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지역 초등학생의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among the Primary Students in Jeollanamdo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0 no.3, 2015년, pp.311 - 318  

장정운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인지 (가야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성별과 연령, 나안시력에 따른 굴절이상 유병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전남지역 소재 8~13세, 73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시력검사, 자각적 및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나안시력검사는 한천석식 시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타각적 굴절검사는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남지역 초등학생들 중 0.1이하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은 54명(7.3%)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49명(90.7%)이 안경을 착용하였다. 0.125~0.2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79.3%, 0.3~0.5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은 64.2%, 0.6~0.8의 나안시력을 보인 학생들의 안경착용률은 61.6%를 보였다. 또한 정시 269명(36.6%), 근시 321명(43.7%), 원시 56명(7.6%), 난시 89명(12.1%)으로 굴절이상 유병률 중 근시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난시 유병률이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시 중 약도근시의 유병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약도 및 중도근시의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시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시 유병률에서 50.6%(45명)가 직난시, 48.3%(43명)가 도난시, 1%(1명)가 사난시를 보였다. 결론: 전남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466명(63.4%)의 학생들이 굴절이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안경교정 인원은 313명(42.6%)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확한 시력검사와 굴절검사 후 적절한 교정을 통해 학생들의 지속적인 시력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with gender and age presenting visual acuity of primary student in Jeonnam. Methods: Subjective refraction, objective refraction and visual acuity test were examined on 735 primary school children who ages of 8~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로 조사되었다.[22] 이에 저자들은 시력의 변화가 많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연령별 시력과 굴절이상 유병률을 조사하여 8~13세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동기 아동의 시력 저하의 원인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2-4] 유전적 요인이 없고 정상시력을 가졌던 소아는 8~14세에 약도근시를 가지게 된다.[5] 학동기 아동의 시력 저하는 대개 굴절이상이 원인이며, 그 중 근시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시력저하의 원인 중 한가지이다.[6,7] 근시의 경우 7~8세에서 시작되어 9~11세부터 증가속도가 빨라지며 20세 전후에서 근시의 발생률이 가장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이들의 시력은 몇 세에 도달할 때 쯤 정상 시력이 되는가? 1, 한 살 때에는 0.2,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만 5~6세가 되면 정상시력에 도달하게 되는데, 일부에서는 정상시력에 미달한 채로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2-4] 유전적 요인이 없고 정상시력을 가졌던 소아는 8~14세에 약도근시를 가지게 된다.
유전적 요인 없이 정상시력에 도달한 어린이는 몇 세 부터 약도근시를 얻는가? 2,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만 5~6세가 되면 정상시력에 도달하게 되는데, 일부에서는 정상시력에 미달한 채로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2-4] 유전적 요인이 없고 정상시력을 가졌던 소아는 8~14세에 약도근시를 가지게 된다.[5] 학동기 아동의 시력 저하는 대개 굴절이상이 원인이며, 그 중 근시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시력저하의 원인 중 한가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Park EK.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4)141-143. 

  2. Kim HS. The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about abnormal vision of preschool children. Korean J Vis Sci. 2001; 3(1):1-11. 

  3. Yang HN, Koo BS. Inter-relationship between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myopia and hyperopia among children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J Korean Ophthalmol Soc. 1985;26(5):639-644. 

  4. Kim JH. The developing a algorism for the predicting myopia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Ph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3;7-11. 

  5. Fredrick DR. Myopia. BMJ. 2002;324:1195-1199. 

  6. Vaughan D, Astury T, Riordan-Eva P. General ophthalmology, 15th Ed. Conneticut: Appleton & Lange, 1999;354-361. 

  7. Saw SM, Katz J, Schein OD, Chew SJ, Chan TK. Epidemiology of myopia. Epidemiol Rev. 1996;18(2):175-187. 

  8. Payman GA, Sanders DR, Goldberg MF. Principles and Practice of Ophthalmology, 1st Ed. Philadelphia; Saunders, 1980;198. 

  9. Karlsson JL. Genetic factors in myopia. Acta Genet Med. Gemellol. 1976;25:292-294. 

  10. Kirby AW, Sutton L, Weiss H. Elongation of cat eyes foollowing neonatal lid suture.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2;22(2):274-277. 

