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fractive Errors Comparition between City and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2, 2016년, pp.147 - 152  

김인숙 (초당대학교 안경광학과) ,  장정운 (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도시와 농촌 지역별 초등학생들의 굴절상태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시기능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도시지역인 목포와 농촌지역인 영암군, 무안군 초등학교 2,501명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 양안 시기능 검사를 실시 후 도시와 농촌의 굴절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평균 근시도는 2012년 -1.47 D, 2013년 -1.52 D, 2014년 -1.40 D로 나타났으며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평균 근시도는 2012년 -1.65 D, 2013년 -1.76 D, 2014년 -1.75 D로 나타났다. 자.타각적 측정결과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근시도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근시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농촌지역과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3), 평균 원시도는 지역별에 의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32). 농촌과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연령에 따른 평균 근시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근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근시도가 농촌 지역 초등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가장 굴절상태의 변화가 많은 시기에 시력검사를 정기적인 시기에 적절하게 맞추어 정확하게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주기적인 검사와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전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be used as the basic visual function data after analyzing and investigating the refractive errors variation between city and rural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o compare with city and rural areas, 2501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lived in Mokpo, Yeon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초등학생 시기의 굴절이상은 조기에 발견하여 정확히 교정하여 주는 것이 원칙이며 비정시안을 즉시 교정하지 않는다면 시력장애를 유발하여 여러 가지 양안시 기능 장애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 국내 타 지역에서의 농촌과 도시지역에서의 학생들의 굴절이상 비교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었지만,[8,9] 전남지역의 학생들에 연구에 대해서는 진행되지 않아, 이에 본 연구자들은 전남지역 도시와 농촌지역별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 현황을 비교하여 시력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점차로 심각해지는 초등학생들의 안굴절 상태를 파악하여 년도별, 지역별 굴절도의 차이를 비교함으로 초등학생들의 평균 굴절상태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 초등학생들의 굴절도를 비교한 결과 도시지역 초등학생들의 근시도가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근시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절이상안의 초등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의 증가로 인하여 굴절이상안의 초등학생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시력 또한 변화가 많은 시기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검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서 굴절이상을 보이는 증상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4%로 더 많았다.[5] 초등학교 선생님들은 교실 수업에서 학생들의 이상 증상을 잘 발견할 수가 있는데 눈을 찌푸려 보거나, 책을 건너뛰어 읽거나 속도가 느리거나 이러한 학생들을 발견해도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고 부모에게 통보하는 경우도 드물다. 교실에서 단지 처치라고 하는 것은 뒷자리에 앉은 학생들을 앞으로 위치 변경을 하는 수준의 임시방편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초등학교 시기의 시력저하에 미치는 요인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성장이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시력 또한 변화가 많은 시기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검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연령과 관련하여 성장 발육이 왕성한 초등학교 시기는 영양상태, 학습환경, 학습자세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시력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aw SM, Nieto FJ, Katz J, Schein OD, Levy B, Chew SJ.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2000;77(10):549-554. 

  2. Park EK.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4):141-143. 

  3. Ho CS, Nq CB, Chan E, Wijaya R, Ashok V, Tang W et al.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Singapore teenagers. Br J Ophthalmol. 2006;90(2):202-207. 

  4. Choi YH, Choi YY. The difference comparison according to child refractive method and effect of life style on my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1):1841-1847. 

  5. MOE(Ministry of Education, Korea). Sample Survey results announcement about physical development, health, etc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2016. http://www.moe.go.kr/web/106888/ko/board/view.do?bbsId339&boardSeq58466(21 February 2016). 

  6. Kim IS, Jang JU. A study of research on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okpo.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3):313-317. 

  7. Park JH, Chun JS, Lee SH. The correlates analysis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eye health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 Vis Sci. 2011;13(1):11-19. 

  8. Yun MO, Mah KC. Comparative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in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Korean J Vis Sci. 2007;9(3):269-281. 

  9. Yun MO, Eom JH, Mah KC. The survey of environmental factors by questionnaries with refractive state rural and urban elementary schoolchildren. Korean J Vis Sci. 2008; 10(2):87-97. 

  10. Cho YO. A study on the refraction state of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82;18-23. 

  11. Shin KH. A study on the refraction state of urban prim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82;16-28. 

  12. Mah KC, Lee KJ, Jang TW. The effect of ocular growth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children who live in Seoul. Korean J Vis Sci. 2002;4(1):1-9. 

  13. Lee WS, Ye KH, Shin BJ. A study on the progression and prevalence of myopia according to age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08 to 2012.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1):121-133. 

  14. Dandona R, Dandona L, Srinivas M, Sahare P, Narsaiah S, Muoz SR et al. Refractive error in children in a rural population in Ind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2; 43:615-622. 

  15. Koo BS, Kim JC, Yang HN. A survey of the visual impairment and the refractive errors in urban school children in Korea. J Korean Soc School Health. 1988;1(1): 103-113. 

  16. Nam WG, Cho HG, Son JS, Kwak HW, Moon BY. Examination of refractive correction and accommodative ability on myopic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aring glasses in Jinju c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1):109-114. 

  17. Saw SM, Chua WH, Hong CY, Wu HM, Chan WY, Chia KS et al. Nearwork in early-onset myopi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2;43(2):332-339. 

  18. Saw SM, Zhang MZ, Hong RZ, Fu ZF, Pang MH, Tan DT. Near-work activity, night-lights, and myopia in the Singapore-China study. Arch Ophthalmol. 2002;120(5): 620-627. 

  19. Jang JU, Park IJ. The study of prevalence rate of refractive error among the primary students in Jeollanamdo.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3):31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