in C minor, Nineteenth Century Music, 9(1987-8), p.239 

  31. Kelly, G. J., Regev, J., & Prothero, W. (2008). Analysis of lines of reasoning in written argumentation. In S. Erduran & M. P. Jimenez-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137 - 157).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32.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 115-130 

  33. Kuhn, D.,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San Diego: Academic Press, INC. 

  34. Kuhn, D. (1993). Science argument: Implic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thinking. Science Education, 77(3), 319-337 

  35. Kuhn, D., Amsel, E., &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New York: Academic Press, Inc 

  36. Lemke, A. L. (1990). Talking science: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ew Jersey: Alex Publishing Corporation 

  37. Macken-Horarik, M. (2002). Something to shoot for: a systemic functional approach to teaching genre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A.M. Jones (ED.), Genre in the classroom: multiple perspectives (pp.17-46). Mahwah, NJ: Lawrence Erlbaum 

  38. Martin, J. R. (1993). Literacy in science:Learning to handle text as technology. In M. A. K. Halliday & Martin (Eds.),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pp.166-202).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39. Martin, J. R., Christie, F., & Rothery, J. (1987). Social processes in education: A reply to Sawyer and Watson. In L. Reid (Ed.), The place of genre in learning: Current debates (pp. 58-82). Centre for Studies in literary education. Geelong: Deakin University 

  40. Newell, G. E., & Winograd, P. (1989). The effects of writing on learning from expository text. Written Communication, 6(2), 196-217 

  41. Newton, P., Driver, R., & Ob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5), 553-576 

  42. Norris, S., & Phillips, L. (2003). How literacy in its function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 224-240 

  4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5.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994-1020 

  46. Osborne, J. F. (2002). Science without literacy: A ship without a sail?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32, 203-215 

  47. Prain, V., & Hand, B. (1999). Students Perceptions of Writing for Learning in 

  48.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49.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van Eemeren, F. H. & Grootendorst, R. (1996). Fundamentals of argumentation theory a handbook of historical backgrounds and contemporary developmen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1. Veel, R. (1997). Learning how to meanscientifically speaking: apprenticeship into scientific discourse in the secondary school. In F. Christie & J.R. Martin (Eds.), Genre and Institutions (pp.170-193). London: Continuum 

  52. von Aufschnaiter, C.,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8). Arguing to Learn and Learning to Argue: Case Studies of Ho Students'Argumentation Relates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Science Teaching, 45(1), 101-131 

  53.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54. Yore, L. D., Bisanz, G. L., & Hand, B. M. (2003). Examining the literacy component of science literacy: 25 years of language arts and science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89-725 

  55.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