  11. Greene PR. Mechanical considerations in myopia: relative effects of accommodation, convergence, intraocular pressure, and extraocular muscles. Am J Optom Physiol Opt. 1980;57(12):902-914. 

  12. Criswell MH, Goss DA. Myopia development in nonhuman primates - a literature review. Am J Optom Physiol Opt. 1983;60(3):250-268. 

  13. Lin LL, Shih YF, Tsai CB, Chen CJ, Lee LA, Hung PT, et al. Epidemiology study of ocular refraction among schoolchildren in Taiwan in 1995. Optom Vis Sci. 1999;76(5):275-281. 

  14. He M, Huang W, Zheng Y, Huang L, Ellwein LB. Refractive error and visual impairment in school children in rural southern China. Ophthalmology. 2007;114(2):374-382. 

  15. Goh PP, Abqariyah Y, Pokharel GP, Ellwein LB. Refractive error and visual impairment in school-age children in Gombak District, Malaysia. Ophthalmology. 2005;112(4): 678-685. 

  16. Saw SM, Nieto FJ, Katz J, Schein OD, Levy B, Chew SJ.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2000;77(10): 549-554. 

  17. Raju P, Ramesh SV, Arvind H, George R, Baskaran M, Paul PG, et al.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s in a rural South Indian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4;45(12):4268-4272. 

  18. Jung SK, Lee JH, Kakizaki H, Jee D. Prevalence of myopia and its association with body stature and educational level in 19-year-old male conscripts in seoul, South Kore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2;53(9):5579-5583. 

  19. Nam WG, Cho HG, Son JS, Kwak HW, Moon BY. Examina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accommodative ability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Jinju c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1):109-114. 

  20. Kim SM, Shin HS, Shim JB. Relationship between uncorrected visual acuity and refraction of the children and teenag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3;18(2): 173-178. 

  21. Lee WS, Ye KH, Shin BJ.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08 to 2012.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1)121-133.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eoul, 2010;490-503. 

  23. Maul E, Barroso S, Munoz SR, Sperduto RD, Ellwein LB. Refractive error study in children: results from La Florida, Chile. Am J Ophthalmol. 2000;129(4):445-454. 

  24. Saw SM, Chua WH, Hong CY, Wu HM, Chan WY, Chia KS, et al. Nearwork in early-onset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2;43(2):332-339. 

  25. Saw SM, Zhang MZ, Hong RZ, Fu ZF, Pang MH, Tan DT. Near-work activity, night-lights, and myopia in the Singapore-China study. Arch Ophthalmol. 2002;120(5):620-627. 

  26. Rahi JS, Williams C, Bedford H, Elliman D. Screening and surveillance for ophthalmic disorders and visual deficits in children in the United Kingdom. Br J Ophthalmol. 2001;85(3):257-259. 

  27. Zhao J, Pan X, Sui R, Munoz SR, Sperduto RD, Ellwein LB. Refractive Error Study in Children: results from Shunyi District, China. Am J Ophthalmol. 2000;129(4):427-435. 

  28. Fotouhi A, Hashemi H, Khabazkhoob M, Mohammad K.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s among schoolchildren in Dezful, Iran. Br J Ophthalmol. 2007;91(3):287-292. 

  29. Pi LH, Chen L, Liu Q, Ke N, Fang J, Zhang S, et al. Refractive status and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s in suburban school-age children. Int J of Med Sci. 2010; 7(6):342-353. 

  30. Park JH, Chun JS, Lee SH. The correlates analysi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eye health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 Vis Sci. 2011; 13(1):11-19. 

  31. Gwiazda J. Scheiman M, Mohindra I, Held R. Astigmatism in children: changes in axis and amount from birth to six year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4;25(1):88-92. 

  32. Baldwin WR, Mills D. A longitudinal study of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astigmatism. Am J Optom Physiol Opt. 1981;58(3):206-211. 

  33. Kim JH. A study on variation of astigmatism axis according to the ag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1; 6(1):71-76. 

  34. Choi HK, Kwon JY. Visual acuity in childhood astigmatism. J Korean Ophthalmol Soc. 1998;39(9):2160-2164. 

  35. Seo YW.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unaided visual acuity. Korean J Vis Sci. 2000;2(1):7-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